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세설 상.하 세트 - 전2권 열린책들 세계문학
다니자키 준이치로 지음, 송태욱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은 쭉쭉~ 읽히는데, 워낙 페이지가 많다 보니 읽는 데 꽤 오래 걸렸다.

읽는 내내 좋기도 하고, 짜증나기도 하고, 재수없(...^^;;)기도 하고 그럼에도 다시, 역시 좋았다.

워낙 풍속 소설을 좋아하기에 이런 류의 이야기를 읽는 내내 즐거워하며 읽었는데,

아무리 좋게 생각하려고 해도 셋째 유키코의 행동은 너무 답답해서 짜증이 나고

읽다 보니 분명 이 시대가 2차 세계대전 전후인데 침략 상황이나 이런 것들을 싸그리 무시하고

이렇게나 평온하게 지내는 이들의 이야기가 정말 ~....ㅎㅎㅎ 대략난감이다.

사실 마무리한 지 열흘 정도 지난 듯 한데 너무 많은 생각이 왔다 간지라 한 번에 정리할 수가 없어

책상 위에 놓고 묵혔다.

대부분은 그렇게 하면 며칠 후 정리되고 서평 쓸 마음이 생기는데

<세설>은.... 많은 감정들이 어디 갔는지 사라져버려서 미루다, 미루다 겨우 읽었음 정도만 적어놓는다.


이야기는 오사카의 몰락한 상류 계층의 네 자매 이야기.

한때 잘 나가던 집안의 딸들(첫째와 둘째, 셋째까지)로 자란 이 자매는 방탕한 아버지의 호사로 몰락한 후 어렵게 데릴사위 형식으로 첫째와 둘째의 남편감을 들이고 삶을 이어간다. 자매이지만 각자 개성이 뚜렷한 이 자매는 때론 각자에게 마음을 졸이며, 때론 그럼에도 끈끈한 우애를 엮어간다.


이야기의 가장 중심축은 셋째 유키코의 혼담인데 처음엔 어쨌든 상류 계층이었다는 형식화에, 후에는 이런저런 이유들로 어느새 유키코는 이 집안의 애물단지처럼 되어버리지만 사실 가장 문제를 일으키는 인물은 자유분방하고 제멋대로 살고 있는 넷째 다에코이다.

이런 이야기축을 중심으로 오사카의 풍습을 곳곳에서 엿볼 수 있다.

봄이 되면 이 가족이 떠나는 꽃놀이 여행이나 반딧불이 잡이, 그저 마당에서 느끼는 가을이나 겨울의 쓸쓸함 등은 이 두꺼운 책을 읽는 데 가장 큰 기쁨을 준 것들이다.

가장 답답해서 짜증까지 나게 했던 유키코라는 인물은 사실 간사이 문화, 여성 문화의 상징처럼 생생하게 그려냈다고 한다. 오사카 여자의 한 전형이라고.

이런 세상에~!


"부끄러움을 잘 타는 사람으로 다른 사람 앞에서는 말도 잘 못 하"지만 "겉보기와는 다른 데가 있어서 꾹 참기만 하는"것은 아니다. "뭐든지 아무 말 없이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하는 사람"이며 "보기와 다르게 외출을 좋아하"고 "내성적인 것 같지만 화려한 것을 좋아하는" 여자, 그리고 전화를 싫어해서 맞선 상대와 제대로 말도 하지 못하는 주제에 다른 사람의 수고에 미안하다든가 감사하다는 말, 위로의 말도 하지 않는다. ...914p


뭐, 사람마다 다른 거니까~


너무 늦게 읽느라 북클럽 참여도 못하고~ ㅋㅋ

결국 나 혼자만의 성취감으로 끝낸 책.


#세설 #다니자키준이치로 #열린책들 #송태욱 #오사카문화 #장편소설 #풍속소설 #김영하북클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