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것들의 책 폴라 데이 앤 나이트 Polar Day & Night
존 코널리 지음, 이진 옮김 / 폴라북스(현대문학)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방대한 양의 소설을 어디서부터 이야기해야 할까. 
이 책은 판타지 소설이며, 성장 소설이기도 하고, 동화 다시 읽기이기도 하다. 

** 판타지 소설**

아무런 상식과 지식 없이 이 책을 읽을 때, 이 책은 단순한 판타지 소설이다. 다른 판타지(예를 들어 나니아 연대기나 판의 미로 같은)와 같은 방식으로 현실 세계에서 또 다른 상상의 세계로 들어가게 되고, 그곳에서 수많은 모험을 경험한다. 또 다른 세계에는 요정이나 괴물, 이상한 동물들이 등장하는데, <<잃어버린 것들의 책>>에서는 기존에 다른 책이나 영화에서 등장했던 것들을 차용함으로서 익히 알고 있던 존재들(트롤이나 하피들)에 대한 묘한 익숙함이 생긴다. 

솔직히 개인적으로 판타지류의 소설은 처음이라 다른 책들과의 비교는 할 수가 없다. 하지만 내가 처음 접한 판타지로서는 매우 성공적이라는 느낌이 든다.

**성장 소설**

병으로 엄마를 잃은 데이빗은 얼마 되지 않아 아빠가 소개한 "로즈"라는 여자의 존재를 인정할 수가 없다. 아직 어딘가에 엄마가 살아계실 것만 같은데 아빠와 로즈는 결혼을 하고 로즈의 뱃 속엔 자신의 동생이 될 아이가 자라고 있다. 죽은 어머니가 좋아했던 왕자와 공주, 마녀 등이 등장하는 신화와 동화에 빠져드는 데이빗은 어느새 현실의 세계와 상상의 세계 속에 공존하게 된다. 이복 동생 "조지"가 태어나고, 아빠와 다른 가족(로즈와 조지)로부터 점점 소외되는 데이빗은 결국, 자신의 방 전주인인 조나단이 그랬던 것처럼 지하 정원의 구멍을 통해 또 다른 세계로 향하게 된다. 그 다른 세계는 음산하고 기이하다. 위험한 것들이 가득한 곳이고 데이빗을 위협하는 존재(꼬부라진 사람, 루프 등)들이 득시글거린다. 처음엔 어른들의 도움을 받지만 여러 경험을 통해 데이빗은 결국 혼자만의 용기와 힘으로 모든 일들을 극복하고 해결하게 된다. 

<<잃어버린 것들의 책>>에서의 성장 소설적인 면모는 데이빗이 조지에게 가졌던 시기와 질투의 감정이 이 세계에서의 여러 경험을 통해, 약한 자들은 지켜주고 돌봐주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바뀌었다는 데에 있다. 그의 마음 속 어린 감정들이 조금은 넓은 시각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그 전의 시각과는 다른 시각으로 모든 사건과 사물들을 바라볼 수 있게 된 데에 있다. 또 한 가지는 어머니의 죽음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 어머니의 죽음에 집착하기 보다는 로즈와 조지의 존재를 바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데이빗은 많은 사건을 통해 많은 존재들을 만나고, 그 존재들을 통해 점차 어른으로 성장해 나아간다. 데이빗이 다른 세계의 그 누구보다 강할 수 있었던 이유는 자신의 두려움조차 극복해내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세계를 이루었던 증오와 질투심마저 극복하고 어른에 한 걸음 다가간다. 

**동화 다시 읽기**

<<잃어버린 것들의 책>>은 그림 형제의 많은 동화들을 비롯하여 다른 책으로 수없이 출판되었던 전래동화와 신화들이 바탕에 깔려있다. 꼬부라진 남자는 룸펠스틸트스킨의 후손이고, 루프들은 빨간 모자와 늑대 사이에 태어난 아이들의 후손이며, 헨젤과 그레텔이나 미녀와 야수, 백설공주와 일곱난쟁이 등...많은 작품들이 인용되었다. 하지만 그 중 어떤 이야기도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이야기와는 다르다. 그보다는 그림 형제들이 책으로 출판하기 훨씬 전부터 입에서 입으로 전해내려오던 원전 그래도의 이야기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그 이야기들에는 많은 성적인 이미지들이 함축되어있고, 매우 잔인하며 상징적이다. 

작가는 이 많은 이야기들을 한데 묶어 또다른 상징으로 사용했고, 그 상징들은 데이빗의 환경과 연결지어져 있다. 그 많은 상징들을 풀어내기 위해 책 뒷부분 200페이지 정도는 동화 전문과 그 기원, 이 소설 속의 상징들을 해설한 부록으로 할애하였다. 이런 이야기들을 읽는 것도 꽤나 재미가 있었지만, 소설의 여운이 꽤나 강해서 부록이 앞부분에 있었으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전체적으로 이 모든 것들이 아우러져 흥미 있고 즐겁게 읽었다. 특히 뒷부분은 매우 감동적이기까지 했다. 데이빗은 돌아왔고 거기서 끝낼수도 있었을텐데, 작가는 계속 나아갔다. 잃어버린 것을 찾기 위해서.... 
꼬부라진 남자가 말했듯 인생은 행복과 기쁨이 있지만, 슬픔과 좌절도 있다. 이 모든 것을 경험한 데이빗이 다시 잃어버린 것들을 찾는 순간....그 순간이 바로 영원이고 행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