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베 월드 2막, 한국 출간순
종이책 9권, 전자책 23권

지은이 미야베 미유키 28권
옮긴이 김소연 15권, 이규원 12권,
최고은 1권

1. 외딴집-상, 2007.10.31., 김소연 역, 표지: 안도 토키타로 히로시게, ˝명소에도백경˝, 오하시 다리위에 갑자기 내리는 소나기(아타케의 소나기), 1867년 作
2. 외딴집-하, 2007년10월, 김소연 역,
표지: 안도 토키타로 히로시게, 토카이도53역참:46번째 정경. 쇼노의 뇌우, 1833년경作
3. 혼조 후카가와의 기이한 이야기, 2008.03.28., 김소연 역, 표지: 안도 토키타로 히로시게, 사로와초의 밤풍경, 에도시대
4. 괴이, 2008.08.13., 김소연 역, 표지: 가와세 하스이, Rainy night at Maekawa, 1932년 作
5. 흔들리는 바위, 2008.12.19., 김소연 역
6. 메롱, 2009.08.14., 김소연 역
7. 얼간이, 2010.05.14., 이규원 역, 표지: 가쓰시카 호쿠사이, <도판 26>,  <후가쿠 삼십육경 온마야제방에서 료고쿠다리위로 보이는일몰>, 가로 오반니시키에,  덴포(1830~1844) 전기, 야마구치현립 하기미술관·우라카미 기념관 소장.
8. 하루살이-상, 2011.01.20., 이규원 역
9. 하루살이-하, 2011.01.20., 이규원 역
10. 미인, 2011.07.22., 이규원 역
11. 말하는 검, 2011.12.26., 최고은 역
12. 흑백, 2012.03.16., 김소연 역, 표지: 안도 도키타로 히로시게, ˝명소에도백경˝, 오지王子 지역의 치장한 팽그믐와 섣달 그믐날의 여우불
13. 안주, 2012.08.20., 김소연 역
14. 진상-상, 2013.05.31., 이규원 역
15. 진상-하, 2013.05.31., 이규원 역, 표지: 안도 도키타로 히로시게, ˝명소에도백경˝ 가마타蒲田의 매화정원, 1857년 作
16. 그림자. 밟기, 2013.07.19., 김소연 역, 표지: 안도 도키타로 히로시게, ˝명소에도백경˝, 아사쿠사淺草의 논과 도리노마치酉町 참배 1857년 作
17. 피리술사, 2014.08.22., 이규원 역
18. 맏물 이야기, 2015.02.19., 김소연 역
19. 괴수전, 2015.12.11., 이규원 역
20. 신이 없는 달-환색에도력, 2017.08.17., 이규원 역
21. 삼귀, 2018.05.25., 김소연 역
22. 금빛 눈의 고양이, 2019.04.19., 김소연 역
23. 눈물점, 2020.09.15., 김소연 역
24. 기타기타 사건부, 2021.05.31., 이규원 역
25. 영혼 통행증, 2021.11.05., 김소연 역
26. 인내상자, 2022.07.15. 이규원 역
27. 아기를 부르는 그림, 2022.11.11., 이규원 역
28. 삼가 이와 같이 아뢰옵니다, 2023.08.18., 김소연 역

