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does not have to agree with the three views expressed here to recognize this as a strategy available to virtue ethics, any more than one has to agree with the particular views of deontolgists who, for example, may claim that a certain rule outranks or overrides another, or that a certain rule has a certain exception clause built in, or is to be interpreted in a certain way, when they argue that a putative case of conflict is resolvable [1][1]. Whether an individual moral philosopher has resolved a putative moral dilemma correctly is one question: whether the normative ethics she espouses has the wherewithal to resolve it is entirely different question, and it is the latter with which we are concerned here.

 

                의무론자들이 도덕 규칙들 사이의 상충문제가 해결 가능하다고 주장할 경우, 그들 개개의 견해, 예를 들어 어떤 규칙은 다른 규칙 보다 상위의 덕이라던가 어떤 규칙에는 필수적인 예외조항이 있다던가, 어떤 규칙은 어느 특정한 방식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등을 주장하는 각각의 견해에 동의할 필요가 없다는 것처럼, 지금 말한 이것이 윤리학이 구사할 있는 전략 하나임을 인정하기 위해서 여기 표명된 가지 관점에 동의해야 필요는 없다. 도덕 철학자 개개인이 도덕적 딜레마로 추정되는 일들을 옳게 해결했는가의 여부가 하나의 문제라면, 그가 신봉하는 규범 윤리학 이론에 문제를 해결할 방도가 있느냐의 여부는 그와 완전히 다른 문제다. 그리고 여기서 우리가 다루려는 것은 후자의 문제이다. 

 

            Given the similarity of their strategies, it is not surprisingly that, at this point, both deontologists and virtue ethicist may find themselves subject to the same objection. Do not their resolutions of dilemmas both depend, at bottom, on an entirely unsatisfactory notion, that of intuition (or ‘insight’ or ‘perception’ or ‘the exercise of judgment’)? How is one supposed to tell that this rule outranks that, or that this rule has a certain exception built in; how is one supposed to tell that ‘one does people no kindness by concealing this sort of truth from them’ except by intuition? Those philosophers who resolve the dilemmas in particular ways may say that,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exercise of judgment’. But if both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are going to wind up depending on some mysterious ‘exercise of judgment’ whenever they turn their attention to difficult cases, then it surely is only utilitarianism that can pretend to give us adequate action guidance.

 

                전략의 유사성을 놓고 , 지점에서, 의무론자들과 윤리학자들이 같은 반대에 처하기 쉽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근본적으로, 이론이 제시한 딜레마의 해법들은 직관 (또는 통찰, 인식, 또는 판단의 실행) 이라고 하는, 전혀 적합하지 못한 개념에 근거하고 있지 않은가? 직관에 기초하는 경우를 빼고서 어떻게 규칙이 규칙 보다 중요하다, 또는 규칙에는 필수적인 예외조항이 있다는 주장이 당연해지는가? 어떻게이런 종류의 진실을 은닉하는 것으로는 사람들에게 아무런 친절도 베풀지 못한다 주장이 당연해지는가? 어떤 특별한 방식으로 딜레마의 문제를 푸는 철학자들은, 지금의 경우에 관해판단의 실행 필수라고 주장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만일 의무론과 윤리학 모두가 다루기 어려운 사례에 주목하는 때마다판단의 실행이라는 애매모호한 개념에 의거하여 문제를 해결한다면, 우리에게 적절한 행위 지침을 제공할 있는 것은 오로지 공리주의뿐이라는 점은 분명해질 것이다.   

 



[1][1] Judith Jarvis Thomson’s deservedly famous article on abortion, ‘A Defense of Abortion’ (1971), illustrates this. The conflict between the foetus’s (putative) right to life and the mother’s right to determine what happens to her own body is in part resolved by a particular interpretation of what the right to life involves, namely the right not to be killed unjustly. The strategy is fine; what many people disagree with is Thomson’s resolution of the conflict.

