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꿍 바꿔 주세요! 책이 좋아 1단계 1
노경실 지음, 이형진 그림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어렸을 적 생각이 난다. 초등학교 3학년 때 막 전학 간 학교에서 자리를 바꾸던 날, 모든 반 아이들이 짝꿍이 되기를 거부하던 한 남자아이가 있었다. 선생님께선 그 아이와 짝이 되는 대신 난로 바로 뒷자리에 앉도록 배려해 주셨음에도 그 아이와 짝이 되려는 아이는 없었다. 그때 난 무슨 치기어린 마음에서였는지 손을 번쩍 들고 내가 그 짝을 하겠다고 나섰다. 한마디로... 잘난 체였다. 어떻게 사람을 겉모습만 보고 평가 하느냐고, 난 그런 사람 아니라고 반 아이들에게 알려주고 싶었던 거였겠지. 하지만, 난 그 아이와 짝이 되고 반나절도 못 되어 바로 후회했다. 옆에만 앉아있어도 그 아이에게서 풍기던 이상한 냄새. 바라만봐도 너무 지저분해 보였던 그 아이. 열흘만 참으면 새학기가 되었기에 난 참을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다짐했다. 절대로!!! 두번 다시는 앞에 나서지 말아야겠다고...

지금 생각해보면 추억이다. 그런데, 매우 깊이 각인되어있다. 내겐 어렸을 당시의 추억으로 기억되지만, 온갖 모욕을 듣고, 자존심이 상했을 그 아이에게는 어떤 기억으로 남았을까.. 이젠 부모의 입장에서 매우 걱정이 된다. 지금은 이름도 기억나지 않는 그 아이도 <<짝꿍 바꿔주세요!>>의 김준수처럼 어떤 이유가 있었을 거다. 새아빠와 결혼한 가정 속에서 정서가 불안해진 준수가 일부러 씻지도 않고, 밥도 조금 먹고, 소리치듯 말하게 된 것처럼 말이다. 사랑을 더 많이 받고 싶어서 남들이 싫어하는 행동이어도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는 준수처럼 우리 주위에는 일부러가 아니라 자신도 모르게, 더욱 관심 받고 싶어서 다른 아이들이 싫어하는 행동을 하는 아이들을 종종 보게된다.

괴롭힘을 당하게 되거나 그런 행동이 너무 싫어서 그런 친구들을 싫어하는 아이들 입장에서는 그 아이에게 상처가 되는 행동을 할 수도 있다. 혹은 이유를 모르기 때문에 너무 싫은 짝꿍과 하루하루 지내는 것이 너무나 싫어서 스스로 스트레스 받고 상처를 받을 수도 있다. "경지"처럼 말이다. 하지만 경지는 준수 어머니의 설명을 듣고 준수를 이해하게 된다. 왜 준수가 "헤어지지 않는 약"을 만들려고 하는지 이해하게 되고, 그런 약을 만드려는 준수는 조금 이상하긴 하지만 정말 멋진 아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짝꿍 바꿔주세요!>>를 통해 보기에 더럽고 시끄러운 아이라도 그 아이만의 좋은 점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으면 좋겠다. 어떤 아이든 좋은 점이 없는 아이는 없으며, 자신을 포함한 모든 아이들이 각자 좋은 점과 나쁜 점을 갖고 있으니 무엇보다 서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말이다. 

워낙 정적이고 단정한 것을 좋아하는 우리 아이에게도 싫어하는 친구들이 참 많았다. 친해지고 싶어서 끊임없이 괴롭히는 아이도 있고, 남자아이들은 대체로 소란스럽고 동적이라 우리 아이에게는 그 존재 자체가 부담스럽나 보다. 하지만 한 아이, 한 아이를 상대로 이야기해 보면 사실은 모두 좋은 친구들이라는 사실을 조금씩 알아가는 것 같다. 여러 친구들을 사귀는 과정 중에 저절로 알게 되는 귀한 깨달음이다. <<짝꿍 바꿔주세요!>>를 통해 친구들을 더 많이 이해하게 되는 아이가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