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명 : 연극 <코리올라누스> (Coriolanus)

일시 : 2025년 9월 11일(목) 19:30

장소 : 서울연극창작센터 서울씨어터202

원작자 : 셰익스피어

연출 : 이현우

출연

  - 문병설 (카이우스 마르티우스)

  - 이성용 (메네니우스 아그리파)

  - 원영애 (볼룸니아)

  - 황건 (툴루스 오피디우스)

  - 서송희 (씨키니우스 벨루투스)

  - 정종관 (주니우스 브루투스)

주관 : (사)고대극회


* 세줄평

연극 관람은 까마득히 오래만이다. 셰익스피어 원작이라니 드문 초대권 기회를 놓칠 수 없다. 수천 년 전 고대 로마의 정치 현실과 근래 국내 정치 상황이 절묘하게 맞물려 있다. 마르티우스, 즉 코리올라누스의 몰락은 분명 개인적 결함의 탓이 크다. 그가 조금만이라도 가면을 쓸 수 있었다면, 무서운 일이다. 민중은 절대선일까. 현대 민주주의 체제는 국민의 지지를 근간으로 하는데 그들의 판단과 선택은 무엇인가? 현대적 연출과, 혼신의 연기로 감동적인 공연이다. 세 시간 가까운 상연 시간으로 허리가 아픈 걸 제외한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공연명 : Beethoven Relay 피아니스트 가주연

일시 : 2025년 9월 5일(금) 19:30

장소 : 신영체임버홀

연주 : 가주연 (피아노)

프로그램

  - 베토벤, 빈터의 "아이야, 고요히 자고 싶다면" 주제에 의한 7개의 변주곡 F장조 WoO 75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1번 C장조 "발트슈타인" Op.53

  - 베토벤, 안단테 파보리 F장조 WoO 57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30번 A-flat 장조 Op.110


* 세줄평

좋아하는 베토벤 소나타 두 곡이 중심이 된 연주회다. 홀도 아담하고 울림이 좋아서 마음에 드는 곳이다. 피아니스트는 스케일이 크고 다이나믹을 강조한 연주를 하는데, 발트슈타인의 맹렬한 질주와 침잠의 대비도 좋지만, 30번 소나타의 정신적인 고양으로 이어지는 전개가 뛰어났다. 중간휴식 없이 진행하여 흐름이 단절되지 않은 부분도 인상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공연명 : 사직제례악(社稷祭禮樂)

일시 : 2025년 9월 3일(수) 19:30

장소 : 국립국악원 예악당

연주 : 국립국악원

프로그램 : 종묘제례악


* 세줄평

작년에는 '종묘제례악', 금년에는 '사직제례악'이다. 자고로 종묘사직이라고 쌍으로 묶였으니 비로소 균형이 맞는다. 제례악 관람을 하였고, 종묘대제도 구경을 한 덕분에 제례 자체와 일무는 생소하지 않다. 때문일까 집중력이 약해지는 고비가 수차례 있었다. 음악이 상대적으로 평이하다. 몇가지 생소한 악기가 흥미롭다. 관악기 훈, 타악기 영도와 영고가 그렇다. 특종과 특경은 등가에 있어서 제대로 볼 수 없었다. 끝나고 나오니 관람객에게 다과를 나누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신의 화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6
치누아 아체베 지음, 이소영 옮김 / 민음사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작 두 편이 우무오피아 마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면, 이 작품은 같은 이보족이지만 우무아로 여섯 마을을 배경으로 한다. 우무아로는 다른 이보족과 달리 여전히 기독교와 유럽문화에 개방적이지 않다. 비록 군사적, 행정적으로는 영국 식민 지배 체제에 속하지만, 마을의 일상적인 삶은 철저히 전통적이다. 여기 주인공인 대사제 에제울루가 종교적으로 이들을 지배한다.

