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혼자 이곳에 왔고, 그게 잘못된 판단이었음을 깨닫고있다. 루지가 함께 가주겠다고 했을 때 제안을 받아들였어야했는데, 용기와 대담함도, 생존 지식도 부족하면서 대체 왜 혼자 오겠다고 우겼던 걸까. 후회하면서도 나는 내가 그럴 수밖에 없던 이유를 생각한다.

어제까지는 인정하지 않았지만, 오늘 내가 같은 복도를 다섯 번째 지나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기록한 지도는 엉망이었다. 그것이 지도 기록에서 음성 기록으로 일지 형식을 바꾼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예솔, "필리핀 화산, ‘대폭발 징후’ 보여···"경보 4단계 유지 중"", 《데일리 이코노미》, 2020. 1. 15. https://naver.me/xoYTj9uV
온케이웨더 http://www.onkweather.com/mobile/bbs_view.html?bo_table=eco2&wr_id=346
국립기상과학원 http://www.nims.go.kr/?sub_num=849

고재원, "공기오염 해결책, 엔지니어링 아니라 과학에서 답 찾아야", 《동아사이언스》, 2019. 6. 23.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9477

Kelsey Piper, "Human history, in one chart," VOX, November 8, 2018.
https://www.vox.com/future-perfect/2018/11/8/18052076/human-history-inone-chart-industrial-revolution

배문규, "[단독]해마다 바닷새 5000마리, ‘한국산 플라스틱 쓰레기’ 먹고 죽는다", ≪경향신문≫, 2019. 07. 22.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907220600045

김태환, "[과학TALK] ‘플라스틱 프리’ 외치는 과학계···대체재 개발연구 ‘봇물’", ≪조선비즈≫, 2019. 05. 05.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5/03/2019050302401.html

이승한, "노르웨이 양식 연어 "친환경 수산물로 국제인증"", ≪중앙일보≫, 2019. 03. 01. htps://news.joins.com/article/23407649

정우진, 「에너지ㆍ식량ㆍ물 불안 가속화」, FUTURE HORIZON, 23,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pp. 16-19.
http://stepi.re.kr/app/publish/view.jsp?cmsCd=CM0022&categCd=A0505&ntNo=23&sort=PUBDATE&sdt=&edt=&src=&srcTemp=&opt=N&currtPg=1

한국수자원공사ㆍ(주)날리지웍스, 「물-에너지-식량 연계(Water-Energy-Food Nexus) 기술 개발 기획 최종보고서」, 건설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7.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TRKO&cn=TRKO201700009476&rn=&url=&pageCode=PG18

최재천, "[동물학자의 인간 견문록] 국가미래전략청이 필요하다", ≪중앙선데이≫, 2008. 1. 13. http://news.joins.com/article/3009149

이용성, "인구 증가로 주목받는 식량ㆍ에너지ㆍ자원 보고 바다 경제효과 2800조원의 ‘블루 오션’··· 첨단기술 접목 활발", 《이코노미 조선》, 2017. 2. 13.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0&t_num=11221

강의영, "명량대첩 당시 바닷물 흐름 밝혀냈다", ≪연합뉴스≫, 2010. 10. 21.
https://www.yna.co.kr/view/AKR20101021102400003

스마트마인즈 https://smartminds.io/14-amazing-facts-about-our-oceans

대서양 해양기상 연구실 https://www.aoml.noaa.gov/phod/graphics/dacdata/globpop_countries.gif

오션사이트 http://www.oceansites.org

관측 시스템 모니터링 센터 http://osmc.noaa.gov/OSMC

https://naver.me/xoYTj9uV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라스틱, 최악의 쓰레기섬을 만들다
밥상에 차려진 해양오염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것들이 아닌 인공적으로 만든 대부분의 것들, 특히 플라스틱의 경우 분해되거나 썩지 않고 태평양 연안뿐만 아니라 대양 한가운데로 몰려와 결국 거대한 쓰레기 섬이 된다.

남북한을 합친 면적보다 몇 배 이상에 이를 정도로 면적이 상당하고, 무게는 350만 톤에 달한다고 한다.

태평양 거대 쓰레기 섬은 항해사인 마이클 무어Charles Moore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는데, 충격적인 장면을 본 그는 이후 환경운동가로 변신하게 된다.

