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역할 훈련 토머스 고든의 '역할 훈련' 시리즈 1
토마스 고든 지음, 이훈구 옮김 / 양철북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육아 관련 서적을 읽다보면 혼란스러울 때가 있다. 정말 너무도 다양한 이야기들(게다가 공감이 가는)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읽은 이 책도 많이 공감을 하며 읽은 책으로 실제 미국에서 (우리나라에도 부모역할훈련 코스가 있는 것으로 알고있다) 이 과정을 통해 많은 부모와 자녀의 관계 회복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이 책은 현실감있는 많은 실례들을 들며 부모,자녀 간의 의사 소통과 갈등 해결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 책을 읽으며 마음이 편해진건 사실이다. 이대로만 된다면 하는 희망으로...

이 책에서는 대부분의 부모를 세 유형으로 분류한다.
'승자형'부모는 아이에게 권위나 권력을 행사하는 것을 당연히 여기면서 자신의 권리는 포기하지 않고 아이에게 한계를 정하고 명령하며, 갈등이 생길 경우 자기의 의사를 관철시키는 것으로 해결한다.
'패자형'부모는 아이에게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않으며 권위적 방식을 따르지 않는것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갈등이 발생하면 아이를 실망시키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아이가 이기는 쪽으로 해결한다.
'동요형' 부모는 위의 두 방식을 '신중하게 병행'하여 엄격함과 관대함, 구속과 자유, 이기기와 지기에서 왔다갔다 한다.

저자는 부모들이 가정에서 일어나는 갈등 상황을 한 쪽이 지고 한쪽이 이기는 힘겨루기로 여기고 이기거나 지는, 효과적이지 않은 방법만을 생각하는 것을 문제로 지적하며 '무패방법'을 제시한다.

우선 갈등이 있을 경우 아이에게 속한 문제인지, 부모에게 속한 문제인지를 구분하고 아이에게 속한 문제인 경우 (친구가 자기를 싫다고 한다,숙제가 너무 어렵다, 선생님이 싫다) '적극적인 듣기'로 해결해간다. '적극적인 듣기'는 아이를 훈계하고 캐묻거나 달래는 대신 자녀가 감정을 터놓고 스스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찾아가도록 공감하며 들어주는 것이다.

부모에게 속한 문제인 경우는 (거실에 늘어놓은 장난감을 치우지 않는다, 자꾸 책을 읽어달라고 조른다, 친구와 대화하는데 방해를 한다) 나-메세지로 해결한다. 나-메세지는 부모의 감정과 부모에게 미치는 영향을 솔직히 표현하는 것으로 ("귀찮게 하지마" 대신 "피곤하구나") 아이가 비난을 받는다고 느끼는 대신 부모의 필요를 존중하고 좀더 낫게 행동을 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결되어지지 않은 문제의 경우 부모와 자녀 모두 합의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결정된 방안을 실천하려는 동기를 높이고, 아이의 사고력을 키우며 적대감이 줄고 관계가 더욱 친밀해질 수 있다고 한다.

이 책의 저자는 아이는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자기 감정을 다스리고 문제를 해결해갈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또한 부모가 권위를 내세워 자녀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다. 사실그 점에 대해 완전히 공감을 할 수는 없다.(갈팡질팡중) 하지만 갈등은 관계를 더 결속시킬 수도 있는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라는 말에는 위안(?)마저 받는다.

또한 부모도 감정을 가진 사람으로 항상 일관성있게 자녀를 대하기는 힘들며, 솔직하고 진실한 모습을 보여줄 때 진정한 관계가 만들어진다는 말에 마음이 가벼워지기도 했다.
그리고, 가치관의 경우 권위나 설득으로 가르칠 수 없으며 부모의 삶을 통해 본을 보이고 상담자의 입장에서 이끌어주어야 한다는 말과 아이를 자신이 생각하는 '좋은 아이'로 만들려는 생각에서 벗어나고, 바꿀수 없는 것은 평온하게 받아들이라는 말이 마음에 남는다.

이 책의 14장의 제목은 '부모로서의 자격을 박탈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이다. 처절하게까지 들리는 이 제목은 청소년기로 갈수록 부모와의 벽이 높아지는 현실을 담고 있다. 나와는 아직 좀 먼일 같지만 남의 일이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자녀를 키운다는건 어려운것 같지만 한 고비를 넘길때마다 즐거운 일이 될수도 있다. 나와 우리 아이들은 어떤 관계로 되어갈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