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색 샤라쿠
김재희 지음 / 레드박스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조정의 특별한 명을 받아 일본으로 건너가 있던 최북. 드디어 '부엉이의 구슬'을 받아 조선으로 돌아갈 일만 남았다. 하지만 뒤에선 닌자들이 뒤쫒아오고, 최북은 천 길 낭떠러지 위에서 닌자에게 죽임을 당한다. '부엉이의 구슬'을 빼앗긴 채...
첫 장면부터 마치 액션 영화를 보는 듯하다. 새하얀 눈밭과 새빨간 피가..마치 눈에 보이는 듯하고 그 긴박함이, 그 긴장감이 책을 잡은 두 손에 땀을 배게 한다. 불과 처음 두세장을 읽을 때였다.
하지만 그 긴장감은 그 처음 두세장이 다였다. 책의 반을 넘도록 사건 하나 없고 도대체 책의 절정과 클라이맥스는 어디일까..기다리고 기다리며 읽었다. 그렇다고 책이 지루한 것은 아니다. 아니, 오히려 단원 김홍도가 신가권(신윤복의 본명)을 밀사로 키우는 장면이라든지, 옛날 에도의 풍경(특히 뒷골목) 등을 느끼기에는 더없이 즐겁다. 다만 책의 첫 앞부분 때문에 계속해서 그런 긴장감을 기대하게 된 것이랄까.
우연히 비슷한 때에 비슷한 한국형 팩션 두 권이 출간되었고, 나도 같은 시기에 두 책을 함께 읽게 되었다. <<왕의 밀사>>가 큰 살인사건을 가지고 정치적인 갈등을 그려낸 남성적인 팩션이라면, <<색, 샤라쿠>>는 우리가 잘 아는 두 화가 김홍도와 신윤복의 인생과 사랑을 마음껏 상상해보는 여성적인 팩션이다.
따라서 <<색, 샤라쿠>>는 긴장과 큰 사건, 조선, 일본과의 관계를 생각하며 읽기보다는 그냥 가볍게, 신윤복의 일생이나 그의 사랑, 김홍도와 신윤복의 그림들이 탄생하게 된 배경 등을 마음껏 상상하며 읽으면 좋다. 책에는 두 사람이 그림을 그릴 때마다 두 사람의 그림을 옆에 실어놓고 있어 함께 감상할 수 있다. 비록 그 탄생 비화가 사실일지 아닐지는 알 수 없지만 박물관에야 가야 볼 수 있는 그림들을 여러 이야기와 함께 읽으며 보니 훨씬 즐겁다.
큰 갈등 구조가 없어도 책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하는 것은, 신윤복이 인생에 대해 새롭게 재조명할 수 있게 되는 여러가지 일화이다. 망나니같은 삶을 살아오던 천재 화가는 단원 김홍도를 만나 그림을 그리는 진정한 기쁨을 배우게 되고, 일본으로 건너가 간자(밀정) 노릇을 하면서도 일본인들과 진정한 우정을 쌓게 된다. 그리고 윗사람들은 알 수 없고, 알아도 모른척하는 진정한 밑바닥의 생활을 알게 되는 것이다.
"간자는 나라를 위한 일에 쓰이다 버려지는 도구에 불가하다. 이유를, 결과를, 과정은 몰라도 된다. 아니 모르는 게 의무다. 알려고 드는 것조차 하극상이다. 가권은 인생의 무상함을 뼈저리게 느꼈다. 한양이나 에도나 교토나 사람 사는 데는 다 똑같다. 어디가 더 낫고 말고가 없다. 가난하고 힘없는 하층민들은 불행하게 하루하루 살았고, 상류층은 지배 계급으로서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서민이나 빈민들이 지식을 얻고 서양학, 종교를 받아들이는 일을 금했다. 그들이 문맹일수록, 미신을 신봉할수록 다스리기 편하니까."....360p
한 사람으로서 주위를 둘러볼 수 있는 힘을 갖게 되는 것. 그것이 이토록 오래 이름이 남겨질 화가로 남게되는 힘이 된 것일게다.
김홍도와 신윤복, 그리고 그의 여인...세 사람, 아니 조선과 일본의 수많은 백성들의 이야기 속에 들어갔다 나온 느낌은 아주 감동적이다. 무엇이 감동적이냐고 묻는다면...어느 시대나 어느 곳에서나 하루하루 열심히 주어진 환경 속에서 열심히 살아야한다는 것이라고 말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