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샤의 그림 (리커버)
타샤 튜더.해리 데이비스 지음, 공경희 옮김 / 윌북 / 201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누가 나에게 제일 닮고 싶은 사람이 누구냐고 묻는다면 망설이지 않고 "타샤 튜더"라고 대답하겠다. 처음 <<행복한 사람, 타샤 튜더>>와 <<타샤의 정원>>이 출판되고 몇 달을 별렀다가 그 두 권의 책을 구입했을 때만 해도 이 소박한 할머니에게 이렇게 푹~ 빠져버릴 줄은 몰랐다. 그저 정원이 너무 예뻐서 대리만족이라도 할 생각으로 골랐던 책이었다. 그때는 타샤 튜더라는 사람이 뭐 하는 사람인 줄도 몰랐고 그냥 돈 많은 할머니가 넓은 땅을 구입해 예쁜 정원을 만들었구나...하고 생각했다.
우연히 중고 책방에 갔다가 <<나는 지금 행복해요>>를 발견했고 거의 새책이어서 얼른 데려왔다. 또 올 3월에는 <<타샤 튜더 나의 정원>>을 한정판으로 판매한다(분명 한정판이랬는데, 아직도 판매하고 있다. 조금 속은 듯한 기분이...)는 문구를 보고 얼른 구입했다. 이렇게 그녀의 책들이 점점 많아지면서 더이상은 돈 많은 할머니가 취미로 만든 정원이 아니라고, 그녀의 인생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는 정원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여기 또 한 권이 있다. <<타샤의 그림인생>>은 그녀의 본업이었던 삽화를 중점으로 다룬 책이다. 지금은 자급자족하고 1830년대 의상과 요리법의 라이프스타일로 더욱 유명해졌지만 사실 그녀는 본래 직업이 삽화가였으니 이 책이 가장 먼저 나왔어야 하지 않나 싶다. 지금까지는 누군가와 공동작업을 하기는 했어도 글은 "타샤" 본인의 목소리로 들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은 올 6월 타샤 튜더가 자연의 품으로 돌아간 이후 기획되고 출판된 책이어서 그녀의 그림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그녀 옆에서 전시회 등 여러 작업을 같이 해 온 해리 데이비스가 그녀의 인생과 그림에 대해 설명해준다.
그녀가 어린 시절 겪었을 외로움에서부터 초상화 화가였던 엄마 로라 옆에서 그림을 그리게 된 계기, 부모님의 이혼 등을 통해 그녀가 왜 그토록 1830년대에 집착하는지 조금은 이해가 되는 것 같았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저 그림책에 조그맣게 들어가는 그림이라고 생각했던 삽화에 대해 얼마나 많은 열정과 그녀 자신의 인생이 녹아들어 있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뻤다.
"그녀는 소망하는 세상의 모습을 표현하는 것을 즐겼지만 현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면도 있었다. 환상적으로 살면서도 현실에 주목하는 능력이 뛰어났기에 그녀의 그림은 그럴듯했고, 그녀가 꿈꾸는 삶도 실현 가능할 것처럼 보였다." ...139p
자신이 바라는 세상을 <코기빌> 시리즈를 통해 담아내고 자신의 꿈을 실현하려는 그 열정이야말로 그녀의 삶, 그 자체이다.
"코기빌은 더 나은 세상을 창조하려는 그녀의 시도였을지 모른다. 코기빌 주민들은 자유의지를 지녔으면서도 - 마음먹으면 간사하고 악해질 수도 있다 - 저자인 타샤처럼 아이같이 순수하다."...183p
그녀의 그림들엔 매우 우아한 테두리가 있고, 그 테두리에는 리본과 꽃으로 장식하지만은 않는다. 크리스마스 엽서에는 크리스마스 장식물들이 테두리를 차지하고 있고, 때로는 장난감과 책들이, 때로는 요리 기구들이 차지하고 있을 때도 있다. 그런 하나하나 작은 장식들이 그녀의 재치와 유머감각을 나타내는 것 같아 미소지어진다.
다른 그림보다 잘 그리고 못 그리고를 떠나 그림에 대한 타샤 자신의 "자신감"에 따라 그림을 폐기하거나, 동화 속 주인공인 동물들을 그리기 위해 지하 냉동창고에는 동물 시체들이 가득하다는 에피소드들은 그야말로 그녀의 장인정신을 엿볼 수 있는 이야기들이다.
취미가 아닌 생계를 위해 더 많은 그림을 그려야했던 타샤 튜더를 그래서 더욱 존경하게 된다. 네, 다섯명이 분주하게 하는 일들을 그녀 혼자 오랫동안 즐기면서 생활해왔다. 그만큼 그녀는 부지런하고 자기 자신만의 확고하고 투철한 마인드가 있었다. 비록 이제 더 이상 새로운 그녀의 책들은 볼 수 없지만 그녀의 그림들과 라이프 스타일은 오래도록 여러 사람의 마음 속에 남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