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의 눈물 샘깊은 오늘고전 12
나만갑 지음, 양대원 그림, 유타루 글 / 알마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한산성을 지척에 두고, 어렸을 때부터 가족간의 화합을 위해... 혹은 건강을 위한 등산으로 자주 오갔으면서도 이 곳이 무엇을 하는 곳인지 한 번도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이 없습니다. 
그냥 나라를 지키기 위한 성이었구나..하는 정도였고 학교를 다니며 배웠을 병자호란 속에서의 남한산성에도 그다지 의미를 둔 것 같지 않습니다.
이미 어른이 되어 너무나 훌륭한 역사 동화책들을 만나니 그저 '나는 왜 이렇게 재미있고 진지한 역사의 세계를 이해하려 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만 드네요.

<<남한산성의 눈물>>은 나만갑이 인조를 따라 남한산성으로 들어가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일기로 적은 '병자록'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게 새로이 엮은 책입니다. 
어째서 병자호란이라는 전쟁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는지, 그당시 조정과 백성들의 마음은 어땠는지, 전쟁은 어떤 과정을 통해 진척되었고 어째서 인조는 청나라에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었는지가 낱낱이 적혀져 있습니다. 
일기는 자신이 보고 듣고 겪은 것과 그런 것들 사이에서 자신이 느낀 점들을 함께 적어나가는 '기록'이므로 나만갑의 '병자록'이 없었다면 우리는 어떻게 이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 동안 조선이 그토록 쉽게 무너질 수 있었는지를 전혀 이해하지 못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병자록'을 통해 우리는 그 과정을 낱낱이 알 수 있었고, 이 기록을 통해 주변 정세와 당시 백성들이 겪었을 처참한 모습까지도 자연히 생생하게 그려지는 것입니다. 

병자호란은 그 세력이 차츰 줄어드는 명나라와 여진족으로서 그 세력을 점차 넓혀가던 청나라 사이의 싸움에 조선 광해군과 인조가 어떻게 대처했느냐에 따라 발발된 전쟁입니다. 
한 나라의 임금에서 다음 임금으로 바뀌었을 때 주변 국가에 대한 처세도 바뀐 만큼 조정 안은 척화파와 주화파 사이의 싸움으로 시끄러웠고 그 싸움으로 인해 정작 외세에 대비해야 함에도 제대로 준비조차 하지 못해 끝까지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조정의 대처로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쫒겨가고 그로부터 46일간의 긴박한 사투와 그 이후의 치욕적인 항복 의식을 치르기까지의 일이 자세하게 밝혀집니다. 

명분을 쫒는 척화파와 실리를 쫒는 주화파 사이에 어느 쪽이 옳다고 간단히 말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자신들만의 이익을 추구하는 많은 관리들로 인해 백성들은 더욱 고달파지고 임금은 너무나 치욕스런 항복을 하게 됩니다. 
'병자록'을 읽다 보면 나라에 힘이 없으므로 얼마나 비참해질 수 있는지 저절로 깨닫게 됩니다. 
우리가 역사를 바로 알아야 함은, 과거를 돌아보고 잘못을 인정하여 앞으로의 길에 더이상의 실수나 잘못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겠지요.
나라가 위급하고 위험한 때에 자신들만의 부와 명예를 쫓아 행동하는 김경징 등의 이야기에는 정말 주먹이 불끈! 쥐어집니다. 

<<남한산성의 눈물>>을 읽고나자, '병자록'이 얼마나 귀중한 자료인지가 새삼스럽게 다가옵니다.
비록 짧은 전쟁이었지만 역사상 처음으로 다른 나라에게 고개를 숙인 전쟁이었고, 많은 백성들이 청나라로 끌려가 노비로 전락했으며 가족은 죽고 뿔뿔이 흩어져버렸습니다. 
46일간의 일기와 그 후 강화도에서 있었던 일 등 병자호란의 이야기를 어느 하나 거짓없이 담아낸 이 일기는 우리 역사의 산증인일 것입니다.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병자록'을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책이, <<남한산성의 눈물>>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