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카프카 - 카프카와 브로트의 위대한 우정
막스 브로트 지음, 편영수 옮김 / 솔출판사 / 2018년 2월
평점 :
품절


프란츠 카프카를 알게 된 건 <변신>을 읽게 되면서였다. 아주 어린 시절에 한 번 읽었던 이 작품이 계속해서 이미지로 머리에 남아 있었고 다시 접하게 된 후 이젠 1년에 한 번씩은 읽는 책이 되었다. 프란츠 카프카를 이야기 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이 "이방인"의 모습이다. 어디에도 끼지 못하는 정체성의 혼란. 유대인이면서 독일 사회에서 살았던 사실과 작가이길 원했으면서도 직장을 놓지 않은 것 등은 카프카의 혼란스런 정체성을 잘 보여주는 일례이다. 하지만 이런 정보만으로는 카프카를 이해하기에 부족하다. <변신>이외의 단편(<변신>과 함께 묶여있는)들을 이해하기는 힘들었고 좀 더 제대로 카프카를 알고 싶었다.

이번에 솔출판사에서 나온 <나의 카프카>는 프란츠 카프카를 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했다. 지금까지 어렵고 두껍다는 이유로 번역되지 않았던, 막스 브로트가 절친인 카프카를 위해 쓴 <카프카 평전>을 한데 모아 한국 최초로 완역하여 출간한 책이기 때문이다. 무려 700페이지에 달하는 이 책은 1부에선 프란츠 카프카 전기를, 2부에선 카프카의 신앙과 학설, 3부에선 프란츠 카프카의 작품에 나타난 절망과 구원, 4부는 1부 책의 부록에 수록된 카프카에 대한 기억을, 5부에선 막스 브로트가 모은 카프카의 삽화가 실려있다. 그러니 원래 막스 브로트가 이 책을 낼 때부터 하나의 책은 아니었다는 이야기이다.

1부 프란츠 카프카 전기도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의 일대기 형식은 아니다. 물론 시간순으로 설명되지만 카프카의 행동이나 사건보다는 에피소드나 카프카의 일기, 카프카의 편지 등을 통해 알 수 있는 성격, 개성, 특성을 소개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1부를 읽으며 알게 된 건, 단순히 어디에도 낄 수 없었던 이방인적인 카프카의 모습보다는 한 가정의 완벽해 보이는 아버지의 모습이 아들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쳤는지이다. 벗어나고 싶지만 벗어날 수 없었던 위치에서 언제나, 끊임없이 많은 생각을 하게 되고 망설이게 되는 카프카를 만나게 된다.

막스 브로트는 카프카의 일생에 가장 가까이 있던 친구였기 때문에 누구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며 카프카를 온전히 이해하고 지지해줄 수 있었던 듯하다. 그렇다고 그가 카프카 사후에도 그를 온전히 대신했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출판되지 않은 작품을 없애달라는 유언을 듣지 않고, 오히려 카프카의 모든 작품을 모아 출판했으며 그 과정에 자신의 의도대로 해체, 복원하는 작업을 거쳤으니 말이다. 2부에서 설명하는 카프카의 작품 해설도 어쩌면 카프카 본인의 설명보다는 막스 브로트 입장에서 정리한 것은 아니었을까, 한 번쯤 의심해 보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카프카 본인보다 더 잘 알았던 친구였기에 믿고 맡겼을 거라는 막스 브로트의 말처럼 <나의 카프카>는 카프카에 대해 알려지지 않은 많은 이야기들을 알려주고 있고, 막스 브로트가 출간한 카프카의 많은 작품들을 우리가 읽을 수 된 공로가 인정된다.

돌아보니 카프카의 장편은 한 번도 읽어보지 못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나의 카프카>가 읽기 쉬운 책은 아니다. (앞부분 난무한 지시대명사 사용이라든지, 번역투 문장이 계속 거슬려서 읽는 속도를 더욱 늦춘다. 뒤로 가면 좀 나아진다.) 쉽게 읽어서도 안 되는 책이다. 카프카의 다양한 책을 읽어가며 함께 공부한다면 카프카 문학을 좀더 가까이, 잘 이해할 수 있는데 한걸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