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한사람을 제외한 모든 사람이 눈이 먼다고? 가정이 신선(?)하다 싶어 고른 책인데 나에겐 신선을 넘어 충격이었다. 내 발이 배설물이 가득한 길에 빠져있는 느낌, 내 옷이 피에 젖은 느낌...차라리 눈이 멀어 그 참담함을 보고 싶지 않다고 했던 '의사의 아내'의 마음을 공감할 것 같았다.

인간은 무엇인가? 이런 생각을 오랜만에 하게된다. 눈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어떤 면에서는 남의 눈을 의식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모든 껍데기를 벗고나면 인간에게 남는 건 무엇일까?읽는 내내 작가의 강렬한 도전에 책을 놓을 수가 없었다. 하지만 작가는 긍정과 희망을 보여주었었다. 사실 한 사람만 눈이 멀지 않는다는 책소개를 읽었을때 그가 누구인지는 모르지만 눈먼자들을 지배하며 군림하겠거니 생각했었다. 도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 할 수 도 있지만 순간순간 갈등하며 스스로 선택해가는 게 인간일거다. 물론 이 책에는 '본성'만 남은 사람들의 모습도 많이 그려진다. 하지만 그들의 모습은 읽을 땐 그 악한 모습에 가슴이 정말 미어지는 것 같았지만 그리 오래 남지 않았다.

이 책을 읽으며 내가 눈이 먼다면, 그리고 이와 같은 상황이 된다면 모든것이 끝이라는 막막함이 계속되었었다. 하지만 그래도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며, 비가 내려 더러운 것들을 씻어내리는 모습을 보며 '긍정'에 대해 배우게 되었다. 책의 뒷부분에는 아내와 딸은 식량을 구하러 보내고, 보이지 않는 눈으로 글을 쓰는 작가가 나온다. 자신의 모습이었을까..그를 보며 인간은 그래도 '의식주' 이상의 필요가 있는 존재임을 그리고 문학이 왜 힘이 있는지도 느끼게 된다. 

그런데 난...열흘만에 출장에서 돌아 온 남편을 옆에 앉혀두고 이 책만 들여다보았다. 남편을 따라 수용소에 들어간 '의사의 아내'의 사랑에 감동하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