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원복 교수의 와인의 세계, 세계의 와인 1 - 와인의 세계
이원복 글.그림 / 김영사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술을 좋아한다.
그것이 유전으로 인한 것이든 앞으로 중독이 될 가능성이 있든간에, 맛있는 반찬을 만들어 저녁을 먹으며 남편과 한 잔 하는 술의 매력에 어떻게 빠지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
내가 좋아하는 술은 "맥주"인데, 작년 다이어트를 하며 종목을 바꿔보려 노력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오히려, 다양한 술을 즐기게 되었다는 것.(정말 못말리는 애주가인가보다.)
그렇게 와인과도 친해지게 되었고 우리는 가끔 와인을 마신다.
와인을 고를 때의 기준은 "싼 것"이었다.^^
한 번 딴 와인은 금방 맛이 변질된다는 것을 깨달은 우리 부부는 하루 혹은 이틀에 걸쳐 마셔버려야 한다는 사실에 경제적인 중압감을 가졌다.
뭐, 맛은 거기서 거기인 것 같으니 가능하면 싼 것으로 자주 마시자..라는 태평한 생각에 도달한 것.
아아~ 지금(책을 읽고 난 뒤) 생각해보니 얼마나 얼토당토, 황당무계한 생각이었던지..ㅋㅋ
내가 너무나 좋아하는 책 <<먼 나라 이웃나라>>의 저자 이원복 교수님의 <<와인의 세계>>에서는 전체적인 와인의 개념, 역사와 와인 등급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과 와인을 만드는 여러 종류의 포도 그리고 와인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만화로 읽으니 이해하기 쉽고 흥미로우며 즐겁다.
와인에 얽힌 숨겨진 에피소드(외출했던 남편이 아내가 술을 마셨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내에게 키스하는 풍습이 생겼다는 등의 믿거나 말거나 설을 포함하여..^^)나 와인에 대한 문화를 통해 와인에 대해 제대로 알 수 있는 기회였다.
와인은 그저 기분을 좋게하기 위한 도구가 아닌, 여러 문화가 깔려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그동안 잘못 알아왔던 와인에 대한 편견이나 잘못된 상식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
무엇보다 와인을 고르는 기준을 확실하게 바로잡을 수 있었던 것이, 내가 이 책을 읽고나서 얻은 가장 큰 수확이다.
어떤 평론가가 매긴 등급이나, 가격 같은 것들에 의한 선택이 아닌 내가 직접 맛보고 경험한 뒤 내 입맛에 맞는 와인을 직접 골라야 한다는 사실!!!
와인을 제대로 즐기려면 그에 맞는 환경(레드와인은 14~18%, 화이트와인은 6~12%, 샹파뉴 4~8%)부터 갖춰놓아야 한다는 것도 새롭게 알았다. (레드와인의 경우 그저 실온...이라고만 생각했으니 제대로 맛본 적이 없다.)
다음에 와인을 고를 때는 와인을 만든 나라나 이름, 가격이 아닌 포도의 종류별(물론 나라마다, 와이너리마다 다른 맛을 내겠지만)로 경험해보고자 한다.
일단 내 입맛에 맞는 와인을 찾기 전까지는 모험은 필수불가결이다.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자 결심하니 마냥 즐겁기만 하다.
일단 어제 맛 본 칠레의 "카베르네 소비뇽"은 합격이었는데, 다음엔 어떤 종류로 시험해볼까나?^^
----- 2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