미세 플라스틱은 생물들이 이를 먹이로 오해하고 먹을 경우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에게까지 올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위협적이다. 결국 우리 밥상에 플라스틱이 올라오는 것이다.

플라스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과 동시에 플라스틱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먼저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야말로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해양오염의 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배출을 줄이는 것이야말로 제일의 방법이다.

먼저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야말로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해양오염의 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배출을 줄이는 것이야말로 제일의 방법이다.

개척되지 않은 블루오션,심해 자원
물 전쟁이 도래할 것인가

자원 부족은 갈등을 일으키고 전쟁의 씨앗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구 운명의 날을 가깝게 하는 요인이다. 특히 물, 에너지, 식량은 서로 밀접히 연관을 가지는 만큼, 위기를 더욱 증폭시킨다.

나는 21세기에는 물을 차지하기 위한 전쟁이 일어날 것이라는 불길한 예감을 떨칠 수 없다. 물 전쟁은 석유 전쟁과는 차원이 다를 것이다. 석유는 모자라면 다른 연료를 찾으면 되지만 물은 대체가 불가능하다.

이런 상황에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은 전 지구적 위기를 경고하며 아예 지구에서 떠날 것을 권하고 있다.

인류가 지구온난화를 되돌릴 수 없는 시점에 근접해 있습니다. 인류가 멸종할 정도의 대재앙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200년 안에 지구를 떠나야 합니다.

현재까지의 우주탐사 기술에 비추어 볼 때, 우리에게는 다른 대안이 없어 보인다.

결국 답은 우리 스스로에게 있다. 더 큰 재앙이 오기 전에 지구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지구환경에 대한 과학적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성급하게 지구공학적으로 접근했다가는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이는 결국 더욱 큰 재앙을 불러올 뿐이다. 하나뿐인 지구에서 계속 살아갈 우리로서는 이런 위험천만한 도박을 할 수도 없으며, 결코 해서도 안된다.

육상의 평균 고도가 743미터인 것에 비해 해양의 평균 수심은 3734미터에 이른다.

결국 답은 바다에 있다.

바다를 열면 공존이 보인다
국제 관계와 자원 탐사 경쟁

우리에게는 지구를 버리고 떠날 수 있는 능력과 자격도 없다. 대안 없는 선택 앞에 내릴 수 있는 결론은 행동을 바꾸는 것뿐이다.

미래 세대에 빚을 남기지 않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 운명의 날 시계와 지구 생태 용량 초과의 날이 상징적으로 경고하는 것처럼 지구의 마지막이 너무나 가까워지고 있다.

오늘날 급격한 기후변화로 증가하고 있는 환경 난민의 문제 또한 심각하다. 이는 물과 에너지, 식량 부족 문제와 더불어 인류사에 또 한번 전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지구는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후대로부터 빌려왔다는 점을 언제나 기억해야 한다.

희망은 바다에 있다 -해양관측, 데이터 과학

재앙과 같은 자연재해, 극단적인 기후, 플라스틱에 잠식된 해양, 소진된 자원과 에너지. 현재 인류는 무분별한 발전의 죗값을 치르고 있다. 미래 세대를 위해서라도 이제 우리는 바다로 나가야 한다. 바다를 잘 아는 자만이 지구를 구할 수 있다.

77억 명을 위한 97%의 바다
바다에 숨겨진 승리의 기술

갑자기 지구환경 이야기를 하면서 명량대첩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우리가 지금 직면하고 있는 자연재해, 기후변화, 환경오염, 자원과 에너지 고갈과 같은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지속 가능성이라는 희망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의 답이 여기에 들어 있기 때문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101021102400003

강의영, "명량대첩 당시 바닷물 흐름 밝혀냈다", ≪연합뉴스≫, 2010. 10. 21.

영국의 시인 윌리엄 쿠퍼William Cowper는 우리의 무지가 변명이 될 수 없음을 잘 일깨워준다.
 
