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빈 토플러의 생각을 읽자 - 만화로 읽는 21세기 인문학 교과서 인문학의 생각읽기 1
조희원 지음, 모해규 그림, 손영운 기획 / 김영사on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손에 쏙 들어오는 사이즈의 "인문학의 생각읽기" 시리즈가 마음에 드는 건 당연할 테다. 게다가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주제들을 만화로 접할 수 있다는 사실은 또다른 매력이다. 쉽고 간단하고 재미만 있는 것들을 취하려는 청소년들에게 사회를 볼 수 있는 눈, 다른 세대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교재가 있다는 것은 분명 행운이다.

 

그 첫번째 이야기는 바로 "앨빈 토플러"이다. 미래학자로 이미 유명하신 분이며 그의 저서마다 큰 이슈를 일으키며 많은 사람들이 그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 그만큼 그가 이야기 한 미래가 하나씩 들어맞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책에는 그의 유명한 저서 <제 3의 물결>, <권력 이동>, <부의 미래>를 한 권에 담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하고 있으며 그런 설명들을 통해 결국 앨빈 토플러가 무엇을 이야기하려 하는지를 알 수 있다.

 

유명한 책이지만, 한 번씩 언급하거나 들어본 적이 있겠지만 그 두께와 이해할 수 없음에 쉽게 책을 읽어보려 하지 못했을 것이다. 나 또한 그랬다. 사회를 이해해 보려는 생각은 있지만 그만큼 노력을 더하지는 않았다. 이번 책을 읽으며 그동안 내가 눈 감고 있던 것들, 알고는 있었지만 모른 체 해왔던 것들이 무엇인지 다시 한 번 깨달을 수 있었다. 이렇게 나의, 가족의, 내 주변의, 더 크게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게 되니 조금 달라진 시각을 갖게 된 것 같다.

 

"표면적 교과 과정은 공장 노동에서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들, 즉 읽기, 쓰기, 산수 그리고 약간의 역사 등을 배우는 과정으로 사실 표면적인 것에 불과해. 문제는 내면적 교과 과정이지. 이 과정이 훨씬 근본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야. 뭐가 근본적이냐고? ...(중략) ... 복종 교육은 특히 조립 라인 노동자들에게 상사의 명령에 무조건 따르도록 강요했으며 기계적 반복 작업 교육은 공장이나 사무실에서 노예처럼 일하면서 짐승처럼 반복 작업을 해낼 수 있는 남녀 노동자들을 만들어냈지."...29p

 

지금까지 모범생으로, 착한 아이로서, 수동적으로만 살아왔던 나에게는 여간 충격적인 문장이 아닐 수 없다.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처음부터 그런 목적으로 학교가 세워지고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그렇게 자란 나로서는 또 비슷한 아이를 길러내고 있지 않나...하는 반성과 함께 앞으로는 내가 어떻게 행동하고 아이를 기르고 가르쳐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된 것이다.

 

매일매일 신문을 들여다보며 우리 사회를 이해해보려고 노력했다. 그냥 사는 거라고, 나만 행복하면 됐지, 뭐...에서 끝나는 삶이 아닌, 무언가 조금 더 나은 삶을 위해 노력하고 싶다. 그리고 우리 아이들이 컸을 그 사회에서는 그들의 개성이 충분히 드러나며 행복을 추구할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