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Irresolvable and Tragic Dilemmas

해결할 수 없고 비극적인 딜레마

 

I take an irresolvable dilemma to be a situation in which the agent’s moral choice lies between x and y and there are no moral grounds for favouring doing x over doing y[1]. We could also describe it as a situation in which the agent’s choice lies between x and y and nothing would counts as the reasonable practical answer to ‘Should I do x or y?’[2] Any putative example I gave at the outset would be bound to be controversial, for any particular situation I thought constituted an irresolvable dilemma could be one that someone else thought was to be resolved in a particular way, and some people think that there just aren’t any irresolvable dilemmas anyhow.

 

나는 해결할 수 없는 딜레마란 행위자의 도덕적 선택이 x y 사이에 놓여 있고, x 를 하는 것이 y를 하는 것 보다 우위에 있을 아무런 도덕적 근거가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또한 그것을 행위자의 선택이 x y 사이에 놓여 있고, 그 중 어느 것도 나는 x 를 해야 하는가 아니면 y 를 해야 하는가?’ 의 물음에 대한 논리적이고 실천적인 그런  답이라고 생각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기술할 수 있다. 논의의 처음에 내가 제시한 어떠한 추정상의 사례들도 논쟁의 소지가 다분할 것이다. 왜냐하면 내가 보기에 해결이 불가능한 딜레마의 상태를 만들었다고 생각된 상황이 다른 사람에게는 어떤 방식으로 풀릴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고, 또 어떤 사람들은 어쨌거나 해결할 수 없는 딜레마라는 것은 없다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ARE THERE ANY IRRESOLVABLE DILMMAS?

해결할 수 없는 딜레마라는 것이 있는가?

 

I mentioned at the beginning of the last chapter that the contributors to the prevailing literature on hard cases in applied ethics ‘rarely even entertain the possibility that the dilemma they are discussing is irresolvable; on the contrary, they assume that there must be one, correct, decision to be made about it which it is the business of their moral theory…to reveal or discover’. Are there any irresolvable dilemmas? Are they justified in making this assumption? Well, there is justifiability according to one’s own lights, and justifiability tout court. I begin with the former.

 

나는 지난 장()의 도입부에서, 응용 윤리학 분야에서 난제를 다룬 주요 문헌의 기고자들이 자신들이 논하고 있는 딜레마가 해결할 수 없는 것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그런 생각조차 거의 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그 반대로, 그들은 딜레마에는 그것에 관해 내려질 수 있는 하나의 옳은 결정이 반드시 있으며, 그것을 발견해 내거나 제시해야 하는 것이 그들의 윤리 이론이 해야 할 본무라고 가정한다. 해결할 수 없는 딜레마라는 것이 있는가? 그들의 이런 가정 설정은 정당한가? 그들 자신의 정당함이 있고, 간단히 정당함이 있겠다. 나는 전자에서 시작하겠다.   

 

            Act utilitarians are, by and large, justified in making the assumption, according to their own lights. For, in so far as their theory basically eliminates the conflict problem, it eliminates irresolvable conflicts. It is true that the classical statement of the supreme utilitarian value, ‘the greatest happiness for the greatest number’, can be made to generate an irresolvable dilemma when each ‘greatest’ directs one differently and incompatibly. It is also true that A’s  happiness and B’s happiness or suffering may be incommensurable, creating an irresolvable dilemma, and that a third sort may be presented by a case in which x and y are the only alternatives and each will produce exactly the same amount of suffering. But the fact is that the hard cases that are discussed in applied ethics are not, by and large, of any of these sorts; when they are not, the act utilitarian is, by her own lights, justified in her assumption that she can find the one right decision to be made about them. She thinks that, excepting a few arcane cases, moral life is pretty straightforward. However, the same is not true of deontologists.

