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치야, 독도 강치야 봄봄 어린이 6
김일광 지음, 강신광 그림 / 봄봄출판사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치를 알고 계신가요? 뒤에 "치"자가 들어가는 것을 보니 무슨 생선인가보다...하고 막연하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표지를 보니 마치 바다사자처럼 생겼네요. 저자 김일광님의 설명에 의하면.... 강치는 독도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동해에 살던 바다사자의 한 종류라고 하네요. 바다사자라면 남극이나 북극에만 사는 줄 알았는데 우리나라에도 살았었다니 정말 놀랍기만 합니다. 그런데, 그런 강치들이 강아지처럼 동그란 눈에 헤엄과 장난을 좋아하던 그렇게 귀여운 우리 강치들이... 왜 지금은 모습을 보이지 않는걸까요? 

<<강치야, 독도 강치야>>는 바로 우리나라 독도에 살던 강치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일제강점기 시대에 일본 어업회사에 의해 무참하게 살육되어 사라져버린, 강치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독도는 강치들에게 아주 살기 좋은 곳이었나 봅니다. 널찍한 갯바위와 바람을 피할 언덕과 동굴까지 고루 갖춘 돌섬, 독도에 강치들이 둥지를 틀었습니다. 그 평화로운 시간이 흐르고 흘러 독도가 강치 섬이 되었을 때, 아기 강치 한 마리가 태어납니다. 이름은 "아라"라고 한대요. 돌섬과 강치들을 넉넉히 품어 주는 저 넓은 바다처럼 되라고 "아라"라네요. 

아라는 부모님의 보살핌 속에 무럭무럭 자랐어요. 친구들과 장난도 치고 섬 곳곳을 돌아다니며 탐험도 하면서요. 그러던 어느 날... 동도에 살던 달이네 가족이 사냥꾼들의 눈을 피해 서도로 옵니다. 





일본 어업회사에서 기름과 고기, 가죽을 얻으려고 독도의 강치들을 잡아간 거죠. 서도의 강치들은 서로 불침번을 서 가면서 서로를 지키려고 노력했어요. 



자신들을 해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무한히 자상한 강치들은, 그곳에 사는 주민들과는 다른 존재(사냥꾼)들이 벌이는 무참한 살육에 치를 떱니다. 자신들의 동료가, 가족이... 발가벗겨진 채 바다 위를 둥둥 떠다니는 모습을 본 아라의 마음은 얼마나 아팠을까요!!!



자식들을 지키려고, 가족을 지키려고 나섰던 아라의 아빠도, 다른 강치들도 그렇게 죽어갔습니다. 

"바다가 되어 돌섬을 지켜야 한다." ...83p

나라에 힘이 없어 우리 대신 독도를 지키던 강치들을 지켜주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더욱 마음이 아픕니다. 실제로 1905년부터 8년간 약 1만 4천여 마리가 잡혀갔다네요. 그렇게 우리의 강치가 사라졌습니다. 강치 뿐이 아니겠죠. 우리가 지켜주지 못해서 사라진 동 식물들이 얼마나 많을까요. 우리와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그들의 생명을 빼앗을 권리가 우리에게는 없습니다. 단지 자신들만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닌, 우리가 사는 이 터전에 함께 자리잡고 살아가고 있는 존재들을 존중해주는 마음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