지은이 미야베 미유키 宮部 みゆき
최근작 : <구름에 달 가리운 방금 전까지 인간이었다>,<삼가 이와 같이 아뢰옵니다>, <가모 저택 사건> … 총 528종
1960년 일본 도쿄, 후카가와에서 태어났다. 스물세 살 때부터 소설을 쓰기 시작해, 이 년 동안 고단샤 페이머스 스쿨 엔터테인먼트 소설 교실에서 수학했다. 1987년에 올 요미모노 추리소설 신인상을 받은 단편《우리 이웃의 범죄》로 데뷔했다. 그 후《마술은 속삭인다》(1989)로 일본추리서스펜스대상, 《용은 잠들다》(1991)로 일본추리작가협회상,《화차》(1993)로 제6회 야마모토 슈고로상, 《가모 저택 사건》(1997)으로 일본 SF대상을, 《이유》(1999)로 나오키상, 《모방범》(2001)으로 마이니치 출판대상 특별상, 《이름 없는 독》(2006)으로 요시카와 에이지문학상을 수상하며, 명실 공히 일본을 대표하는 최고의 미스터리 작가로 군림한다.
어렸을 때부터 시대 소설과 대하드라마를 좋아했던 아버지 덕에 많은 작품을 접하고, 시대물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에도에 사는 사람들의 인정을 그려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 신인상을 수상한《혼조 후카가와의 기이한 이야기》(1991)를 시작으로, 초능력자가 등장하거나 괴담과 미스터리를 접목한 작품들, 또는 하급 관리 주인공이 괴이한 사건을 수사하는 시대 미스터리를 썼다. 저자 자신의 고향이기도 한 후카가와를 배경으로 한 작품과 더불어, 봉건 사회를 사는 서민의 고통에 주목한 사회파 시대 미스터리《외딴집》(2005)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를 미스터리와 접목한 작품을 속속 발표해 기존 시대 소설 독자뿐 아니라 시대소설을 읽기 어려워하는 독자들까지 동시에 사로잡았다.
그 밖의 작품으로 《벚꽃 다시 벚꽃》《세상의 봄》 《안주》 《낙원》 《희망장》 등이 있고, 2012년 국내에서 영화화된 《화차》 외에도 《대답은 필요 없어》 《스나크 사냥》 《모방범》 《이유》《고구레 사진관》 《솔로몬의 위증》 등 다수 작품이 영화화되거나 드라마화되었다.
현재 하드보일드 작가 오사와 아리마사 (大澤在昌), 미스터리 작가 교고쿠 나쓰히코(京極夏彦), 미야베 미유키(宮部みゆき), 이렇게 세 사람의 성을 딴 사무실 ‘다이쿄쿠구大極宮‘를 만들어 함께 활동하고 있다.

옮긴이 김소연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한국외국어대학에서 프랑스어를 전공하고, 현재 출판 기획자 겸 번역자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교고쿠 나쓰히코의 『웃는 이에몬』, 『엿보는 고헤이지』, 하타케나카 메구미의 『뇌물은 과자로 주세요』, 미야베 미유키의 『마술은 속삭인다』, 『외딴집』, 『혼조 후카가와의 기이한 이야기』, 『괴이』, 『흔들리는 바위』, 『메롱』, 『흑백』, 『안주』, 『그림자밟기』, 『미야베 미유키 에도 산책』, 『맏물이야기』, 『십자가와 반지의 초상』, 『사라진 왕국의 성』, 『희망장』, 『삼귀』, 『금빛 눈의 고양이』, 『어제가 없으면 내일도 없다』, 『눈물점』, 『영혼 통행증』, 덴도 아라타의 『영원의 아이』, 마쓰모토 세이초의 『짐승의 길』, 『구형의 황야』 등이 있으며 독특한 색깔의 일본 문학을 꾸준히 소개, 번역할 계획이다.

옮긴이 이규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일본어를 전공했다. 문학, 인문, 역사, 과학 등 여러 분야의 책을 기획하고 번역했으며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중이다.
옮긴 책으로 미야베 미유키의 『이유』, 『얼간이』, 『하루살이』, 『미인』, 『진상』, 『피리술사』, 『괴수전』, 『신이 없는 달』, 덴도 아라타의 『가족 사냥』, 마쓰모토 세이초의 『마쓰모토 세이초 걸작 단편 컬렉션』, 『10만 분의 1의 우연』, 『범죄자의 탄생』, 『현란한 유리』, 우부카타 도우의 『천지명찰』, 구마가이 다쓰야의 『어느 포수 이야기』, 모리 히로시의 『작가의 수지』, 하세 사토시의 『당신을 위한 소설』, 가지야마 도시유키의 『고서 수집가의 기이한 책 이야기』, 도바시 아키히로의 『굴하지 말고 달려라』, 사이조 나카의 『오늘은 뭘 만들까 과자점』, 『마음을 조종하는 고양이』, 하타케나카 메구미의 『요괴를 빌려드립니다』, 아사이 마카테의 『야채에 미쳐서』, 『연가』, 미나미 교코의 『사일런트 브레스』 등이 있다.

옮긴이 최고은
도쿄대학교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에서 일본 전후 문학을 중심으로 공부하면서 전문 번역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 으로 요네자와 호노부의 『인사이트 밀』, 무라타 사야카의 『소멸세계』, 기리노 나쓰오의 『천사에게 버림받은 밤』, 히가시노 게이고의 『블랙 쇼맨과 이름 없는 마을의 살인』, 미카미 엔의 『비블리아 고서당 사건수첩』, 요코야마 히데오의 『64』, 이사카 고타로의 『서브머린』 등 다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