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장에서 ‘성인聖人‘이라는 말이 처음으로 나오는데, 『도덕경』 전체에서 약 30번 정도 사용되는 중요한 말이다. 어원적으로 귀가 밝은 사람, 귀가 밝아 보통 사람이 감지하지 못하는 것도 잘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우리말로 성인이라고 하면 ‘윤리적으로 완벽한 사람‘ 정도로 생각하기 쉬우나 성인의 본래 뜻은 이런 윤리적 차원을 넘어, 말하자면 ‘특이한 감지 능력의 활성화‘를 통해 만물의 근원, 만물의 ‘참됨‘, 만물의 ‘그러함‘을 꿰뚫어보고 거기에 따라 자유롭게 물 흐르듯 살아가는 사람을 뜻한다. 이런 사람이 『도덕경』에서 그리는 이상적인 인간형이다. - P27

이런 성인은 ‘무위無爲‘를 실천하는 사람이다. ‘무위‘ 라는 것은 『도덕경』에서, 그리고 『장자』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행동 원리다. 따라서 앞으로도 계속 등장한다. 무위란 물론 ‘행위가 없음(non-action)‘이다. 그러나 가만히 앉아서 무위 도식하거나 빈둥거린다는 뜻이 결코 아니다. 무위란 보통 인간사에서 발견되는 인위적 행위, 과장된 행위, 계산된 행위, 쓸데없는 행위, 남을 의식하고 남 보라고 하는 행위, 자기 중심적 행위, 부산하게 설치는 행위, 억지로 하는 행위, 남의 일에 간섭하는 행위, 함부로 하는 행위 등 일체의 부자연스런 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행동이 너무나 자연스럽고(natural)너무 자발적(spontaneous)이어서 자기가 하는 행동이 구태여 행동으로 느껴지지 않는 행동, 그래서 행동이라 이름할 수도 없는 행동, 그런 행동이 바로 ‘무위의 위無爲之爲‘, ‘함이 없는 함‘ 이라는 것이다. - P27

"말이 많으면 좋지 않다"고 하는 것은 『도덕경』뿐 아니라 거의 모든 종교에서 가르치는 교훈이다. 일상 생활 중에 말이 많으면 그만큼 실수하기 쉽고 쓸데없는 말로 남에게 상처를 줄 수도 있으니 말 많은 것이 좋지 않다는 것도 사실이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도같이 궁극적인 것에 대하여 말을 하는 것은 옳은 일이 못 된다는 뜻이리라. - P41

하늘과 땅은 영원한데
하늘과 땅이 영원한 까닭은
자기 스스로를 위해 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참삶을 사는 것입니다.

성인도 마찬가지.
자기를 앞세우지 않기에 앞서게 되고,
자기를 버리기에 자기를 보존합니다.

나를 비우는 것이
진정으로 나를 완성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 P4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1-01-23 13: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아끼는 책 중 하나입니다. ^^

베텔게우스 2021-01-24 00:20   좋아요 0 | URL
우왓, 그러시군요!ㅎㅎ 저도 이 책 많이 아끼게 될 것 같아요. 단편적인 구절들로만 접해보다가 처음으로 제대로 읽고있네요. 꾸밈없고 담백한 글들이 참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