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길고양이 - 제8회 푸른문학상 동화집 미래의 고전 21
김현욱 외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제가 어렸을 때는 한국 창작 동화가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흔히 접할 수 있는 책들은 거의가 명작 동화들이었죠. 물론 내가 잘 모르는 세계에 대한 무한한 상상력을 키우기에는 더없이 좋은 책들임에는 틀림없지만 우리와 시대적으로, 지리적으로 너무나 먼 그 이야기들은 그저 상상 속의 세계에만 속해 있었습니다. 현실로 돌아와 지금 내가 속한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읽을 수가 없었던 거죠. 그 시절을 생각하면 지금은 얼마나 행복한 환경인지 모릅니다. 지천으로 깔린 책들이며 바로 우리 아이들이 속한 세계에서 마음까지 들여다보는 동화책들이 정말 많거든요. 그래서 이제 엄마가 된 저까지도 정말 행복합니다. 

<<도서관 길고양이>>는 제 8회 푸른문학상 동화집이에요. 푸른문학상을 통해 절대적 평가를 받아 당선된 일곱 작가님들의 작품이 모여있죠. 한 편 한 편... 느낌이 다른 동화들을 읽는 느낌이 색달랐습니다. 짧지만 어쩌면 그렇게 아이들 마음을 잘 표현했던지요. 마치 우리 아이가, 우리 이웃이.. 어디선가 꼭 일어났을 법한 익숙한 상황에서 아이들의 마음은 어떤지, 그럴 때 어른들은 어떤지 아주 잘 읽어낼 수 있었어요. 주제들은 그대로 밖으로 드러나 전혀 어렵지 않게, 하지만 작품 속으로 끌어당기는 힘들도 대단해서 집중력을 갖고 읽었습니다. 

김현욱님의 <겨드랑이 속 날개>에서는 관심을 갖고 싶은 욱삼이의 기분을, 함지슬님의 <대장이 되고 싶어>에서는 이웃집 형 앞에서는 자신의 기분을 솔직하게 밝힐 수 없었던 종유의 기분을, 신연호님의 <슬픔을 대하는 자세>를 통해서는 아버지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두 남매의 기분을 느낍니다. 욱삼이에겐 좋은 선생님과 친구들이 있어 다행이라고 생각했고, 정우와 정민에게는 열심히 살려는 모습이 굉장히 예쁘다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김해우님의 <일곱 발, 열아홉 발> 이야기는 어떤가요? 이웃 사촌이라는 말이 무색해질만큼 이기적인 시대에서 벌어지는 쓰레기 수거함 위치 분쟁을 통해, 자신의 이익을 위해 한치도 양보하지 않으려는 어른들의 모습이 아이들 눈에 비치고 있습니다. 김선아님의 <도서관 길고양이>에서도 노숙자라 무조건 피하고 보는 엄마의 모습을 통해 조금의 반성을 하게 되죠. 

모두 바로 우리의 이야기들입니다. 그래서 크게 끄덕끄덕 공감하게 되고 깊숙이 빠져듭니다. 아주 짧은 단편이지만 의미도, 감동도, 캐릭터도, 구성도 생생하게 살아있습니다. 아마도 그래서 일곱 분이나 뽑히셨나봅니다.^^ 좋은 책을 아이들에게 읽힐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좋은 유산을 물려주는 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매년 더 많은 작가분들이 탄생하기를 바랍니다. 그렇게 우리 아이들이 책을 읽고 쑥쑥 클 수 있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