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오, 나의 미오 힘찬문고 29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일론 비클란드 그림, 김서정 옮김 / 우리교육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아이는 이미 좋아하는 작가가 있다. 그런 작가의 작품을 찾아 읽는 기쁨을 아는 아이가 기특하다. 아이가 내게 추천해준 책, 꼭 읽고 엄마와 함께 이야기하고 싶다고 벌써 몇 달째 조르던 책이 <<미오, 나의 미오>>이다. 도대체 이 책의 어떤 부분의 아이의 감성을 두드린 걸까. 독후화 대회에 잘 그릴 줄도 모르는 말, 미라미스를 그리겠다고 애쓸 정도로 푹~ 빠지게 한 매력은 무엇일까.

사라진 아이... 부모에게 아무리 떼를 쓰고 어리광을 부려도 모두 받아들여지고 사랑을 흠뻑 받으며 자라야 할 나이에, 양부모에게는 거부당하고 마을 사람들의 불친절함이 불편한, 하지만 딱 한 명 벤카라는 단짝 친구와 그 가족을 너무나 좋아하고 늙은 말 칼레 푼트를 사랑하며 과일 가게의 룬딘 아주머니와는 사이가 좋은... 보쎄가 사라졌다. 룬딘 아주머니가 건네준 사과 하나를 들고 테그너 공원 벤치에 앉아 그 옆 빈 맥주병을 들여다보다가 사라졌다. 그리고 화자는 당당히 말한다. 바로 그 아이가 자신이라고.

보쎄... 혹은 미오의 여행은 여기서부터 시작한다. 룬딘 아주머니가 부탁한 카드에는 황금 사과를 든 아이가 머나먼 나라로 떠날 것이라고 쓰여있었다. 그리고 어느새 그 아이는, 바로 보쎄 자신이 된다. 머나먼 나라에서 보쎄(이 나라에선 미오)는 정말 행복하다. 그동안 자신이 꿈꿔왔던 모든 것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때문에 읽는 나는 가슴이 아프다. 아낌없이 사랑해주고 원할 때는 아무때나 무엇을 하든 함께 놀아주고 언제나 따뜻하게 손을 잡아주는 아빠인 임금님과(비록 엄마는 돌아가셨지만), 현실의 스톡홀름에서 유일하게 보고 싶은 벤카를 꼭 닮은 윰윰이라는 가장 소중한 친구와, 자신의 말이었으면 싶었던 칼레 푼트를 생각나게 하는 아름다운 황금빛 갈기를 가진 미라미스가 있다. 윰윰과 미오는 머나먼 왕국 곳곳을 여행하며 매일매일 행복하고 즐거운 나날을 보낸다. 하지만... 어쩌면... 미오의 이런 완벽할 정도로 행복한 나날은 현실에서의 자신의 바램이 나타난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이 계속해서 든다. 그러므로 이 이야기가 진짜인지, 아닌지를 따지기 전부터 단지 이 상황 자체가 왜 그렇게 안타까운지. 

"감자기 나는, 왜 내가 한밤중에 어둠의 숲을 뚫고 말을 달려왔는지 깨닫게 되었다. 어둠의 숲 뒤편에서부터 바깥쪽 나라가 시작되고 있었다. 나는 그곳으로 가야 했다. 그곳으로 가서 그토록 무섭고 겁나는 기사 카토와 싸워야 했다. 그랬다. 나는 너무나 겁이 나서 내가 해야 할 일을 생각만 해도 울음이 터져 나올 것 같았다."...94p

행복한 매일이 될 것 같았던 머나먼 나라의 생활에도 어둠은 있다. 천국같은 곳을 흐려 머나먼 나라 왕국의 아이들을 잡아가는 기사 카토 때문이다. 그리고 이 기사 카토를 무찌를 사람은 머나먼 왕국의 후계자 미오 뿐이다. 미오는 왜 기사 카토와 맞서려 했을까? 그냥 기사 카토는 잊고 계속해서 행복한 삶을 살 수는 없었을까? "나"만 행복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이미 "사랑의 상실"이 무엇인지를 잘 알던 미오였기에 자신과 같은 슬픔을 다른 사람이 겪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서 미오는 어둠의 왕국으로 출발한다. 그런 미오의 의지만큼이나 어둠의 왕국 곳곳의 모든 것들이 미오와 윰윰이 어려울 때마다 도와준다. 

"나는 더 이상 겁나지 않았다. 그렇게 겁이 나지 않은 적은 없었다. 나는 더 이상 푸른 초원 섬의 장미정원에서 오두막이나 지으며 놀던 그 미오가 아니었다. 나는 전투를 위해 달려가는 기사였다."...192p

너무나 무섭고 힘들어 피하고 싶지만 결국 마주보며 그 힘든 과정을 넘어서려했기 때문에 미오는 자랐다. 바로 이 점이 중요하다. 현실의 보쎄이든, 머나먼 왕국의 미오이든 더이상은 힘들고 지치는 상황에서 고개 숙이고 있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사실! 그토록 무서운 기사 카토를 무찌른 힘이, 미오에겐 있기 때문이다. 

미오가 기사 카토를 무찌르러 가는 그 험난한 과정의 긴장감을, 아이는 이 책의 최고라고 했다. 아무리 힘들어도 계속 가려는 미오의 의지와 그렇기 때문에 아슬아슬한 순간에 그들을 돕는 수많은 생물, 무생물들의 이야기가 자신의 가슴을 두근거리게 했다고. 모든 것이 미오의 공상이었다는 사실을 아이가 이해했을까 걱정했지만, 기우였다. 아이는 정확하게 알면서도 어른들처럼 걱정하지는 않았다. 아마도... 머나먼 왕국을 상상할 수 있는 보쎄의 상상력을 믿니보다. 너도... 그렇게 자라주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