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affection)
어떤 대상에 갖는 일반적인 느낌 상태를 말한다. 환경 자극에 대해 일시적으로 유지되는 기분 상태인 정서나, 강렬함이 비교적 낮고 확산적이며 지속적인 상태로 유지되는 기분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정서(emotion)
주변의 환경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생리적ㆍ심리적ㆍ행동적 반응을 수반하는 심리 상태를 말한다. 서로 다른 정서 경험에 따라 사람들은 서로 다른 행동 반응을 하게 된다. 인간이 어떤 환경에 놓였을 때 생존할 수 있는 바람직한 행동을 유발하며, 기본 정서는 크게 공포, 혐오, 분노, 놀람, 기쁨, 슬픔으로 구분한다. 최근에는 생존에 필요한 이 여섯 가지 기본 정서에 경멸이나 자부심 등을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인지평가 이론(cognitive evaluation theory)
생리적 반응에 대한 요소는 포함하지 않고 자신을 둘러싼 환경이나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평가하느냐에 따라 정서 경험이 결정된다고 보는 이론으로, 이때의 해석이나 평가가 우리의 머릿속에서 일어나므로 이를 인지평가 이론이라고 부른다.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사회 정서에 대한 이해는 인지적 관점에서 더 잘 설명될 수 있다.

거울신경(mirror neuron)
정서 공감과 관련해 많이 언급되는 생리학적 기반 중 하나로 타인의 행동이나 심리를 이해하는 데 기반이 되는, 뇌신경에서 빼놓을 수 없는 세포다. 자신이 직접 행동할 때 관여하는 신경과 타인의 동일 행동을 관찰할 때 관여하는 신경이 같고, 타인의 행동을 자신이 행동하는 것처럼 반영한다고 하여 거울신경이라고 부른다. 정서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관계 형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정서 지능(emotional intelligence)
자신과 타인의 정서 상태를 이해하고 보다 나은 결과를 만들기 위해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이다. 사회적 관계를 잘 형성하고 그 관계를 기반으로 해야 할 일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사회적 지능이라고 하는데, 정서 지능은 바로 이런 사회적 지능과 연계되어 있는 중요한 인간의 사회적 능력이다.

확장-구축 이론(broaden and build theory)
긍정 정서는 개인의 생각과 행동의 범주를 확장시켜 어떤 일이나 상황에 적극적으로 몰입할 수 있는 심리적 상태를 만든다. 이것을 확장-구축 이론이라고 한다. 특히 창의적 문제 해결은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확산적 사고가 중요한데, 긍정 정서가 사고의 확장성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많은 연구 결과가 말하고 있다.

집단 정서(group emotion)
집단 내에서 공유하는 정서를 말한다. 우리 각자가 집단을 대표해서 느끼는 정서가 집단 대표 정서라면, 집단 정서는 집단 내에 있음으로 해서 느끼는 정서다. 정서를 유발하는 사건을 동시에 같은 공간에서 경험하면 정서의 유대감이 발생하고, 개인의 정서 경험 또한 강화된다.

자의식 정서(self-conscious emotions)
슬픔, 분노, 공격처럼 개인의 생존과 관련된 정서를 기본 정서라고 한다면, 수치심, 죄책감, 선망, 자부심, 오만은 사회적ㆍ도덕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서다. 이 정서들은 자기개념, 즉 나 자신에 대한 이해와 자존감을 기반으로 경험하는 정서이며, 대인관계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의식 정서는 크게 자기평가 정서와 사회비교 정서로 나뉜다.

우리는 왜 감정의 존재로서의 나를 이해해야 할까? 이 질문에 대해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는 이야기들을 이 책에 담고자 했다. 그래서 머리만으로 읽기보다 마음과 함께 이 책을 읽기를 권한다.

인간은 평생을 살아가면서 아주 다양한 희로애락을 경험한다. 때로는 슬프고 화나는 일도 있지만, 때로는 즐겁고 기쁜 일들이 있기에 그것을 통해 힘들고 어려운 순간들을 견뎌낸다. 그러면서 인간은 성취감을 느끼게 되고, 그런 과정을 통해 살아가는 의미를 발견한다. 우리에게 감정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래서 우울한 마음도 기쁜 마음도 느끼지 못한다면 과연 우리는 행복할까?

데카르트를 포함한 근대 철학자들에게 있어서 이성과 감정은 서로 대립하는 것이었다. 이성은 다른 유기체와 구별되는 인간만이 갖고 있는 미덕virtue으로 여겼고, 감정과 충동, 욕구는 동물의 영역으로 구분했다.

인간은 사회적 군집을 통해 살아가는 존재이기에, 공동체 생활을 하는 동안 모멸감을 느끼느냐, 자부심을 느끼느냐 하는 것은 생활, 더 나아가 삶의 의미에 큰 차이를 만들어낸다. 특히 모멸감의 경험은 개인에 대한 심각한 존재 위협이 되고, 이로 인해 자살 등 안타까운 선택을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 감정적인 사람입니다.

