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바꾸는 인문학, 변명 vs 변신 - 죽음을 말하는 철학과 소설은 어떻게 다른가?
플라톤.프란츠 카프카 지음, 김문성 옮김 / 스타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번도 생각해 보지 않은 조합이다. 소크라테스와 프란츠 카프카라니. 내게 카프카는 익숙하지만 소크라테스는 그렇지 않다. 중,고등학교부터 가장 끔찍하다고 생각했던 분야가 철학이었으니. 그럼에도 철학이 우리 삶에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고 있기에 언젠가 꼭 공부해 보아야겠다는 야심은 가지고 있었다.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을 뿐. 따라서 <변명 vs 변신>이라는 책 표지를 봤을 때, 무조건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있었다.


책 구성이 단순하다. 두 작품에 대한 설명이 담긴 "프롤로그"와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 프란츠 카프카 <변신>이 끝이다. 사실 이 구성을 보고 조금 설명했는데 프롤로그의 내용이 많은 편이 아니고 단 3장 뿐이어서 두 작품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되지 않기 때문이었다. 두 작품 내용에 더해 두 작품 속에서 "죽음"이 어떻게 다른지, 표지 그대로 설명을 좀 해주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싶었다.


물론 이건 나의 공부 부족 탓이다. 소크라테스를 처음 접하기도 해서 소크라테스의 작품을 처음으로 읽었다는 데에는 무척 큰 의미가 있었지만 그 안에서 소크라테스가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를 찾아내는 작업은 쉽지 않았다. 그러니 앞의 설명에 처음 접하는 이들을 위한 친절한 설명이 더해졌으면 어땠을까...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은 소크라테스가 고발당한 후 사형당하기 전 법정에서 변론하는 형태로, 자신이 고발당한 죄목에 대한 부당함을 하나하나 열거한다. 그 변론들을 통해 소크라테스의 지성과 철학 정신이 잘 드러난다. 또한 우리에게 많이 알려져 있듯이 그 이후 내려진 사형 판결에도 목숨을 구걸하는 행위나 법의 부당함을 주장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끝까지 지키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많은 사람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죽음 앞에서도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신념을 위해 당당하고 의연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반면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에서 그레고르 잠자는 가정의 가장으로서 마치 노예처럼 돈을 벌어오는 일상에 지친 후 벌레로 변신하며 깨어난다. 쳇바퀴 돌듯 단지 돈벌이로서의 역할에서 벗어나 벌레가 된 그레고르는 그러나 집안 사람들로부터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 전락해 버리고 그것을 깨닫게 된 그레고르는 죽음을 택한다. 그레고르의 죽음은 사실 본인이 아닌 가족, 사회의 탓이다. 때문에 읽을 때마다 가슴이 아파지는 가장 비극적인 작품이 아닌가 싶다.


전혀 다른 구성의 두 작품을 비교해 봄으로써 "죽음"이 우리 삶에 어떻게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였다. 좋은 기획은 독서를 즐겁게 한다. 다른 주제로 이런 구성의 책을 읽어보고 싶다.


*이 후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


#소크라테스 #프란츠카프카 #죽음 #변명 #변신 #인문학 #철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