존재를 증명하지 못했다고 해서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저 깊은 바닷속 심해에서 일어나는 일이 무엇인지 모른다고 해서 그곳에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열과 염의 순환으로 기후를 조절하다
열과 염에 의한 해양 순환

국경을 허무는 해양관측 네트워크
20세기 이후에야 일어난 해양관측의 변화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영국의 챌린저호가 1872~1876년 장장 4년간 범선을 타고 해류와 바람을 이용해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을 걸쳐 대규모 세계 해양 탐사를 벌였다. 이때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 분석은 매우 기초적이지만 해양을 과학적으로 관측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의 시작이었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해양과학
인공위성을 통한 해양 원격탐사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는 2016년 6월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 포럼에서 의장이었던 클라우스 슈바프Klaus Schwab가 처음으로 사용하면서 이슈화되었다.
 
이것은 인류가 하는 일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인류 자체를 바꿀 것입니다.

오늘 벌어지고 있는 지구환경 변화를 수집해두어야만 추후 인공지능을 통해 더욱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는 의미다

과학자는 그것이 무엇인지를 연구하지만, 엔지니어(공학자)는 세상에 없었던 것을 창조한다.

과학자는 자연의 원리를 바탕으로 문제를 진단하고 원인을 규명하는 사람이고, 공학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사람이다.

자연에 인위적인 변화를 가할 때는 벌어질 일에 대한 ‘과학적’ 검토가 충분히 있어야 최선의 처방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도 공학자와 과학자의 협력은 필수적이다.

70억의 사람들이 공존하고 있는 지구는 우리에게 단 하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해양과학 10년(2021~2030)의 목표는 총 여섯 개다.
첫째, 깨끗한 바다다.

둘째, 건강하고 회복력이 강한 생태계로서의 바다다.

셋째, 예측 가능한 바다다.

넷째, 안전한 바다다.

다섯째, 지속 가능한 생산적인 바다다.

여섯째, 투명하고 접근 가능한 바다다.

과학은 공학과 같이 어떤 문제의 해결책으로써 무엇을 만들어내려는 것이 아니다. 문제를 찾아내고 무엇이, 왜 문제가 되는지를 풀어낸다. 즉 과학이란 문제가 지닌 ‘왜’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이다.

김승욱, "‘설마’로 끝난 지진해일 가능성···한국엔 역대 두 번 발생", 《연합뉴스》, 2019. 4. 20. https://www.yna.co.kr/view/AKR20190419153700004

김윤종, ""日과 달리 안전지대라 생각했는데"···한반도 ‘지진 스트레스’ 쌓여간다", 《동아일보》, 2016. 7. 6.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60706/7904709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괴된 지구에 대한 인류 심판의 날이 가까워지고있다. 우리 모두 마지막 운명의 날이 도래하기 전행동해야 한다. 푸른 행성, 지구에 남아 있는 마지막 기회를 잡아야 한다. 끝없는 신비와 자원이 묻혀있는 곳, 바로 바다에서.

전 세계는 지금 엄중한 기후 급변 사태에 직면했습니다. 매주 홍수, 가뭄, 열파, 산불, 폭풍 등 기후와 관련된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는 급격한 기후변화, 즉 기후 급변이라는 말로 표현할 정도의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기후 급변은 세계 최고 과학자들의 예측보다도 현재 더 빠르게 진행 중입니다. 우리가 이에 대응하려고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기후변화 속도는 훨씬 더 빠르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우리가 지금 큰 뜻을 갖고 비상하게 행동하지 않으면 상황은 더 나빠질 수밖에 없습니다. 일부 국가의 정책 결정자는 아직 이런 위험을 깨닫지 못하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 해야 할 일을 정확히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는 분명합니다. 우리는 이 전투(기후변화 대응)에서 패배할 수 없으며, 패배해서도 안 된다는 것입니다.

‘인간의 시대’가 치러야 할 대가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후진국일수록 인명 피해와 질병 확산, 삶의 질 저하, 빈곤 심화 등의 악순환이 더 크다고 이야기했듯이,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문제들과 관련해서도 밑바닥 10억은 더욱 극심한 고통을 받게 된다. 특히 농업과 어업에 의존하는 후진국은 기후변화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 세계적인 부의 불평등 또한 지구환경의 또 다른 위기 요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구환경에 대한 문제는 인류가 공존할 수 있는 지구로 만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야베 월드 2막, 한국 출간순
종이책 9권, 전자책 23권

