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 given the availability of the v-rules (particularly the vice rules), the specification still provides action guidance. Perhaps it would be more irresponsible to abandon A than to abandon B. Perhaps, when she finds out about it all, B, unlike A, loses any desire to marry the swine; then it would be plain folly, and arrogant into the bargain, to try to force her into marriage rather than the still compliant and loving A. Then marrying A would be the morally right decision.

 

                그래서, 규칙들 (특히 악덕 [금지] 규칙들) 사용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이런 방식의 상술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행위 지침을 제시한다. 어쩌면, A 저버리는 일은 B 단념하는 보다 무책임한 것일지 모른다. 어쩌면, 모든 사실을 알게 되었을 , A 와는 달리 B 에게는 그런 비열한 인간과 결혼하고 싶은 아무런 욕구도 남아 있지 않을지 모른다. 그렇게 되면, 여전히 고분고분하고 애정이 식지 않은 A 대신B 에게 결혼을 강요하려고 애쓰는 것은 전적으로 어리석은 짓일뿐더러 오만하기까지 행동일 것이다. 그렇게 되면 A 결혼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이 것이다.

 

            So is the virtue ethics account of right action only providing action guidance, yielding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is the morally right decision for me to make here?’, or is it also providing action assessment, yielding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is the morally right thing for me to do here?’ Well, given that ‘There isn’t one’s is an answer to the latter question, albeit not an answer we usually expect, I think we should say that it is doing both.’ Given the sorts of cases considered so far, a resolvable dilemma which arises in circumstances in which a virtuous agent might well find herself will be resolvable by a morally right decision, and what is done, such as ‘x, after much painful thought, feeling deep regret, and doing such-and-such by way of restitution’ will be assessed as morally right. Resolvable dilemmas which no virtuous agent would ever be faced with will also be resolvable by a morally right decision, but what is done will not be assessed as morally right. (This will be explored further in the next chapter in relation to rather different sorts of cases.)

 

                그렇다면, 옳은 행위에 관한 윤리학의 이런 견해는 무엇이 여기서 내가 내릴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인가?’ 질문에 답을 주는 행위 지침만을 주고 있는가, 아니면 무엇이 내가 자리에서 해야 도덕적으로 옳은 행동인가?’ 답을 주는 행위 평가 역시 내려 주는가?  글쎄, 비록 그것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예상하는 대답은 아니겠지만, 후자의 질문을 위한 하나의 답은 없음을 전제한다면, 나는 우리가 윤리학이 모두를 하고 있다고 주장해야 한다고 본다. 지금까지 검토해 사례들을 놓고 본다면, 유덕한 행위자 스스로 깨닫게 것이 당연한 상황에서 빚어지는 딜레마는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에 따라 해결될 있을 것이며, 실제 이루어진 행동, 예를 들면 많은 고통스러운 생각 끝에, 깊은 유감을 느끼며, 그리고 보상의 방법으로 이런 저런 것들을 하면서, x’ 같은 행동은,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로 평가될 것이다. 어떤 있는 행위자도 일찍이 직면해 적이 없는 해결 가능한 딜레마들 또한 도덕적으로 옳은 결정에 의해 해결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의 행동은 도덕적으로 옳다고 평가되지 않을 것이다. ( 점은 다음 장에서 그에 반대되는 사례와의 연관하에 한층 논의될 것이다.)

 

 

 

 

THE CONFLICT PROBLEM: RESOLVABLE DILEMMAS

상충 문제: 해결할 있는 딜레마

 

            Still leaving the question of irresolvable dilemmas to one side, let us return to the ‘conflict problem’. Can deontology solve it, in resolvable cases, in a way that virtue ethics cannot?           With respect to resolvable dilemmas, the deontologists’ strategy is to argue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rules which has generated the dilemma is merely apparent or prima facie.  But the proponent of virtue ethics may employ the same strategy. According to her, too, many of the putative quandaries are merely apparent, resulting not from a conflict of deontological rules but from too clumsy an application of the virtue or vice terms. Does kindness require not telling hurtful truths? Sometimes, but in this case, what has to be understood is that one does people no kindness by concealing this sort of truth from them, hurtful as it may be. (An example might be a teacher’s telling a dedicated, mature student that, contrary to his hopes and dreams, he was not capable of postgraduate work in philosophy.)

