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러독스의 세계로 간 소년 거인 꼬마 철학자 4
에밀리아노 디 마르코 글, 마시모 바치니 그림, 김경숙 옮김 / 거인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생각" 이라는 건  때로 내가 원하는대로 흘러가버리곤 한다.
이것이 옳은지, 저것이 옳은지 판단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순서대로, 차근차근 생각해보아도 어디선가 오류가 발생하고 전혀 다른 답을 내어놓기도 하기 때문이다. 

<꼬마철학자> 시리즈는 소크라테스의 제자, 플라톤이 소년일 때의 이야기를 기본으로 한다. 
세상에서 가장 지혜로운 사람이 되고 싶었던 스팔로네는 스승이 되어줄 사람으로 그당시 가장 유명했던 소크라테스로 정하고 그에게 수업을 받지만 모르는 것을 질문해도 언제나 또다른 질문으로 되돌아오는 순간이 싫기도 하다.
<<패러독스의 세계로 간 소년>>은 소제목인 "궤변에 속지 않는 법을 알고 싶어요!"에 대한 탐구이다. 

소크라테스와의 수업 중 잠깐 나무 밑에서 잠이 든 스팔로네는 이상한 일들만 일어나는 논리의 세계로 가게 되는데 이곳은 진실이 거짓이 되는 "패러독스의 세계"였던 것!
세상에서 가장 빠르다는 아킬레우스가 말하는 거북이를 절대 앞서 달릴 수 없고, 이치에 맞지 않는 어법을 사용하는 소피스트들을 만나기도 하고, 계속해서 거짓말만 하는 남자를 만나기도 한다.
스팔로네는 처음부터 "진리"를 알고 싶었던 것인데 이러한 여러 난관을 통해 "진실을 찾는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그것을 찾는 일은 성급히 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런데 대체 논리라는 게 뭔가요?"
궁금한 건 절대 참지 못하는 스팔로네가 물었어요. 
"그건 말이다. 말이나 글에서 추리나 사고를 이치에 맞게 이끌어가는 규칙을 말하지. 만약 어떤 문제의 답을 찾아야 할 때를 생각해 보자. 우선 그 문제의 결과를 추리해 보려고 밝혀진 사실에서 출발하는 거야. 그럼 언제나 올바른 답을 찾아낼 수 있지." ...39~40p 

<<패러독스의 세계로 간 소년>>은 제논과 고르기아스 같은 철학자, 소피스트, 플라톤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라고 한다.
어긋난 모순을 찾아내어 논리에 맞게 문제를 찾아가는 스팔로네의 이야기가 참 재미있다.
머리가 조금 빙빙 돌 정도로 차근차근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조금 어렵다고 생각해도 아이들에겐 아주 중요한 경험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