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lan of the book

 

My hope is that this book will be used as a textbook, helping to familiarize up-and-coming students with virtue ethics’ distinctive approach to a variety of problems and issues in moral philosophy. Bearing in mind that different teachers want to stress different things in their courses, I have divided it into three relatively independent parts, whose constituent chapters are much more closely related, and the parts increase in difficulty as the book progresses. Also bearing in mind that different teachers have their own views about what they want to cover in the way of associated material, I have mostly aimed to keep extended discussion of other authors’ some writings to a minimum; though the topic of Part II does necessitate some detailed attention to Aristotle and Kant, and Part III presupposes knowledge of some of the literature relevant to the issue of objectivity in ethics.

 

책의 구상

 

내 희망사항은 이 책이 교재로 사용되어서, 전도유망한 학생들이 도덕철학의 제반 문제를 다루는 덕 윤리학적 접근방식에 친숙해지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가르치는 사람에 따라 수업의 강조점이 달라진다는 점을 유념하면서 나는 이 책을 비교적 독립적인 3 부로 나누었고, 각각의 부분과 밀접히 관련된 내용들로 하위 챕터들을 구성했다. 책이 뒤로 넘어갈수록 내용의 난이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강의자마다 관련소재 차원에서 무엇을 다룰지에 대한 각자의 견해가 있으리라는 점 또한 유의하면서, 다른 필자들의 일부 저작에 대한 심화된 논의는 대체로 최소한의 수준에서 유지하려고 했다. 그렇기는 하지만, 2 부에서는 그 주제상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를 상세히 다루는 것이 불가피했고, 3부에는 윤리에 있어서의 객관성이라는 주제와 관련있는 일부 문헌들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깔려있다.  

 

 

Part I. Action

 

Chapter 1. Right action. Virtue ethics has been characterized, interalia, (1) as an ethics which is ‘agent-centered’ rather than ‘act-centerred’; (2) as addressing itself to the question ‘What sort of person should I be?’ rather than to the question ‘What sorts of action should I do?’; (3) as taking certain areteic concepts (good[well], virtue) as basic rather than deontic concepts (right, duty, obligation); and as (4) rejecting the idea that ethics is codifiable in rules or principles that can provide specific action guidance. Although there is some truth in all these, they tend to foster a common misconception, namely, that virtue ethics does not, and cannot, provide action guidance, the way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do.

 

1   행동

 

1 . 올바른 행동. 덕 윤리학은 여러 가능한 설명 중에서도 특히, (1) 행위 중심 보다는 행위자 중심의 윤리학이고, (2) ‘나는 어떤 행동을 해야만 하는가?’ 보다는 나는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다루며, (3) 의무론적 개념들 (옳음, 책임, 의무) 보다는 아레테적 개념들 (좋음[훌륭함], ) 을 기본개념으로 하고, (4) 윤리가 구체적인 행동지침이 될 수 있는 규칙이나 원리로 규범화될 수 있다는 생각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특징들이 계속 설명되어 왔다. 일부 맞는 바가 있기는 하나, 이들 특징들은 덕 윤리학에 관한 일반적인 오해 즉, 덕 윤리학은 공리주의나 의무론이 제시하는 행동규범을 규정하고 있지 않으며, 그럴 수도 없다는 생각을 키우게 하는 경향이 있다.

 

But this is a misconception: virtue ethics can provide a specification of ‘right action’—as ‘what a virtuous agent would, characteristically, do in the circumstances’—and such a specification can be regarded as generating a number of moral rules or principles (contrary to the usual claim that virtue ethics does not come up with rules or principles). Each virtue generates an instruction-‘Do what is honest’, ‘Do what is charitable’; and each vice a prohibition-‘Do not act, do what is dishonest, uncharitable.’

 

그러나 이는 틀린 생각이다: 덕 윤리학은 올바른 행동이 무엇인지를 명시할 수 있다. 그것은 그 상황에서 덕있는 행위자가 유덕함의 특징답게 행하게 될 것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으며, 그것이 도덕적 규범이나 원칙 (덕 윤리학은 규범과 준칙을 줄 수 없다는 통상적인 주장과는 반대로) 을 만들어 낸다고 볼 수 있다. 각각의 덕은 정직한 일를 행하라’ ‘자비로운 일을 행하라는 명령을, 악덕은 정직하지 못한 일, 무자비한 일을 하지 말라.’ 는 금지를 내린다.   

 

Chapter 2. Resolvable Dilemmas. Such rules may seem to fall foul of the ‘conflict problem’ , failing to give us action guidance when the requirements of different virtues conflict. But deontology, notoriously, is subject to the same problem when its rules conflict, and many regard the way act utilitarianism resolves hard cases by applying its single maximizing rule as a disadvantage rather than an advantage of its approach. Where hard cases or dilemmas are, ex hypothesi, resolvable, virtue ethics in fact employs a strategy similar to that of some forms of deontology; it argues that the putative conflicts are merely apparent. That recognizing a conflict as merely apparent may call for moral wisdom or discernment is explicitly acknowledged in virtue ethics, which takes seriously Aristotle’s point that moral knowledge, unlike mathematical knowledge, cannot be acquired merely by attending lectures and is not characteristically to be found in people too young to have much experience of life. A normative ethics should not aim to provide a decision procedure which any reasonably clever adolescent could apply. (This is one aspect of the rejection of the claim that ethics is a codifiable.)

 

 

2 . 해결될 수 있는 딜레마. 어쩌면 그런 규칙들은 서로 다른 덕의 요건들이 충돌하는 경우,  필요한 행동규범을 마련해 주는데 실패함으로써 갈등 문제와 뒤엉켜있는 듯 보일지 모른다. 그러나 의무론은 자기이론의 규칙들이 충돌할 때 위와 똑같은 문제에 빠지기 쉬운 것으로 유명하며, 효용극대화 규칙을 단독으로 적용해서 다루기 힘든 사건을 해결하는 공리주의의 행동 방식은 접근상의 장점 보다는 단점으로 더 많이 간주된다. 다루기 어려운 경우들이 가설상으로 해결이 가능한 경우, 덕 윤리학은 사실상 의무론의 일부 방식과 유사한 전략을 쓴다. 그것은 갈등이라고 추정되는 일은 다만 그렇게 보이는 것 뿐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하나의 갈등을 외견상의 일로써 인식한다 함은 아마도 덕 윤리학에서 명시적으로 승인되는 도덕적 지혜나 분별을 필요로 할 것이고, 그것은 도덕적 진리란 수학적 진리와 달리 강의를 듣는다고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삶의 경험이 많지 않은 어린 사람들에게는 그 특징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지를 중요시한 주장이라 하겠다. 규범 윤리학은 영리한 청년이라면 다 할 줄 아는 의사결정과정의 제시를 목표로 삼아서는 안된다. (이것이 윤리학이 규범화될 수 있다는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 한 관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