 

이 소설은 구한말 우리네 과거사를 상기시킨다. 근대문명의 강력한 힘을 지닌 외세의 압력 속에서 사람들은 두 가지 반응으로 대응한다. 소수의 개화파와, 다수의 수구파. 소설 속 모제스와 은워디카는 전자에 속한다. 그들은 백인과 유럽 문명의 발전상과 힘을 일찌감치 알아차리고 그 속에서 기회를 잡기 위해 노력한다. 동족들에게는 타락자, 배신자나 앞잡이로 폄하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들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에제울루는 모순적 인물이다. 그가 세속적 명예욕과 지위를 탐하고 있지 않음은 영국 식민 체제가 제안한 우무아로의 족장 또는 왕 자리를 거부함에서 드러난다. 그는 우무아로와 옥페리 간 전쟁을 일거에 종결시킨 백인 세력의 위력을 깨닫고, 아들 오두체를 교회에 보낸다. 백인들의 지식을 빠르고 철저하게 습득하여 자신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소위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 중체서용론(中體西用論)과 비슷한 입장이다.

 

여섯 마을이 분열되면서 적들이 모든 잘못을 그에게 덮어씌우려고 해서 엄청난 분노가 끓어올랐기 때문이다. 무슨 연유에서 그러는가? 그것은 에제울루가 백인 앞에서 진실을 말했기 때문이다. (P.21)

 

그의 치명적 잘못은 마을에서 점차 약해지고 흔들리는 울루 신과 대사제 자신에 대한 입지를 파괴적으로 복수하려는 데 있다. 그는 외세와 싸우는 게 아니라 동족들을 적으로 상대한다. 우무아로와 옥페리 간 영토 분쟁에 있어 부족에 불리한 증언-물론 덕분에 윈터바텀으로 하여금 유일하게 정직한 원주민이라는 평가를 얻지만-을 하여 원성을 자초한다. 은와카와 에지데밀리의 노골적인 적대시. 마을을 떠나서는 안 되는 대사제 신분임에도 백인들의 소환에 무력하게 응하도록 방치하는 부족민들을 향한 노여움.

 

자기들끼리는 분열되더라도 외세의 위협 앞에서는 단합하는 게 일반적인 속성인데, 에제울루는 그렇지 않았다. 극심한 분노는 오히려 자신을 장기간 구금하였던 백인을 오히려 동지로 간주하고, 자기 부족을 도리어 적으로 삼는 적전 분열의 행위이자 중대한 오판이다. 그는 자신이 대사제로서 울루 신과 에제울루의 막강하고 파괴적인 힘을 드러내 보이려고 한다. 누구도 자신들에게 대들고 맞먹지 못하게끔. 비록 우무아로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는 한이 있더라도 말이다.

 

하지만 그가 당장에 맞서 싸워야 할 대상은 자기 부족 사람들이었으며 백인은 자신도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그의 동지가 되어 있었다. 그가 옥페리에 억류되어 있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그의 노여움과 싸워야 할 근거는 한층 더 커져만 갔다. (P.308)

 

우무아로 마을에 울루 신만 있던 전통 사회였다면 에제울루의 작전은 통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대안이 없으므로. 하지만 이제는 아니다. 교회와 기독교가 백인 식민 체제에 힘입어 교세를 확장하고 있는 단계가 아닌가. 교회는 솔깃한 제안으로 고통받는 부족민들을 유혹한다. 이러한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에제울루의 아들 오두체를 향한 분노는 이것의 중차대한 성격을 드러낸다. 한층 치명적인 것은 아들 오비카의 갑작스러운 죽음이다. 부족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투쟁에서 에제울루가 오로지 믿는 바는 울루 신이 부여한 정당성인데, 대사제의 가장 뛰어난 아들이 원인 모르게 급사하였다는 사실은 대사제의 투쟁이 신에게조차 버림받았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울루 신은 어째서 자기를 이런 식으로, 그러니까 그를 때려눕힌 다음 진흙으로 덮어 버리는 식으로 그를 다룬단 말인가? 그는 자꾸자꾸 되물었다. 그가 무슨 죄를 저질렀던가? 신의 뜻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복종하지 않았던 것일까? (P.398)

 

대사제의 승부수는 완전한 패착이 되고 말았다. 여기서 신의 존재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에제울루는 모든 게 울루 신의 뜻이며, 자신은 단지 신의 명령을 수행하는 화살에 지나지 않는다고 강변한다. 우무아로 여섯 마을을 통합하기 위해 최고 신으로 모셔 온 울루 신이 우무아로를 사지로 내몬다고 할 때 신의 의미는 무색해진다. 결국 울루 신은 대사제 에제울루의 잘못된 신탁의 결과로 부족민의 믿음을 잃게 된다.

