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랑하고 쫀득~한 세계사 이야기 2 - 중세 시대에서 신세계 탐험까지 생각이 자라는 나무 14
W. 버나드 칼슨 지음, 남경태 외 옮김, 최준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1권에서는 인류가 생겨나고 기술의 발전(도구와 불을 사용하여 생활하는 데 용이하게 만드는...)에 따라 고대 국가가 형성되기까지의 역사를 알 수 있었다. 최초의 인류는 아프리카에서 시작되었고, 간빙기에 날씨가 따뜻해짐에 따라 각  대륙으로 퍼져나갔다는 것. 농사를 짓기 쉬운 강 유역 주위에서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며 여러가지 도구를 개발하고 도시를 만들기 시작했고, 나라로까지 발달하며 더 많은 기술이 발전했다는 것을 알았다. 시대적으로는 인류의 시작에서부터 기원후 5세기 정도까지였다.

<<말랑하고 쫀득~한 세계사 이야기>> 2권에서는 5세기에서 15세기 정도까지의 중세 시대 각 대륙의 발전 정도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설명하고 있다. 

같은 시기에 유럽에서는 작은 왕국으로 쪼개져 각자의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었고, 에스파냐에서 인도에 이르는 거대한 제국을 건설했던 이슬람 세계가 있었으며, 이 중세 시대에 가장 뛰어난 문명과 경제력으로 위세를 떨치던 중국이 있다. 또한 건조하고 사막화 된 지형 속에서도 자신들에게 꼭 맞는 기술을 발전시켜 온 아프리카와 원시적으로까지 보여서 유럽인들에게 무시당하던 태평양 지역 주민들의 뛰어난 조선술과 항해술을 만날 수 있다.

이 시기에 유럽은 작은 여러 나라들로 이루어져 있어서인지 특별한 발전은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거대한 제국을 이룩했던 이슬람 왕국에서는 유럽과 동아시아를 아우르는 지리적 요건으로 많은 문명들(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인도, 중국)이 서로 섞이고 절충되며 더 나은 발전을 보이는 것이 매우 인상적이다. 특히 이 때에 만들어진 "비단길"로 중국의 우수한 여러 기술들이 이슬람을 거쳐 유럽에까지 전해졌다는 사실이다. 기술이나 기계뿐만 아니라 새로운 발상이나 생각도 동양에서 서양으로 전달되었다고 한다. (가슴에서 우러나는 알 수 없는 이 뿌듯함...^^)

     

우리는 흔히 우리가 더 우수하다고 생각하거나, 우리보다 못하다고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렇게 세계사 이야기를 읽다 보니 어느 한 세계가 더 우수하다거나 더 못하다는 생각이 사라지게 된다. 로마 제국을 만들었던 유럽도 중세에 이르러 작은 왕국들로 갈라지고 나니 언제 그랬냐 싶게 중세에는 별다른 발전이 없었고, 이슬람이나 중국의 경우 거대한 제국을 이룩하여 오랜 시간 안정된 정치를 이루니 그만큼 많은 발전을 이루었으니 말이다. 아프리카의 경우 인구밀도가 너무 낮아 기술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없어 다른 나라들에 비해 기술 발전은 한참 뒤쳐지지만,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지역과 기후에 맞는 생활을 만들어왔다. 태평양 지역의 사람들도 마찬가지이다. 처음 태평양 지역을 방문한 유럽인들은 이들이 미개하다고 무시했지만 그들의 조선술과 항해술은 그 누구도 따라가지 못할 만큼 우수했다. 

이 시기에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교역을 통한 발전보다는 분쟁이나 전쟁을 통해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그 기술이 다른 민족에게 전해졌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모두 성공적으로 문화가 영향을 끼치지는 못했다. 아스카 문명과 마야 문명의 경우 유럽인들에게 발견되자마자 모두 그 발자취를 잃었다는 사실이 매우 안타깝다. 어떤 문명이든 그 소중한 가치가 있을텐데 말이다.

2권에서는 정말 가슴 뿌듯한 일이 있다. 한국인으로서, 이 세계사 책에 당당히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모습을 보는 것이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최초의 금속 활자에 대한 설명을 읽는 것!!! 

이제 신세계 탐험과 유럽, 미국이 득세하는 과정을 볼 차례다. 재미있는 세계사 이야기가 3권으로 이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