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귀 토끼 모두가 친구 1
다원시 지음, 심윤섭 옮김, 탕탕 그림 / 고래이야기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토끼"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들은 "긴~ 귀"와 "빨간 눈"일텐데, 이 책의 주인공 동동이는 귀가 짧습니다. 
어렸을 때는 귀의 길이보다는 높이 뛸 줄 아는 게 더 중요하게 생각했지요.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인가 동동이는 짧은 귀가 자꾸 신경이 쓰입니다.
엄마가 "아가, 네 귀는 귀엽고 특별하단다."라고 말씀해주셔도 그때 뿐... 친구들의 길쭉한 귀를 보면 다시 시무룩해집니다. 
동동이가 자라서 다리도 길어지고 튼튼해져서 더 빨리, 더 높이 뛸 수 있게 되어도,
새하얀 털이 반짝반짝 윤이 나도... 동동이의 귀는 그대로입니다. 

짧은 귀를 늘려보려고 빨래 집게에 귀를 집어 늘려보기도 하고, 
순무 밭의 순무처럼 물을 주면 자랄까 싶어 매일 아침 귀에 물을 주기도 합니다. 
이런저런 시도 끝에 동동이는 긴~ 귀를 만들어 붙이기로 하죠!
동동이의 시도는... 성공했을까요?^^

  
  

아이들이 조금씩 자아에 눈을 뜨고 거울을 바라보며 더 예쁘게 보이려고 노력할 때가 옵니다.
그럼 아이들은 자신과 친구들이 어디가 다른지 찾게 되고, 그 다른 점 때문에 친구들 사이에서 소외될까봐 걱정을 하기도 하죠.
엄마가 보기엔 정말 괜찮고, 예쁜데도 아이들에겐 "친구들과 다른 점"이 무척이나 신경이 쓰이나 봅니다. 

"다르다는 것"이 단점이 될 수 있을까요?
남들과 다르다는 것은 남들에게 뒤처지는 것이 아니라, 그저 다를 뿐이라는 것을 아이들에게 알려주고 싶습니다. 
또, 동동이처럼 자신의 컴플렉스를 무조건 감추려고 하는 것은 자신에게 큰 위기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요.
위기가 닥쳤어도, 결국 동동이는 자신의 통통하고 짧은 귀 덕분에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또, 자신의 컴플렉스를 없애려는 노력 덕분에 자신의 재능도 발견할 수 있었죠.
이제 동동이는 자신의 짧은 귀를 전혀 신경쓰지 않을 겁니다.
오히려 자랑스러워 하겠죠.

우리 아이들도 자신의 컴플렉스로 위축되지 말고, 그것을 뛰어넘을 수 있는 힘을 길러주고 싶습니다.
그러려면 동동이 엄마가 그랬듯이, 엄마가 얼마나 사랑하는지 또, 너는 무척이나 사랑스러운 아이라고 매일매일 속삭여주어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