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호! 춤을 추자 - 우리춤 야호! 신나는 체험 시리즈 3
이야기꽃.김지원 지음, 이지원 그림, 김찬복 사진 / 청어람주니어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주말에 가끔 산책하러 들르는 집 근처 석촌호수에 가면 "송파 산대놀이" 공연을 볼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속속들이 알 수는 없어도 그저 신명나는 장단에 신이 나고, 그들의 짖궂은 장난말이나 몸짓에 웃음이 터지곤 합니다. 아이 또한 익숙해서 이해하기 쉬운 "춤"만큼은 아니어도 둥~둥~ 울리는 장단에 고개도 끄덕이고 중간 중간 나오늘 대사에 귀를 열심히 기울이곤 하죠. "우리 것"이라는 것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가슴에서 가슴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인가봐요. 

<<야호! 춤을 추자>>는 바로 이 "우리 춤"에 대한 책입니다. 한복을 입고 추면 모두 같은 것 같던 우리의 춤이, 사실은 궁중에서 추는 "궁중춤"과 의식을 치를 때 추는 "의식춤", 민중들 사이에서 자연스레 만들어지고 다듬어진 "민속춤"의 갈래가 있고 현대에 이르러 우리의 옛춤에 현대적인 것을 가미한 "신무용"이 탄생하기까지의 모든 것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사실 민속춤이나 의식춤 모두 기본적으로는 주술적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주술적 의식 속에서 놀이로 발전"해 왔다고 합니다. 그에 비해 궁중춤은 나라의 경사나 예식 때에 추는 춤으로 형식과 절제, 격식이 무척이나 중요하다고 해요. 다양한 내용에 따라 그 이름이 정해지죠. 

    

책을 읽다보면 우리 민족이 "춤"이라는 것에 얼마나 많은 창의성을 보여왔는지를 느낄 수 있어요. 중국에서 받아들였든 우리 땅에서 만들어진 것이든 어느 하나의 틀에 얽매여 있지 않고 거듭해서 발전시켜 왔습니다. 그렇기에 상황에 따라, 지역에 따라, 내용에 따라 아주 다양한 우리만의 춤을 갖게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우리의 이러한 정신은 최승희에게까지 이어져 최승희는 획기적인 신무용을 잇따라 발표하고 지금의 김연아보다 훨씬 더 세계적으로 유명했었다니... 어깨가 저절로 으쓱거립니다.^^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내용을 다양한 편집으로 아이들의 눈을 확~ 끌어잡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춤의 개요를 설명할 때는 관련 시나 일러스트를 이용하여 이해를 돕고(그 역사를 이미지화 할 수 있다니 놀라워요!), 종류를 설명할 때는 실사로 보충 설명을 하고 있지요. 그 후의 독후활동으로 직접 따라 춰 볼 수 있도록 "어디 한 번 따라해 볼까?" 코너가 무척 재미있습니다. 

    

"춤을 추는 사람의 마음이 아름답지 못하면 좋은 춤을 출 수가 없어요. 왜일까요? 우리춤은 춤을 추는 사람의 마음이 몸을 통해 표현되는 아름다운 시이기 때문이에요. 때로 마음속에 슬픔과 아픔이 있더라도 밝게 풀어내려는 마음으로 춤을 추다 보면, 신명 속에 절로 마음의 울분이 풀어진답니다. 이것이 우리춤의 가장 큰 장점이지요."...글쓴이의 말 중에서...

모두 비슷해보였던 뭉뚱그려진 우리 춤이 이렇게나 다양하고 독창적이며 아름다웠다는 사실이 매우 놀라웠습니다. 또 그 춤사위 동작 하나하나에 누군가의 염원, 누군가를 위한 염원이 깃들어있다고 생각하니 한편 숙연해지기도 하네요. 다음에 이런 전통춤을 볼 기회가 생긴다면 그냥 대강 보게 될 것 같지가 않아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