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록 - 최신 언어로 읽기 쉽게 번역한 뉴에디트 완역판, 책 읽어드립니다
혜경궁 홍씨 지음, 신동운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유는 모르겠지만 어렸을 때, 그렇게 역사를 싫어하면서도 내 머릿속에서 절대 잊히지 않는 인물과 책 한 권은 바로 <한중록>이다. 여인들의 삶에 무한한 애정과 공감을 하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말도 안되는 비극의 옆에서 살아남아 그 가슴 속 모든 것을 담은 책 한 권에는 과연 어떤 것들이 담겨있을까 하는 궁금증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언젠가 다른 방송을 통해 <한중록>은 자신의 집안을 위해 쓴 정치서라는 이야기도 들었다. 갑자기 모든 것이 슬퍼졌는데 나도모르게 애정을 주었던 인물의 그릇됨을 알게될지도 모른다는 사실은 언제나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나는 역사가가 아니기에 무엇이 옳은지에 대해 따지기보다는 그저 조금 떨어진 자리에서 각각의 의견을 들어볼 뿐이다. 그 첫걸음이 <한중록>이다.


중,고등학생 쯤 되어 알게 되는 <한중록>의 가치는 비단 사도세자가 겪은 비극에 대한 세세한 이야기의 한 단면을 알게 해준다는 것뿐 아니라 궁중 안에서 쓰인 궁중문학이며 여성이 순 한글로 쓴 한글문학이자 여류문학이라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다. 내용상 겹치는 부분이 계속해서 나오는 것은 아쉬우나 읽는 데 전혀 거침이 없을 정도로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묘사가 뛰어난 것은 충분히 문학으로서의 가치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


원래 <한중록>은 6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고 4편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1편은 정조 재위 19년에 조카의 부탁으로 작성했다고 하는데 본 책에선 각 6권의 순으로 되어있고 제 1권, 세자빈 되어 궁궐에 들어가다 편에 위치한다. 이 1권은 정조 재위 기간에 씌여졌기 때문인지 친정의 훌륭함과 자시이 궁궐에 들어가게 된 과정, 이후 어른들에게 이쁨 받았던 것, 비극 이후의 집안 이야기 등으로 채워지고 비극 자체에 대한 언급은 삼가고 있다. 아마도 정조가 영조에게 모든 기록을 폐하도록 요청할 정도로 더이상의 이야기들은 잊히기를 바랐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이후 2편은 순조 1년에 씌어져 원본에서는 순조가 제대로 그 일을 알지 못하니 제대로 밝히기 위함이라고 하지만 "친정 집안이 홍국영의 모함으로 당한 화의 억울함과 부당함을 소상하게 밝히고 사면을 호소하는 목적에서 작성한 글"(...에필로그 중)이라고 한다. 때문에 2편부터는 사도세자와 영조와의 사이에 어떻게 틈이 벌어지고 비극이 일어났는지 그 와중에 아버지 홍봉한이 얼마나 애를 썼는지와 자신의 위치에서 겪은 애통함을 밝히고 있다.


사실 <한중록>을 읽다 보면 정말 그런 것 같다는 생각이 절로 들 정도이다. 사도세자가 행했다는 행태나 영조의 무심함 등의 묘사를 보면 누구의 잘못이라기보다(물론 제대로 돌보지 못한 부모 탓이지만) 어찌 그렇게 되다 보니 이런 일이 있어났고 어쩔 수 없었다...는 말에 공감하게 된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의 기록과는 너무나 다른 표현들이 많다고 하니 비교하는 작업은 꼭 필요해 보인다.


말로만 듣던 <한중록>을 드디어 읽었다. 사실이건 아니건 사료로서의 가치와 문학으로서의 가치를 두루 갖춘 작품에 고전이지만 하나도 어렵지 않게 심지어 마음 졸여가며 읽을 수 있었던 데에 감사한다.


*이 후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


#한중록 #혜경궁홍씨 #스타북스 #사도세자 #궁중비사 #책읽어드립니다 #요즘책방 #역사 #고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