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트 - 어느 작은 개구리 이야기
제레미 모로 지음, 박재연 옮김 / 웅진주니어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금 큰 판형의 양장본에, 오로라처럼 아름다운 형광빛이 아름다운 표지 속 홀로 앉아있는 개구리가 눈에 띈다. 소제목이 "어느 작은 개구리 이야기"이니 아마도 이 개구리가 주인공일 게다. 알리트의 엉덩이 쪽에는 뭉실뭉실 기저귀를 찬 것처럼 무언가가 붙어있다. 곧 그것이 개구리 알이라는 것을 알아챌 수 있고 알을 업고 다니는 이 개구리에게 어떤 일이 생길까 궁금해진다.

몇 년 전부터 아이와 그래픽 노블을 접하면서 그래픽 노블이 줄글 소설만큼이나 많은 것들을 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말은 줄이고 그림으로 표현되는 이 그래픽 노블은 분명 아이들 눈높이이지만 굉장히 심오한 철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것들이 많아 정말 매력적이다. 아이도 긴 줄글보다는 훨씬 부담이 적으니 자주 즐겨 읽는다.

<알리트>는 개구리가 주인공이어서 사실 조금은 망설여지기도 했지만(고학년 아이 입장에서~) 워낙 매력적인 표지와 안쪽 페이지의 예쁜 색감 덕분에 역시나 금방 들고 읽게 된다. 하지만 초반, 개구리 알을 업은 개구리 한 마리가 레탈리트라고 불리는 도로(아스팔트)를 건너다 차에 치이는 끔찍한 장면을 맞딱뜨리게 된다. 하지만 그 개구리는 램포트라는 연못으로 아가들을 데려가기 위해 최선을 다 하고 한 연못 속으로 빠져 죽는다. 그 개구리알 중 단 한 마리!가 알을 깨고 나와 세상을 향해 헤엄친다. 그가 바로 알라트다. 책은 그 알리트가 점점 자라며 자신의 부모와 똑같은 과정 속에서 접하게 되는 나쁜 세상(환경오염으로 썩어가는 지구 속에서 아스팔트 도로에서 수없이 로드킬을 당할 수 있는)과 그 세상을 바꾸어보려는 노력을 담고 있다.



처음 알리트가 조금씩 성장하며 만나는 주변인을 통해 성장해가는 모습은 우리 소설 안도현님의 <연어>를 떠올리게 한다. 하지만 <연어>는 자신의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책이라면 <알리트>는 분명한 주제, 사람들의 이기적인 개발로 썩어들어가는 세상과 그 속에서 어떻게든 살아가기 위해 애쓰는 동물들의 노력을 담고 있다. 또한 알리트가 성장해가는 와중에 만나는 이들을 통해 삶과 죽음의 순환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최근엔 터널을 만들 때 생태통로를 만든다고 들었다. 하지만 우리가 편하려고 만든 도로는 여기저기 끝이 없고 살 곳이 없어진 동물들은 먹을 것을 찾아, 더 살기 좋은 곳을 찾아 옮기려다 로드킬을 당하기 일쑤다. 로드킬의 문제만이 아니다. 하지만 우리는 모두 태양으로부터 만들어진 생명이다. 함께 상생할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