😢 ᆢ 😢 😢 화난다.
업데이트후 걸음수 연동이 안된다.
지우고 다시 깔았는데도 안된다.
폰이 문젠지. 아내의 폰은 잘 되더라.

갤럭시 S24 Ultra
이 앱 뿐만 아니라 오류나는 앱이 여러개다.

해결 방안이 없을까?

알라딘 CS에 멜은 보내놨다.
답변은 없다.

해결했다. 기쁘다.

역시,

저, 감정적인 사람입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넬로페 2024-11-19 08: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럴때는 구글 피트니스 클릭하면 다시 연결되던데요.
북플의 걸음수를 클릭하면 그 다음 구글에 들어가라는 안내가 있거든요.
그걸 바로 클릭하면 다시 작동 되었어요^^

대장정 2024-11-19 09:12   좋아요 2 | URL
저 동그라미친 신발 말씅하시는거죠. 북플 걸음수 눌러봤는데 새로고침 되는거 같은데 0 그대로예요. 구글 피트니스는 어디있는 건가요 😭 피트니스 깔았어요. 안되요 😢 😭

페넬로페 2024-11-19 09:13   좋아요 1 | URL
보통 그곳을 클릭하면 됐는데~~
오늘은 구글 헬스 커넥션이 있어 허용했거든요.
구글에 들어가야 할까요?
아님 핸폰 전원을 껐다가 조금 있다 다시 부팅해 보시면 어떨까요!

대장정 2024-11-19 09:25   좋아요 2 | URL
네, 감사합니다. 그거도 허용했는데 안되네요. 신경써주셔 감사합니다.

대장정 2024-11-19 09:39   좋아요 2 | URL
해결됐습니다. 구글피트니스 들어가서 먼가 잔뜩 허용하고 북플을 네이버로 로그인했었는데 구글로 다시 로긴하니까 되네요. 캄사합니다.
 

완벽한 기억은 좋은 것인가?
컴퓨터가 인간 뇌의 학습과 기억 원리를 완벽히 구현하면 아마도 인간과 비슷해지는 게 아니라 인간보다 더 완벽한 학습과 기억을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우리는 세월이 흐르면 기억을 잘하지 못하는 게 정상이지만, 컴퓨터는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모든 것을 아주 또렷이 사진처럼 기억하는 일이 벌어질 수도 있다.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라는 유명한 심리학자가 했던 말을 잊지 말자. "잊어버리는 것은 기억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능력이며, 벌어진 모든 일을 기억하는 것은 아무것도 기억하지 못하는 것과 같을 수 있다."

뇌는 우리에게 완전한 기억을 제공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화기억은 리메이크된다
뇌인지과학적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뇌는 다시 기억을 꺼내는 과정에서 앞의 그림 속 깨진 접시의 빈 곳을 그럴듯하게 메꾸는 전략을 취함으로써 마치 모든 것을 기억하고 있다고 착각하게 만든다. 즉 없는 정보를 현재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유추inference’해낸다. 뇌의 신경망은 이처럼 ‘빈 곳 채워 넣기’를 너무도 자연스럽게 하므로 우리는 거의 이를 느끼지 못한다.

해마가 이처럼 불완전한 일화기억을 인출하면서 불완전한 부분을 다시 완전하게 복원하는 것을 기억의 ‘재구성reconstruction’이라고 부른다.

즉, 우리의 기억은 사진처럼 찍은 상태 그대로 다시 꺼내 보는 것이 아니라 꺼낼 때 다시 퍼즐처럼 짜 맞춰서 재구성해야만 의미가 있는 그런 정보이다.

우리의 뇌는 조금씩 조금씩 매번 다르게 보이는 자극이 자신의 기억 속 정보와 얼마나 다른지 끊임없이 비교하고, 그 결과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으면 자신의 기억 속에 있는 물체나 장소에 대한 정보와 동일시하는 전략을 취한다. 이러한 정보처리 방식을 일반화generalization라고 한다.

뇌의 작동 원리를 완전히 알아낸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영화에서처럼 누군가의 기억과 경험을 조작하는 위험한 일이 생길까? 혹은 이미 신경망이 손상된 사람들이나 PTSD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다시 행복해질까? 그리고 지금의 인공지능은 비로소 우리 뇌와 비슷해질 수 있을까?

우리나라와 같이 교육열이 높은 곳에서 예를 들어 ‘수능이 얼마 안 남았죠. 물리Ⅱ를 한 달 만에 완성하고 싶으십니까? 기억을 심어드립니다.’ 이런 광고가 TV에 등장한다고 생각해보면 상상하기 쉬울 것 같다.

"The idea behind digital computers may be explained by saying that these machines are intended to carry out any operations which could be done by a human computer."34 이 말을 번역해보면 이렇다. "디지털 컴퓨터라는 아이디어를 쉽게 설명하자면, 인간이 하는 모든 사고를 똑같이 할 수 있는 기계를 말하는 것이다."

하사비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If we want computers to discover new knowledge, then we must give them the ability to truly learn for themselves(컴퓨터가 우리를 위해 새로운 지식을 발견해주기를 원한다면 컴퓨터가 정말로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