 

            행위 공리주의자들은 대체로 자기 자신들의 관점에서 가정을 세우고 그것을 정당화 시킨다. 기본적으로 그들의 이론이 상충의 문제를 무시하는 한, 그 이론은 해결이 불가능한 갈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최고의 공리주의적 가치에 대한 고전적 진술,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 그 각각의 최대가 상이하고 모순되는 것을 가리킬 경우, 해결할 수 없는 딜레마를 만드는 원인이 된다고 생각될 수 있음은 맞는 사실이다. 또한, A의 행복과 B 의 행복 혹은 고통이 같은 기준으로 비교될 수 없어서 해결이 불가능한 딜레마를 만들 수 있다는 것도 맞다. 그리고 그 세 번째의 경우는 x y만이 유일한 대안인 상황에서 각각이 정확히 같은 양의 고통을 양산하는 경우로써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상, 응용 윤리학에서 논의되는 다루기 힘든 사례들은 대체로 이런 종류에 속하는 것들이 아니다. 그런 경우, 행위 공리주의자는, 자신 고유의 관점에 따라, 그런 어려운 경우에 대해 내려질 수 있는 하나의 올바른 결정을 찾아낼 수 있다는 가정을 내리고 그것을 정당화시킨다. 그는 몇몇 난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도덕적 삶을 산다는 것은 매우 단순 간단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와 똑같은 생각이 의무론자들의 관점에서는 참이 아니다.  

 



[1] R.B. Marcus, ‘Moral Dilemmas and Consistency’ (1980)

[2] David Wiggins, ‘Truth, Invention and the Meaning of Life’ (1976)

 

 

 

 

 

One might think that deontologists would have been attracted to deontology (as opposed to utilitarianism) with its plurality of rules or principles precisely because that plurality could represent life as full of irresolvable conflict in a way that utilitarianism does not. Utilitarianism is all geared up to resolve dilemmas right, left, and centre; those who think that life is much more complicated and difficult than utilitarianism makes out turn to deontology. But people do not, in general, seem to be attracted to, and espouse, deontology because they think that life is full of irresolvable dilemmas; rather they turn to it as a system of ethical thought which, like utilitarianism, resolves them, but in a different way. Deontologists are indeed to be found characteristically maintaining that utilitarians have made out a particular putative hard case to be too simple-they have concentrated merely on the consequences of killing someone or refusing to (in which case many others die), or keeping the promise or breaking it, of telling the truth or telling a lie, and so on—and neglected to consider the nature of the act itself. But this introduction of further considerations, with its implication that utilitarianism has overlooked genuine moral complexity, does not, in general, lead on to the conclusion that the putative dilemmas are irresolvable. Standardly, in the literature, it leads on to the conclusion that the putative dilemma is resolvable—but in the opposite way to that which the utilitarians gave.

 

어떤 사람은 의무론자들이 (공리주의에 반대하면서) 다수의 규칙과 원칙을 갖는 의무론에 이끌리게 된 정확한 이유는 그 다수의 규칙과 원칙이 공리주의로는 되지 않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없는 딜레마로 채워진 삶을 대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공리주의는 해결할 수 있는 딜레마들을 오른쪽 왼쪽 가운데로 완전히 정렬시킨다. 삶이 공리주의가 이해하고 있는 것 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의무론으로 눈을 돌린다. 그러나 사람들은, 대개, 삶이 해결이 어려운 문제로 꽉 차 있다고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의무론을 지지하고 거기 이끌리게 되는 것 같지 않다. 그렇다기 보다는, 사람들은 의무론을 공리주의와 마찬가지로, 그러나 그와는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주는 윤리적 사고의 한 체계로서 보고 거기로 눈을 돌린다. 실제로, 의무론자들은 공리주의는 추정상의 난제를 지나칠 정도로 단순화시켜서 파악하고 있으며, (많은 다른 사람들이 죽는 경우) 누군가를 죽이거나 죽임을 거부하거나, 약속을 지키거나 깨는 것 또는 진실을 말하거나 거짓말을 하는 것 등등의 결과에 대해서만 단순히 집중할 뿐 그런 행위 자체의 본질에 대한 고려는 소홀히 한다는 주장을 특징적으로 계속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 이상의 고려에 관한 이런 예비적 해설은, 그것이 공리주의가 진정한 도덕의 복잡성을 간과해 왔음을 함언하고 있기는 하나, 대체로, 추정되는 딜레마들은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게끔 하지는 않는다. 기본적으로, 문헌에서, 그것은 추정되는 딜레마들은 해결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게끔 한다--그러나 공리주의가 제시한 것과는 반대되는 방식을 통해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