지은이 미야베 미유키 28권
옮긴이 김소연 15권, 이규원 12권,
최고은 1권

1. 외딴집-상, 2007.10.31., 김소연 역, 표지: 안도 토키타로 히로시게, ˝명소에도백경˝, 오하시 다리위에 갑자기 내리는 소나기(아타케의 소나기), 1867년 作
2. 외딴집-하, 2007년10월, 김소연 역,
표지: 안도 토키타로 히로시게, 토카이도53역참:46번째 정경. 쇼노의 뇌우, 1833년경作
3. 혼조 후카가와의 기이한 이야기, 2008.03.28., 김소연 역, 표지: 안도 토키타로 히로시게, 사로와초의 밤풍경, 에도시대
4. 괴이, 2008.08.13., 김소연 역, 표지: 가와세 하스이, Rainy night at Maekawa, 1932년 作
5. 흔들리는 바위, 2008.12.19., 김소연 역
6. 메롱, 2009.08.14., 김소연 역
7. 얼간이, 2010.05.14., 이규원 역, 표지: 가쓰시카 호쿠사이, <도판 26>,  <후가쿠 삼십육경 온마야제방에서 료고쿠다리위로 보이는일몰>, 가로 오반니시키에,  덴포(1830~1844) 전기, 야마구치현립 하기미술관·우라카미 기념관 소장.
8. 하루살이-상, 2011.01.20., 이규원 역
9. 하루살이-하, 2011.01.20., 이규원 역
10. 미인, 2011.07.22., 이규원 역
11. 말하는 검, 2011.12.26., 최고은 역
12. 흑백, 2012.03.16., 김소연 역, 표지: 안도 도키타로 히로시게, ˝명소에도백경˝, 오지王子 지역의 치장한 팽그믐와 섣달 그믐날의 여우불
13. 안주, 2012.08.20., 김소연 역
14. 진상-상, 2013.05.31., 이규원 역
15. 진상-하, 2013.05.31., 이규원 역, 표지: 안도 도키타로 히로시게, ˝명소에도백경˝ 가마타蒲田의 매화정원, 1857년 作
16. 그림자. 밟기, 2013.07.19., 김소연 역, 표지: 안도 도키타로 히로시게, ˝명소에도백경˝, 아사쿠사淺草의 논과 도리노마치酉町 참배 1857년 作
17. 피리술사, 2014.08.22., 이규원 역
18. 맏물 이야기, 2015.02.19., 김소연 역
19. 괴수전, 2015.12.11., 이규원 역
20. 신이 없는 달-환색에도력, 2017.08.17., 이규원 역
21. 삼귀, 2018.05.25., 김소연 역
22. 금빛 눈의 고양이, 2019.04.19., 김소연 역
23. 눈물점, 2020.09.15., 김소연 역
24. 기타기타 사건부, 2021.05.31., 이규원 역
25. 영혼 통행증, 2021.11.05., 김소연 역
26. 인내상자, 2022.07.15. 이규원 역
27. 아기를 부르는 그림, 2022.11.11., 이규원 역
28. 삼가 이와 같이 아뢰옵니다, 2023.08.18., 김소연 역

