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기봉을 찾아라! - 제8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작은도서관 32
김선정 지음, 이영림 그림 / 푸른책들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에게 선생님은 하늘과 같은 존재입니다. 엄마, 아빠 말은 안들어도 선생님 말씀은 잘만 들리고 또 열심히 따라하려 하죠. 하지만 가끔은... 아이들도 실망할 때가 있어요. 아무리 열심히 노력해도 선생님이 봐주시지 않고, 알아차려주시지도 않을 때이지요. 언젠가 아이가 축~ 쳐져서 집에 왔어요. 무슨 일이 있느냐고 물어보니 아무리 열심히 손을 들어도 자기는 "절대로" 발표를 시켜주지 않는다는 거에요. 그렇게 나서는 아이가 아닌데 발표하려고 손 들었다는 사실에도 놀랐지만 그런 노력을 하고 있는데도 알아봐주시지 않는 선생님께 실망했다는 데에도 놀랐네요. 아마도 인정받고 싶었나 봅니다. 엄마로서는, 아이들이 너무 많아서 일일이 돌아봐주실 수 없으니 열심히 하고 있으면 언젠가는 알아봐주실 거라고 말할 수밖에 없었네요. 하지만 이미 아이 마음에 상처를 입었을까봐 마음이 아팠어요. 

<<최기봉을 찾아라!>>는 그런 아이들의 마음을 담은 동화에요. 아이들에겐 "그래, 맞아!"하는 공감을, 선생님들에게는 "그럴수도 있겠구나~"하는 반성을 하시게 만들지도 모르겠어요. 



15년동안 선생님을 해오시던 최기봉 선생님은 어느날 옛날 제자에게서 선물을 받게 되죠. "잘했어요"를 나타내는 최기봉 도장과 "못했어요"를 뜻하는 최기봉 도장을요. 아이들을 일일이 기억하지 못하는 최기봉 선생님에게 이 도장은 체계적인 벌을 줄 수 있는 도구가 되어버려요. 그렇게 도장이 생김과 동시에 맡아놓고 벌을 받는 두식이들(형식이와 현식이)과 공주리는 매일 청소 담당이 되지요. 

하지만 사건이 생깁니다. 최기봉 도장이 사라짐과 동시에 학교 곳곳에 도장이 쾅쾅쾅! 찍힌 거에요. 범인을 잡기 위해 머리를 굴리는 최기봉 선생님과 도장특공대는 과연 이 도장 범인을 잡을 수 있을까요?



맨 처음 용의자로 지목되었던 두식이들과 공주리는 도장특공대가 되어 도장을 훔쳐 여기저기 찍을만한 사람들이 누구인지 궁리해봅니다. 그리고 지목되는 몇몇의 용의자들. 이야기는 과연 범인은 누구일까...라는 흥미로움과 현식이와 형식이의 웃음이 나오는 행동들, 그리고 숨겨진 이야기까지 더해져 흥미진진해집니다. 

"선생님 반에서 15년 전의 저와 닮은 아이를 보고 많이 울었습니다. 유치하지만 도장을 보내면서 선생님이 저 같은 그 아이를 바라봐 주시길 바랐어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드린 선물까지 잃어버린 선생님이 참 원망스럽더군요. 하지만 도장을 가져간 아이를 만난 후 도장이 제 할 일을 했다는 걸 알게 됐어요."...77p

아이들도 억울할 때가 있습니다. 자신들의 행동에도 모두 원인과 의미가 담겨 있는데 어른들이 그런 것들을 이해해주지 않고 자신들만의 잣대로 평가하려들 때이죠. 아무리 아니라고 외쳐봐도 이해해주려고 하지 않을 때... 아이들도 정말 억울합니다. 부모도... 선생님도... 완벽한 인간은 아니라는 생각이 자주 듭니다. 하지만 적어도 아이들에게 상처를 주는 행동과 말은 하지 말아야겠다고 결심해요. 아이들에겐 각자의 장점과 재능이 있는데... 그런 것들을 모두 인정해주는 선생님이 계시면 얼마나 좋을까요? 마지막의 최기봉선생님처럼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