 

그들의 신은 고집스럽고 야망에 찬 사제에 대항하는 부족민들과 한편이 되었다. 그러니까 개인은 아무리 훌륭하다 해도 부족민들보다 훌륭할 수 없으며 어느 누구도 부족민의 의견에 반하는 결정을 절대로 얻어 낼 수 없다는 조상들의 지혜를 확인시켜 주었다.

만일 상황이 이렇다면 울루 신은 아주 위험한 시기를 선택해 이런 진리를 확인했던 것이었다. (P.399)

 

이 소설을 나이지리아 이보족 전통 사회 대 백인 식민 지배 체제, 울루 신을 정점으로 하는 토착 종교 대 기독교, 에제울루와 같은 통합주의자 대 은와카와 에지데밀리 같은 세속주의자 또는 분열주의자, 윈터바텀 대 클라크, 라이트 같은 대립하는 백인 지배층의 지배적 사고로 구성된 작품으로만 간주하면 곤란하다. 이러한 구조와 갈등이 작품의 기본 축을 형성하지만, 작가는 양측 어디도 편애하지 않는다. 이보족 출신 작가로서 전통 사회를 옹호하고, 당연히 백인 식민 체제를 비판할 것 같지만 의외로 작가는 굉장히 중립적이고 관조적이다. 그는 누구의 시시비비도 공개적으로 평하지 않는다. 모든 것을 독자에게 제시하고 독자가 주체적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이 작품이 진정으로 흥미로운 대목은 나이지리아 이보족의 풍부한 문화 요소다.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아체베는 소설에 이보족의 전통문화를 담뿍 담고 있다. 문장에 속담, 가요, 민담 같은 소재를 도입할 뿐만 아니라 고유명사를 번역하지 않고 직접 사용하는가 하면, 전통 축제와 풍습도 분량을 할애하여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민속적 장면은 호박잎 축제(7), 결혼 풍습(11), 아쿠우 은로 날(17), 장례 풍속(19)에서 풍성하게 묘사된다. 이 소설을 읽는 묘미의 하나에 해당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연명 : 알테무지크서울 제25회 정기연주회 - 비올라 다 감바 콘체르타타

일시 : 2025년 8월 30일(토) 14:00

장소 : 예술의전당 IBK기업은행챔버홀

연주 : 알테무지크서울

  - 음악감독, 비올라 다 감바 : 강효정

  - 바로크 바이올린 : 김은식, 김상하

  - 바로크 비올라 : 안지원

  - 바로크 첼로 : 이유민

  - 바로크 베이스 : 박연희

  - 쳄발로 : 이승민

프로그램

  - 텔레만, 비올라 다 감바와 현악기를 위한 모음곡 D장조 TWV 55:D6

  - 파이퍼, 바이롤 다 감바를 위한 협주곡 A장조

  - 아벨, 비올라 다 감바를 위한 무반주 모음곡 D단조

  - 그라운, 비올라 다 감바를 위한 협주곡 G장조 GraunWV Av:XIII:36


* 세줄평

고음악 앙상블 공연은 처음이다. 소음량이고 편성 단촐하다보니 IBK챔버홀도 살짝 버겁다는 느낌이 든다. 제대로 아는 곡은 하나도 없다. 밝고 고아하고 경쾌한 음악들이다. 비올라 다 감바 음색을 느끼기에 아쉽다는 생각은 아벨의 곡에서 해소되었다. 파이퍼와 그라운의 협주곡이 활력 넘쳐 재미있게 다가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