지은이 미야베 미유키 宮部 みゆき
최근작 : <구름에 달 가리운 방금 전까지 인간이었다>,<삼가 이와 같이 아뢰옵니다>, <가모 저택 사건> … 총 528종
1960년 일본 도쿄, 후카가와에서 태어났다. 스물세 살 때부터 소설을 쓰기 시작해, 이 년 동안 고단샤 페이머스 스쿨 엔터테인먼트 소설 교실에서 수학했다. 1987년에 올 요미모노 추리소설 신인상을 받은 단편《우리 이웃의 범죄》로 데뷔했다. 그 후《마술은 속삭인다》(1989)로 일본추리서스펜스대상, 《용은 잠들다》(1991)로 일본추리작가협회상,《화차》(1993)로 제6회 야마모토 슈고로상, 《가모 저택 사건》(1997)으로 일본 SF대상을, 《이유》(1999)로 나오키상, 《모방범》(2001)으로 마이니치 출판대상 특별상, 《이름 없는 독》(2006)으로 요시카와 에이지문학상을 수상하며, 명실 공히 일본을 대표하는 최고의 미스터리 작가로 군림한다.
어렸을 때부터 시대 소설과 대하드라마를 좋아했던 아버지 덕에 많은 작품을 접하고, 시대물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에도에 사는 사람들의 인정을 그려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 신인상을 수상한《혼조 후카가와의 기이한 이야기》(1991)를 시작으로, 초능력자가 등장하거나 괴담과 미스터리를 접목한 작품들, 또는 하급 관리 주인공이 괴이한 사건을 수사하는 시대 미스터리를 썼다. 저자 자신의 고향이기도 한 후카가와를 배경으로 한 작품과 더불어, 봉건 사회를 사는 서민의 고통에 주목한 사회파 시대 미스터리《외딴집》(2005)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를 미스터리와 접목한 작품을 속속 발표해 기존 시대 소설 독자뿐 아니라 시대소설을 읽기 어려워하는 독자들까지 동시에 사로잡았다.
그 밖의 작품으로 《벚꽃 다시 벚꽃》《세상의 봄》 《안주》 《낙원》 《희망장》 등이 있고, 2012년 국내에서 영화화된 《화차》 외에도 《대답은 필요 없어》 《스나크 사냥》 《모방범》 《이유》《고구레 사진관》 《솔로몬의 위증》 등 다수 작품이 영화화되거나 드라마화되었다.
현재 하드보일드 작가 오사와 아리마사 (大澤在昌), 미스터리 작가 교고쿠 나쓰히코(京極夏彦), 미야베 미유키(宮部みゆき), 이렇게 세 사람의 성을 딴 사무실 ‘다이쿄쿠구大極宮‘를 만들어 함께 활동하고 있다.

옮긴이 김소연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한국외국어대학에서 프랑스어를 전공하고, 현재 출판 기획자 겸 번역자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교고쿠 나쓰히코의 『웃는 이에몬』, 『엿보는 고헤이지』, 하타케나카 메구미의 『뇌물은 과자로 주세요』, 미야베 미유키의 『마술은 속삭인다』, 『외딴집』, 『혼조 후카가와의 기이한 이야기』, 『괴이』, 『흔들리는 바위』, 『메롱』, 『흑백』, 『안주』, 『그림자밟기』, 『미야베 미유키 에도 산책』, 『맏물이야기』, 『십자가와 반지의 초상』, 『사라진 왕국의 성』, 『희망장』, 『삼귀』, 『금빛 눈의 고양이』, 『어제가 없으면 내일도 없다』, 『눈물점』, 『영혼 통행증』, 덴도 아라타의 『영원의 아이』, 마쓰모토 세이초의 『짐승의 길』, 『구형의 황야』 등이 있으며 독특한 색깔의 일본 문학을 꾸준히 소개, 번역할 계획이다.

옮긴이 이규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일본어를 전공했다. 문학, 인문, 역사, 과학 등 여러 분야의 책을 기획하고 번역했으며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중이다.
옮긴 책으로 미야베 미유키의 『이유』, 『얼간이』, 『하루살이』, 『미인』, 『진상』, 『피리술사』, 『괴수전』, 『신이 없는 달』, 덴도 아라타의 『가족 사냥』, 마쓰모토 세이초의 『마쓰모토 세이초 걸작 단편 컬렉션』, 『10만 분의 1의 우연』, 『범죄자의 탄생』, 『현란한 유리』, 우부카타 도우의 『천지명찰』, 구마가이 다쓰야의 『어느 포수 이야기』, 모리 히로시의 『작가의 수지』, 하세 사토시의 『당신을 위한 소설』, 가지야마 도시유키의 『고서 수집가의 기이한 책 이야기』, 도바시 아키히로의 『굴하지 말고 달려라』, 사이조 나카의 『오늘은 뭘 만들까 과자점』, 『마음을 조종하는 고양이』, 하타케나카 메구미의 『요괴를 빌려드립니다』, 아사이 마카테의 『야채에 미쳐서』, 『연가』, 미나미 교코의 『사일런트 브레스』 등이 있다.

옮긴이 최고은
도쿄대학교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에서 일본 전후 문학을 중심으로 공부하면서 전문 번역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 으로 요네자와 호노부의 『인사이트 밀』, 무라타 사야카의 『소멸세계』, 기리노 나쓰오의 『천사에게 버림받은 밤』, 히가시노 게이고의 『블랙 쇼맨과 이름 없는 마을의 살인』, 미카미 엔의 『비블리아 고서당 사건수첩』, 요코야마 히데오의 『64』, 이사카 고타로의 『서브머린』 등 다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