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탄생 - 다빈치에서 파인먼까지 창조성을 빛낸 사람들의 13가지 생각도구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외 지음, 박종성 옮김 / 에코의서재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감을 줄 수 있는 책. 멋진 글귀와 신통방통한 사례들의 집대성. 그러나 그 정도인가 싶기도 한 책. 역자가 저자들만큼 다방면을 섭렵하지는 못했던지 오역들이 눈에 띈다.


  요컨대 '창의적 사고'란 '닮은 것을 다르게, 다른 것을 닮게' 결합하고 표현하는, '통합적 사고'가 아닌가 한다.

"(모든 과학은 예술에 닿아 있다. 모든 예술에는 과학적인 측면이 있다. 따라서...) 최악의 과학자는 예술가가 아닌 과학자이며 최악의 예술가는 과학자가 아닌 예술가이다." - 프랑스의 물리학자 아르망 트루소Armand Trousseau

"예술은 사람들이 진실을 깨닫게 만드는 거짓말" - 피카소

"현상은 복잡하다. 법칙은 단순하다. …… 버릴 게 무엇인지 알아내라." - 리처드 파인먼

"지휘는 몸 전체를 가직 `음악의 형상`을 춤으로 표현하는 일" - 오자와 세이지

"우리의 두뇌는 색과 소리를 매우 다르게 받아들인다. 우리는 동시에 연주되는 개별 악기들의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그 음들이 합쳐 내는 전체음을 들을 수 있다. 부분과 전체를 동시에 지각하는 이런 능력은 대부분의 시각예술, 특히 색채에 기반을 둔 예술에서는 발휘될 수 없다. 색채가 혼합되기 때문이다. 만일 우리가 노란색과 파란색의 점들을 나란히 늘어놓아 그림을 그린 다음 누군가에게 보여주면 그는 녹색의 그림을 보게 된다. 비록 이 녹색이 다른 색을 띤 낱개의 점이나 화소로 환원될 수 있다 해도 그렇다 이것이 컬러인쇄, 컬러 TV, 쇠라의 그림과 같은 점묘주의 미술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오늘날의 세계에서는 `모든 것`이 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것`도 되지 못한다.` - C.H. 워딩턴, 『미래의 생물학과 역사학』 중에서

프랑스의 철학자 디드로는 인간의 감각(소질)을 `진동하는 민감한 현`에 비유하면서, 진동하는 현이 다른 현을 진동시키듯 `생각도 두 번째 생각을 호출하고, 두 생각이 모여 세 번째 생각을 불러내고, 이 셋이 다시 네 번째를 끌어내는 등 계속 이어지게 된다`고 한다. 이런 식으로 이어지는 생각의 범위나 수에는 어떤 제한도 있을 수 없었다. 그는 `마음의 악기는 놀라운 도약을 가능하게 하며, 불려나온 하나의 생각은 때때로 불가해한 간격으로 `배음`을 시작한다`고 말했다(인용자 다소 수정).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5-02-13 09: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책 제대로 읽어보지 않았는데 오랜만에 읽고 싶어지는군요. ^^

묵향 2015-02-13 12:27   좋아요 0 | URL
예, 누군가는 책으로 냈어야 할 내용을 부부 연구자가 잘 모아 펴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