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인
J.M.G. 르 클레지오 지음, 최애영 옮김 / 문학동네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 마리 구스타프 르 클레지오. 바로 올 2008년 노벨문학상을 거머쥔 작가의 이름이다. 그는 "현대 프랑스 문학의 살아 있는 신화"라고 불리기도 하고, "신성의 언어를 아름답게 흩뿌려놓는다"는 찬사를 듣기도 한다. 그가 소설을 쓰는 근간이 되는 것들은 무엇일까. 스웨덴 한림원은 "르 클레지오가 인간성 탐구, 관능적 환희, 시적 모험, 새로운 출발의 작가"라고 평했다고 한다. 그가 쓰는 소설에 이런 것들을 담게 된 배경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게 하는 책이 바로 <<아프리카인>>이다.

<<아프리카인>>은 자서전이 아니다. 르 클레지오 자신의 이야기보다는 "아버지"가 걸어온 길, 그리고 르 클레지오가 아버지를 이해해 가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수필도 아니다. <<아프리카인>>을 검색해보면, 분명 "소설"이라고 씌여있다. "왜 소설인가."하는 의문이 계속해서 따라다녔다. 처음부터 끝까지 "나"라는 1인칭에 너무나 자세한 묘사, 그의 가족사 이야기 그리고 덧붙여져 있는 그의 아버지가 직접 찍은 사진까지.... 분명 수필로 보이는데, 소설이란다. 왜일까.

이 이야기는 르 클레지오의 아버지가 청년이었던 시절, 아프리카로 발령 받아 의사로서 일을 시작하는 것에서부터 어머니와의 결혼, 신혼시절 그리고 전쟁동안 떨어져 지내던 동안의 "아버지"의 이야기가 들어있다. 이 모든 과정과, 전쟁 이전과 전쟁 이후의 아버지가 어떻게 달라지셨는지... 등의 이야기는 르 클레지오가 아버지로부터 직접 들은 이야기가 아니다. 어머니에게서 전해 들었거나 아버지가 찍어 놓으셨던 사진을 보고 후에 그가 같은 루트로 그곳을 오가며 아버지의 입장에 서서 추측해 본 이야기인 것이다. 그래서 "소설"이다. 

그의 어린 기억 속에는 광활한 대지와 뜨거운 열기, 그리고 진정한 남자와 어른의 세계로 들어서게 해 주던 "자유"와 "억압"의 아프리카가 있다. 제 2차 세계 대전으로 모든 남자들은 징집당했고, 주위엔 여자들과 노인들, 그리고 어린이들만 남은 세계에서 남자 아이들 특유의 그 어떤 장난이나 놀이도 제대로 할 수 없었던, 주위 어른들의 권위는 없으나 전쟁으로 인해 자유로울 수 없었던 르 클레지오는 8살이 되어서야 아버지를 처음 만나고 함께 살게 되는 아프리카로 들어서며 새로운 세계와 맞딱뜨리게 된다. 그리고 아버지의 혹독한 권위가 주는 "억압"과 아프리카의 그 광활한 사바나를 뛰어다니며 누리는 "자유" 아래 서게 된다. 그리고 이 두 가지는 르 클레지오에게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해 준다. 

왜 아버지가 아이들에 대해 너무나 권위적일 수밖에 없는지에 대해, 르 클레지오는 그것이 바로 <아프리카인>의 관습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회적 권위나 명예 따위를 떠나서 자유를 찾아 아프리카로 떠난 아버지는 전쟁으로 인해 가족과 함께 할 수 없는 지리적 "억압"을 당하게 된다. 서양인들이 아프리카인들을 대하는 모순과 부조리함 등에 혐오를 느끼는 아버지는 더욱 더 "아프리카인"이 되어 간다. 그리고 아마도 오랫동안 아버지를 이해하지 못해 아버지의 권위에 대항했을 르 클레지오도 아버지를 이해하게 되고 아버지와 같은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이 책에서 말하는 <아프리카인>은 그의 아버지이기도 하고, 르 클레지오 자신이기도 하다. "아프리카"가 그에게 주는 의미는 매우 원초적이면서도 그를 품는 어머니의 이미지, 그리고 바로 그 땅에서 잉태되었다는 자신감에 있다. 자신과 아버지의 이야기를 이렇게 사실적인 소설로 만들 수 있다는 새로운 사실에 매우 놀랍다. 그리고 그 풍경을 묘사하는 힘, 그건 역시 멋들어진 풍경을 직접 보지 않고는 할 수 없는 일일 것이다. 아프리카의 아름다움 뿐 아니라 그 이면의 것들까지 껴안을 수 있는 그야말로 진정한 "아프리카인"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