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부지 산촌 유학기 햇살어린이 82
이봄메 지음, 최명미 그림 / 현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장소에서 자란다는 건, 정말 행운이다. 그렇게 자라보지 않은 사람이라면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건 그냥 이론적인 게 아니라 평생을 살아가면서 그때의 추억으로 위안을 삼고 다시 힘을 낼 수 있다면 언젠가 다시 돌아가고 싶어진다. 하지만 도시에서 자란 아이들은 다르다. 놀 거리도 없고 달려드는 곤충은 싫고, 불편하고 힘들기만 하다고 느끼는 거다.


딱 우리아이 같은 태엽이는 어느날 학교에서 날아온 안내장 하나로 졸지에 산촌 학교로 유학을 가게 됐다. 코로나 이후로 정신없이 바쁜 엄마와 집에서 주식으로 잔소리만 퍼붓던 아빠의 사이가 점점 나빠지던 사이에 벌어진 일이다. 아무리 싫다고 해도 그렇게나 맞지 않던 엄마와 아빠는 이 때만큼은 합심하여 태엽이를 시골로 보내버린다. 그렇게 갑자기 혼자 산촌에서 아이들을 돌보는 "철부지네"로 오게 된다. 태엽이는 이곳에서 잘 적응할 수 있을까?




처음엔 먹는 것도, 자는 것도, 걷는 것도 힘들던 태엽이는 아주 조금씩 적응해 나가지만 언제나 신경은 서울에 있는 엄마와 아빠다. 그럼에도 이곳에서 있었던 짜증나는 일, 힘들었던 일, 대견했던 일 등을 편지로 써 보며 조금씩 이 산촌 생활에 적응해 가고 건강해진다.


"이렇게 자연은 끊임없이 순환하며 서로를 도우며 살아간단다."...59p


자연을 통해 배운다는 말이 실감난다. 자연스럽게, 순리대로, 그렇게 태엽이는 자신과 다른 친구들과의 사이를 조금씩 풀어가고 엄마, 아빠와의 사이에서도 최선을 다 해보려고 한다. 이 철부지네 나오는 아이들 한 명 한 명이 모두 개성있고 예뻐서 푹~ 빠져 읽었다. 서로를 도우며 살아간다는 말처럼 아이들은 어른보다 더 친구들을 돕고 위해준다.




간혹 잘못된 선택을 해도, 제대로 책임을 지고 용서를 빌 수 있다는 점을 태엽이를 통해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아직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다시 새로운 기회가 찾아올 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물론 자연이라는 환경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 넓은 자연의 품에선 여러가지 것들이 눈에 보이고 훨씬 더 많은 것들을 익히고 배울 수 있다. 그것을 태엽이의 이야기를 통해 감동적으로 읽을 수 있었다.


*이 후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


#철부지산촌유학기 #창작동화 #현북스 #햇살어린이 #산촌학교 #도시아이 #새로운시작 #초등동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