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잔의 차
그레그 모텐슨.데이비드 올리비에 렐린 지음, 권영주 옮김 / 이레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사랑했던 여동생의 죽음을 그만의 방법으로 기리기 위해 세계에서 두번째로 높은 K2 등정에 올랐다가 실패한 그레그 모텐슨은 내려오는 길에 우연히 들르게 된 마을 코르페에서 건강을 되찾게 된다. 그때까지 그는 그냥 간호사였고, 등산가였다. 하지만 그 산 속 깊숙한 곳에 위치한 작은 마을 코르페에서의 날들이 그의 인생 전체를 바뀌게 한다.

<<세 잔의 차>>는 바로 그때부터 파키스탄 오지에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짓는 일을 하게 된 그레그 모텐슨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코르페라는 마을에 도달하게 된 과정에서부터 학교를 짓겠다고 다짐하고 기금을 모으려고 노력했던 일, 장 회르니를 만나 코르페에 다리를 놓고 첫 학교를 개교하게 된 일과 또다른 학교들을 짓게 될 수밖에 없었던 과정을 하나하나 설명해 나아가고 있다. 

"테러란 파키스탄이나 아프가니스탄 어딘가의 사람들이 단순히 우리를 증오하기 때문에 벌이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아이들이 죽음보다 삶을 선택해야 할 이유가 될 만큼 밝은 미래를 제공받지 못했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 "...43p

그레그 모텐슨은 그렇게 생각했다. 교육 받을 곳이 없어 노동에 내몰리고 정치에 휘말려 병사가 되는 아이들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은 바로 올바르고 균형잡히 교육 뿐이라고 말이다. 누군가의 의지와 뜻이 확실하다면 (물론 그 의지와 뜻은 선량한 목적을 가져야만 한다.) 그에게는 사람과 재물이 따라가는 것 같다. 그레그 모텐슨에게도 마찬가지였다. 처음엔 580여 통의 편지를 보내도 단 한 편의 편지와 기부금이 도착했을 뿐이지만 이후 모텐슨에게는 장 회르니라는 거액을 기부한 사람과 여러 방면으로 그를 도우려는 사람들이 나타났으니 말이다. 

종교가... 나라가... 혹은 탈레반 정권을 내몬 미국이 한 약속도... 그 무엇도 해결해주지 못한 것을 한 개인이, 그리고 그 개인이 이룬 많은 관계들이 저 깊은 곳, 순수하고 낙후된 이들의 미래를 위해 학교를 지었다. 

"무력으로만 테러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면 우리는 9.11 이전보다 더 안전해지지 못할 것입니다. " 모텐슨은 <퍼레이드> 독자들에게 주장했다. "우리 아이들에게 평화의 유산을 남겨주기를 진정으로 바란다면, 이 전쟁을 최종적으로 이길 방법은 폭탄이 아니라 책이라는 사실을 이해해야 합니다."...431p

벌써 10년이 흘렀고, CAI가 이룩한 많은 학교들에서 배출한 많은 학생들이 이 교육의 힘을 몸소 보여주고 있다. 일부는 고향으로 돌아가 자신의 고향을 위해 새롭게 힘 쓰고, 일부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또다시 배움의 길로 들어섰으니 말이다. 미국이라는 나라와 가장 대비되는 나라인 파키스탄을 너머 그는 이제 아프가니스탄으로 간다. 그리고 그의 열정은 계속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