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 접시 위에 놓인 이야기 5
헬렌 니어링 지음, 공경희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제부터 우리의 밥상은 그렇게 풍성해졌을까. 국 없이는 밥을 못 먹고, 반찬은 김치를 제외하고 3가지 이상은 되어야 한다. 아이를 키우고 있으므로 하루에 한 끼니 정도는 고기를(육고기이든, 물고기이든 알 종류이든 단백질을 말하는 것이리라) 먹여야하며 하루에 우유 500ml 이상은 마시게 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리고 그렇게 하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 그렇게 노력한 결과는... 처참하다. 우리 가족은 비대해졌고, 모두 비염이 있다.

내가 "건강"을 위한 식단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사실 아이를 가지면서부터이다. 부부 둘 모두가 가진 비염을 걱정하여 임신하고서부터 바로 유기농 전문 매장에서 장을 봐다가 식사 준비를 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들은 눈에 바로 보이는 것이 아니어서, 아이가 태어나 점점 자라면서 오히려 "건강"에 대한 관심은 줄어들었던 것 같다. 아이가 좋아하니까... 식사 준비가 귀찮으니까.... 맛있으니까...라는 다양한 이유로 인스턴트 음식이나 외식을 선호했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슬로우 푸드보다는 빨리 만들어낼 수 있는 재료와 음식들을 선호했던 것 같다.

생각을 조금 바꾸면... 새로운 세계가 보이기도 한다. 몸에 좋은 음식은 만드는 데 정성과 시간이 많이 든다는 것이 우리의 일반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아예 조리를 하지 않는다면...? ^^ 그 어떤 정성과 시간도 들이지 않고, 조리를 한 음식보다 더욱 생생한 영양을 섭취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답은 바로 "야채와 과일, 견과류"에 있었다. 

"음식은 소박할수록 좋다고 생각한다. 또 날것일수록 좋고, 섞지 않을수록 좋다. 이런 식으로 먹으면 준비가 간단해지고, 조리가 간단해지며, 소화가 쉬우면서 영양가는 더 높고, 건강에 더 좋고, 돈도 많이 절약된다."...19p

그야말로 일석육조인 셈이다. 맛있게 만들어서 과식할 필요 없이, 그저 영양을 충분히 고려한 식단이 옳다는 사실을 헬렌 니어링에게 배운다. 이러한 생각들이 매우 참신하고 옳게 느껴지는 이유는... 나도 이러한 밥상을 받아들일 준비가 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은 그렇게 보이지 않을지라도, 어쨌든! 요리책이다.^^ 평생동안 채식주의자로서 살았던 헬렌 니어링의 스프와 샐러드, 야채 조리법과 디저트, 물과 음료 조리법... 그리고 저장법까지. 꽤 다양한 요리들을 다루고 있다. 단, 매일 풍요로운 밥상을 마주하고 맛있는 것만 먹어왔던 사람들이라면... 이 요리책을 견딜 수가 없을 것이다. 헬렌 니어링식 표현대로 "죽은 시체"로 만든 것은 하나도 없고, 그것들의 "알"로 만든 요리도 하나도 없으니 말이다.

사실 이 요리법들을 읽다보면... 이 요리들을 우리 밥상에 올릴 수가 있을까...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음식을 먹는 방식은 음식을 먹는 사람의 의식에 따라 상대적"(...70p)이라는 그녀의 말처럼, 이 요리들을 기반으로 나만의, 우리 가족만의 요리를 만들면 되는 것이다. 모두에게 일률적으로 세워지는 원칙은 없다. 나만의 원칙을 세우고 조금씩 조금씩 지켜나가는 것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을까.

이 책은 지혜로 가득한 책이다. 평소 무심코 지나쳤던 것들(예를 들어, 콩을 불린 물이나 쌀을 불린 물을 야채스프 국물로 사용하거나, 화초에 이 물을 사용하기도 하는 등)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생각의 전환을 일으킬 수 있는 문구들이 곳곳에 번뜩거려 읽는내내 기분이 좋았다. 

우선의 목표는 "먹는 음식 중 우선 30%는 날것으로 먹어보자". 싱싱한 야채를 깨끗하게 씻어 샐러드를 만들고 최소한의 소스를 뿌려 맛있게 먹어야겠다. 식사 준비는 더욱 더 간편하고 쉬워지리라. 

"식사를 간단히, 더 간단히, 이루 말할 수 없이 간단히 - 빨리, 더 빨리, 이루 말할 수 없이 빨리 - 준비하자. 그리고 거기서 아낀 시간과 에너지는 시를 쓰고, 음악을 즐기고, 곱게 바느질하는 데 쓰자. 자연과 대화하고, 테니스를 치고, 친구를 만나는 데 쓰자. "...32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