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정원이 있다면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207
케빈 헹크스 지음, 최순희 옮김 / 시공주니어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저에겐 이제 정원이 없어요. 잠깐 갖고 있던 정원에서 화초들이 별 노력없이 쑥쑥 자라줘서 그때부터 정원에 대한 꿈을 키우게 되었죠. 또 타샤 할머니를 알게 되면서 그 꿈은 자꾸만 커져 갑니다. 나도 저런 정원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태어날 때부터 게을렀던 터라 과연 내가 그분만큼 정원을 잘 가꿀 수 있을까...하는 생각은 들어요. ^^

<<나에게 정원이 있다면>>의 "나"의 엄마에게는 정원이 있대요. "나"는 엄마의 조수라서 물도 주고, 잡초도 뽑고, 토끼도 내쫓아요. 정말 힘든 일이죠. 정원을 아름답게 가꾼다는 건, 아름다운 꽃들을 볼 수 있다는 건 그냥 이루어지는 게 아니거든요. 정원이 예쁜 만큼, 그보다 더한 정성과 노동과 노력이 있어야 하지요. 

    

그래서 "나"는 상상해요. 뽑아야 할 잡초도 나지 않고, 꽃들은 계속해서 피어나며 내쫓아야 할 토끼는 초콜릿으로 되어 있어 심심하면 내가 먹을 수 있는 정원을요. 또 원하는 것을 심으면 원하는 것이 자라나요. 사탕이나 우산, 녹슨 열쇠 같은 것들... 내가 좋아하는 것은 엄~청 크게 자라지만 내가 싫어하는 것들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게 자라는 아름다운 정원을 꿈꿔요.

    

아이의 상상이 정말 예쁘지 않나요? 그런데... 마치 이 아이처럼 저도 정원을 꿈꿉니다.ㅋㅋ 거름 주고, 잡초 뽑고, 때 맞춰 물 주는 주기를 바꾸지 않아도... 전혀 시들지 않고 해충은 하나도 없으며 무럭무럭 아름다운 꽃들이 자라는 아름다운 정원을요~. 하지만 "뿌린대로 거두리라"라는 말처럼... 정원도 꼭 그렇게 정직한 곳이지요. 하지만 씨앗을 심어 새싹이 나고 하루가 다르게 자라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그 자체만으로도 정원은 환상적인 마법의 공간입니다. 그래서 어떤 상상이든 가능한 곳이 또한 정원이 아닐까요?

서정적이면서도 아이의 재미난 상상이 마법처럼 반짝거리는 일러스트가 책의 내용과 잘 맞아떨어져서 꼬옥~ 안아주고 싶은 그림책이 되었습니다. 마지막 조가비의 뿌리 그림을 보면 막 웃음이 나기도 하지요. 그렇게 조가비가 열리는 나무가 자라면 정말 좋겠다~하고요. 이 책의 주인공처럼 아이들과 함께 내가 꿈꾸는 정원에 대해 이야기 나누거나 그림을 그려봐도 재미있을 것 같아요. 그럼... 아이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 있겠죠? 음~ 우리 아이는 포켓몬 카드가 주렁주렁 열리는 나무를 꿈꿀 것 같네요.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