This brings me to a fourth thing I do not so much import from Aristotle as find him hospitable to, namely a philosophical psychology which runs counter to the prevailing contemporary view. In contemporary philosophy of action, there is a fervid debate about whether any intentional action must be prompted in part by a desire, or whether it is possible to be moved to action by a belief-such as the belief that doing so-and so is morally required-alone.

 

이것이 번째로, 나는 여기서 아리스토텔레스를 도입했다기보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주를 이루는 현대의 견해와 반대되는, 다시말해 철학적 심리학을 받아들였음을 알게 되었다. 행동에 관한  현대철학의 뜨거운 논쟁 하나는, 의도적 행동은 반드시 부분적으로는 욕망에 의해 촉발되어야 하는가, 또는 그렇게 해야겠다는 믿음과 같은 어떤 믿음에 의해 행동으로 옮겨질 있다는 것이 가능한가- 다만 도덕적인 요구만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겠는가에 관한 것이다.   

 

The debate all takes place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assumption that belief and desires are as different as gold and oxygen, and usually also the assumption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ational and the non-rational is equally hard and fast. But Aristotle is happy to describe ‘choice’ (prohairesis) as either desiderative intellect or intellectual desire; it belongs to both the cognitive and the conative faculties and is not to be broken down into two bits, a belief and a desire.

 

논쟁은 모두가 신념과 욕망이 금과 산소만큼이나 다르며 일반적으로 이성과 비이성 사이의 구분이 그만큼 엄격하다는 기본가정에 맞서 일어난 것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기꺼이 욕구하는 이성 혹은 이성적인 욕망의 하나로서의 선택’ (prohairesis) 말하고 있다. 선택은 정신적이고도 의욕적인 능력이고 신념과 욕망이라는 부분으로 나누어지지 않는다.

 

Moreover, when he describes the soul as ‘part rational, part irrational’, he does not think it matters to which part we assign the desiderative. The ‘vegetative’ part (the cause of nutrition and growth in living things) is definitely irrational; and the theoretical is definitely rational. But the desiderative can be regarded as irrational, because it can run counter to reason, or as rational, because it is receptive to reason. There is no answer to the question ‘Is it rational or irrational tout court?’; all there is to be said is that it is irrational in this way and rational in that.

 

더욱이, 영혼은 부분적으로 이성적, 부분적으로 비이성적이라 ,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가 어느 부분을 욕망이라 것인지가 중요한 문제라고 보지 않았다. ‘식물성 부분 (생물의 영양과 발육의 원인) 명확히 비이성적이고 이론적인 부분은 것은 명백히 이성적이다. 그러나 욕구는 이성에 반할 있기 때문에 비이성적일 있고, 혹은 이성에 수용적이기 때문에 이성적일 있다. ‘간단히, 이것은 이성적인가 비이성적인가?’ 라는 질문에는 답이 없다. 우리가 말할 있는 것은 이럴 경우 비이성적이며 저런 경우 이성적이라는 것이 전부다.   

 

To anyone sympathetic to the writings of the later Wittgenstein, such rejections of clear-cut distinctions in philosophical psychology are as natural and necessary as breathing. Such philosophers are in a minority at the moment, and it is no part of my brief in this book to try to convert the philosophical world to the minority view, much as I would like to do so. But it is still worth coming clean about it at the outset, to remove one further stumbling block. I have found when teaching virtue ethics to graduate students, or discussing papers by, in particular, Anscombe, Foot, and McDowell with fellow philosophers, that what often blocks understanding is the unconscious assumption that everyone shares the view that, for example, beliefs and desires are natural kinds, or that a reason is a belief/desire pair that causes an action, or that all mental states are brain states-or, more generally, that philosophy is supposed to uncover or construct the foundations of our thought.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저작에 동의하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철학적 심리학에서 그런 선명한 구별짓기를 거부하는 것이 숨쉬는 일만큼이나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여겨질 것이다. 현재 철학자들은 소수이고, 그러고 싶었던 마음이 큼에도 불구하고, 나는 책의 개요를 철학계를 그런 소수의 관점으로 전환시켜보려는 내용에 할애하지 못했다. 그렇기는 해도 차후의 걸림돌을 없엔다는 차원에서 처음부터 그랬음을 밝히는 것이 의미있는 일이라고 본다. 대학원생들에게 윤리학을 가르치거나 앤스콤Anscombe이나 foot, 맥도웰 McDowell 논문을 동료 철학자들과 논의할 때면, 나는 누구나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무의식적인 가정, 예를 들면 믿음과 욕구가 자연적인 것이라거나, 이성은 행위를 유발하게 하는 믿음/욕구로 이루어진 쌍이라거나, 혹은 모든 정신상태는 뇌의 상태라거나, 아니면 보다 일반적으로 철학은 우리의 사고의 토대를 드러나게 하거나 세워 의무가 있다는 등의 가정들이 이해를 가로막고 있다는 것을 깨닫곤 한다.  

 

Struggling to square these assumptions with what is said, the audience finds what is said deliberately obscure or willfully incomplete, or inconsistent, or open to such blindingly obvious objections that they think they cannot have understood. Sometimes-not always, of course-the cloud lifts if one says, ‘But you don’t believe that so-and-so if you’re Wittgensteinian.’ What follows then is not necessarily agreement, but at least an understanding of just where the disagreement lies.

 

이런 가정들을 주장되는 것들에 부합시켜보려고 씨름하면서, 독자들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것들,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또는 고의로 불완전하게, 또는 일관성없게 설명되는 내용들, 아니면 무턱대고 이의를 제기하려는 자세 같은 것을 발견하게 된다. 물론 항상 그렇지는 않지만 때로는, 만일 누군가그러나 그것을 그렇다고 생각하지 않는군. 그렇다면 생각은 비트켄슈타인적이야.’ 라고 말하면 구름이 걷힌다. 그렇게되면, 뒤를 따르는 것은 필연적인 동의가 아니라, 정확히 말해 그저 어디에서 의견차이가 나는지를 이해하게 되었다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