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어 선생님과 함께 읽는 세계 명작 1 ㅣ 생각이 자라는 나무 16
강혜원 외 지음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내가 중학교에 입학하자 엄마는 집에 있던 모든 동화책(국내 창작, 세계 창작, 세계 명작 동화책)을 유명한 출판사의 세계 명작 전집으로 바꾸어 주셨다. 그때 새로 온 그 책들을 보면서 내가 받은 느낌은... "어른이 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왠지... 이 책들을 모두 읽고나면 어른이 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 초등학교 때 몇 번이나 되풀이해 읽던 <밤비>나 <작은 아씨들>, <플란더스의 개> 처럼 빨리 읽을 수 있는 책들이 아니었기에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 그 책들을 읽었다.
중, 고등학교 시절에 읽으며 공감할 수 있었던 책들은 역시나 <제인 에어>와 <폭풍의 언덕>, <테스> 같은 여주인공이 나와 연애소설처럼 느껴지는 책들이었고,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나 <주홍글씨> 등도 읽을만 했다. 물론... 제대로 된 책읽기는 아니었고, 어디까지나 내용만 쫒아가느라 급급했다. 하지만... 읽었냈다는 데 의의가 있었다. 그당시의 내겐. 내 주변 세계와 그 밖의 세계를 바라보는 눈이 좁았던 그 시절에는, 내 좁은 시야 안에서 읽힐수밖에 없었지만 그건 그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래도 조금 더 그 작품들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더라면 내 시야는 더 넓어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건 어쩔 수 없다.
<<국어 선생님과 함께 읽는 세계 명작>> 시리즈는 그런 책이다. 우리가 "고전"이라 부르는 유명한 세계의 명작들을 읽는 데 좀 더 이해하기 쉽도록 돕는 책이다. 작가에 대한 설명과 간단한 줄거리, 작가가 이 책을 쓰게 된 배경과 그당시의 주위 환경까지... 책 한 권을 이해하는 데 모자람없이 설명하고 있다.
시리즈 1에는 <오페라의 유령>, <오만과 편견>, <폭풍의 언덕>, <위대한 유산>, <제인 에어>, <올리버 트위스트>, <적과 흑>, <바스커빌가의 개>, <80일간의 세계 일주>, <우주 전쟁> 등 10편의 명작들을 소개하고 있다.
구성이 정말 좋다. "애증"의 관계를 더 잘 이해시키기 위해 그리스 신화를 차용하기도 하고, 소설을 읽으며 알아두면 좋을만한 역사적 사실(대게는 산업혁명과 제 1차 세계대전 등)을 자세히 소개하기도 한다. 많은 명작들이 영화화된 사실이 있어, 영화에서는 어떤 식으로 묘사되었는지를 읽는 재미도 쏠쏠하다.
<<국어 선생님과 함께 읽는 세계 명작>> 시리즈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명작을 그저 소개만 해주는 책이 아니다. 아무런 지식 없이 책을 읽는 것도 좋지만, 그 시대와 배경을 알고 작가의 의중을 생각하면서 읽는 책의 느낌은 분명 다를 것이다. 바로 그 점을 이 책에서 강조하고 있다.
"인생에서 사랑이란 무엇인지, 우리를 뒤흔드는 격정은 무엇인지, 죽음 뒤에 피어나는 생명은 무엇인지, 자연과 인간의 관계는 어떤 것인지 새삼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것이다. 그렇기에 소설 속의 인물을 소설 속에 가둬 놓지 말고 우리 삶 속에서, 혹은 나의 내면에서 찾아보는 일이 필요하다. "...88p
어떤 책에선 인물을 눈여겨보아야 하고, 어떤 책에선 작가의 메세지를 눈여겨보아야 하는지..... 세월이 흐르고 발전한 과학 덕분에 유치하거나 억지처럼 느껴지는 소설의 경우 어떤 점을 유의해서 읽어야 하는지를 일일이 잘 짚어준다. 문학 작품을 잘 이해하기 위해선 어느 한쪽으로만 해석하는 건 좋지 않다고 말해주기도 한다. 주제에 대한 다양한 이해와 접근이 작품의 의미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10편에 대한 설명을 읽고나니, 이 책들을 읽던 그시절 생각이 새록새록하다. 그리고 지금 내가 가진 눈으로, 알고 있는 지식으로 다시 한 번 이 책들을 읽어보고 싶어졌다. 세월이 흐른 뒤 읽는 명작들은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지 무척 궁금하고 매우 기대된다. 부디... 이 책을 읽는 청소년들이 두 손에 명작을 들고 직접 읽었으면 하는 바램이 가득하다. 여기에 소개된 줄거리로는 설명된 것들을 느끼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인물들의 대사를 읽으며, 그곳의 배경을 읽으며, 사건들을 직접 읽어내야 비로소 행간의 의미까지도 알게 된다는 것을 직접 체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