 

                해결이 불가능한 딜레마의 문제를 계속해서 한쪽으로 놓아 두고서 상충 문제 되돌아가 보자. 해결 가능한 딜레마의 사례들의 경우, 의무론은 윤리학이 없는 방식으로 그것들을 해결할 있는가? 해결 가능한 딜레마의 문제에 관해 의무론이 취하는 전략은 딜레마를 일으키는 규칙들 사이의 충돌 단순히 외견상 혹은 일별하기에 그렇게 보인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와 같은 전략은 윤리학의 지지자들에 의해서도 사용될 있을 것이다. 윤리학자에 따르더라도, 잠정적인 도덕적 곤경들의 많은 것들이 단지 그렇게 보일 뿐이며, 그것은 의무론의 규칙들이 상충해서 초래되는 것이 아니라, 덕과 악덕의 개념들을 너무나도 조화롭지 못하게 적용함으로써 생긴다. 친절은 상처가 될만한 진실을 말하지 말라고 명령하는가?  때때로, 지금 경우가 어떻건, 반드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은, 우리는 이런 종류의 진실 (그것이 아무리 쓰라린 것이라고 해도) 숨기는 것으로는 사람들에게 아무런 친절도 베풀 없다는 것이다. (교사[] 그러고자 전념하고 있고, 전보다 발전한 학생에게, 그의 희망 꿈과는 반대로 철학과 대학원 과정을 밟을 있는 자질이 없다는 사실을 말해야만 하는 상황이 예가 있을 것이다.)

 

            Or, in a different case, the nature or importance of the truth in question puts the consideration of hurt feelings out of court, and it is not unkind, or callous, to speak out. (No one thinks a doctor unkind or callous because she tells her patients the shattering truth that they have only six months to live, though obviously it could be done in an unkind or callous way.) Does charity require that I kill the person who would be better off dead but who wants to say alive, thereby conflicting with justice? Not if, in Foot’s words, ‘a man does not lack charity because he refrains from an act of injustice which would have been for some one’s good[1]. It is important to note here that none of these judgments amounts the comparative importance of the virtues in question; it is not being said that, for example, the virtue of honesty is more important than, or outranks, the virtue of kindness, nor that justice outranks charity. (I shall say more about this later)  

                다른 어떤 경우에서는 문제가 되고 있는 진실의 본질이나 중요성이 그것이 입힐 있는 감정적인 상처를 일고의 가치도 없는 것으로 하고, 그래서 진실을 입밖에 내는 것이 불친절하거나 냉정한 것이 아니게 된다. (비록 말이 불친절하고 냉정하게 전달될 있는 가능성은 분명히 있다고 하더라도, 의사가 환자에게 앞으로 개월만 있다는 사실을 말했다는 이유로 그들을 불친절하거나 잔인하게 여기는 사람은 없다.) 자비심은 차라리 죽는 것이 나은 사람, 그러나 살기를 원하는 사람을 죽이라고 명령하고, 때문에 정의와 상충하는가? 풋의 설명으로는, 만일 누군가가 타인의 선을 위해서 행해져 왔던 부정한 행위를 자제했기 때문에 자비심이 없다고 한다면, 그렇지 않다.  여기서 이러한 판단들 어느 것도 해당 덕들이 갖는 상대적 중요성과 같은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유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예컨대, 정직함의 덕은 친절의 보다 중요하거나 높거나, 정의는 자비심 보다 높은 덕이라고 주장될 없다 ( 점에 대해서는 나중에 말하도록 하겠다.)



[1] P.Foot, ‘Euthanasia’ (1977; repr.1978), 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