 

 

 

To this possible objection at least some deontologists respond by denying the necessity for the dependence. These are the deontologists who still subscribe to the strong codifiability thesis that I mentioned at the end of the last chapter. They suppose (a) that they have (or will be able to formulate in time) a complete and consistent set of rules in which second-order ranking rules or principles settle any conflicts among first-order rules, which have been formed with much more precision than the ‘mother’s-knee’ versions, and which may also be supposed to have had many necessary exception clauses built into them. Such a system would determine what was required in every situation and (b) would not rely on intuition or insight to resolve conflicts. It would, in Onora O’Neil’s nice description, ‘be an algorithm not just for some situations but for life’.[1][2] So it seems that, at least in theory, deontology can solve the conflict problem in a way that virtue ethics cannot, without dependence on the dubious notion of ‘intuition’, or ‘exercise of judgment’.

 

                이렇게 제기될 있는 반론에 관해, 적어도 일부의 의무론자들은 그런 의존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대응을 보인다. 이들이 지난 장의 끝에 언급한 강력한 강령화 가능성의 문제에 계속적으로 찬성하는 의무론자들이다. 그들은 (a) 자신들에게 완전하고 일관된 일련의 규칙들이 있으며 (혹은 시기적절하게 그것들을 만들어 있을 것이며), 그것의 번째 규칙 또는 원칙들은 번째 규칙들이 낳은 상충의 문제를 해결하고, ‘ 어릴 배운 규칙들 보다 훨씬 정교하게 짜여지고, 또한 많은 필수 예외 조항들을 안에 내정하고 있다고 가정될 것이다.  그렇게 짜여진 규칙 체계는 모든 상황에서 무엇이 요구되는지를 결정해줄 것이며, (b) 규칙들의 상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관이나 통찰 따위에 의존하지 않을 것이다. 오노라 오닐의 적절한 설명에 따르면, 그것은비단 일부 상황이 아닌, 인생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쯤이 것이다. 그렇다면, 최소한 이론 상으로는 의무론은 윤리학이 없는 방식으로, ‘직관또는판단의 실천따위의 미심쩍은 개념들에 의존하지 않고서 상충 문제를 해결할 있다.

 

            Such deonologists presumably have a certain picture of what would count as an adequate normative ethics. According to this picture, and adequate normative ethics, one that is adequately action guiding, must be one that yields a decision procedure which can be used to resolve conflicts or settle moral quandaries without recourse to moral wisdom. Such a picture implicitly appeals to a certain test of adequacy of normative ethic which, at least on the face of it, act utilitarianism passes with flying colours, or it does indeed yield such a decision procedure. But, for several reasons, not all deontologists accept the production of an ‘algorithm for life’ independent of the exercise of judgment, as a suitable test of adequacy. Those who regard Kant’s ethics as ‘adequate’ may well reject it, for, as O’Neil notes, Kant himself insists that we can have no algorithm for judgment, since every application of a rule would itself need supplementing with further rules.[2][3]

 

                추정컨대, 그런 의무론자들은 무엇을 합당한 규범 윤리학으로 간주할 것인가에 관한 확실한 그림을 그려 놓고 있는 같다. 그에 따르자면, 적합한 규범 유리학에 따르자면, 적절한 행위 지도를 주는 윤리 이론은 도덕적 지혜에 의존하지 않고서 상충성의 문제나 도덕적 궁지의 문제를 해결할 적용할 있는 의사결정의 절차를 만들어낼 있어야만 한다. 그런 식의 구상은 규범 윤리학의 적합성에 관해 어떤 [자격] 시험과 같은 것을 말하려 하는 같고, 일견, 행위 공리주의는 대단한 성적으로 관문을 통과한 같다. 또는 그런 의사결정의 과정을 실제로 만들어 내고 있는 같다. 그런데, 가지 이유에서, 모든 의무론자들이 적합성의 시험으로서 판단의 실천과 독립된인생의 알고리즘 동의하고 있지는 않다.  칸트의 윤리학을합당한이론으로 간주하는 이들은 당연하게도 주장에 거부를 표할 것이다.  오닐이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모든 규칙의 적용은 자체로 추후의 규칙에 의해 보완의 필요를 띠기 때문에 우리는 판단을 위한 어떠한 알고리즘도 가질 없다고 주장한 사람이 바로 칸트이기 때문이다.



[1][2] ‘Abstraction, Idealization and Ideology in Ethics’.

[2][3] Ibi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