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공찬이 -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필사본 소설
김주연 그림, 김재석 글, 채수 원작 / 고래가숨쉬는도서관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소설이라고 하면 <홍길동전>만 있는 줄 알던 때가 있었다. 고전 소설들을 하나씩 알고 읽게 되면서 그 시대를 얼마나 잘 표현해내고, 그와 더불어 미래상도 얼마나 잘 표현해내고 있는지 감탄할 때가 많았다. 우리나라 고전 소설은 양반들의 문학이라기보다는 민중들의 염원을 더 담은 것으로 보인다.


<설공찬이>도 그렇다. 조선 전기 문신이었던 채수가 지었다는 <설공찬전>은 한문으로 지어졌지만 그 안에는 당시 연산군 시절의 무오사화를 배경으로 여성들의 능력을 마음껏 펼칠 수 없었던 조선시대를 은근히 비판하고 있다. 그 외에 저승의 이야기와 고장 순창의 민속 등 아주 풍부하고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금오신화>에 이어 두 번째로 씌어진 한문소설인 <설공찬전>은 전해지지 않는다. 1996년 이복규 교수에 의해 한글 필사본이 발견되었는데 이 발견된 것도 완본이 아닌 베껴 쓰는 도중에 미완결된 채였다고. 여기에는 <설공찬전> 중종 때 필화 사건으로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것으로 보아 당시 꽤나 문제작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런 미완성작을 김재석 작가가 원작을 중심으로 충실하게 덧붙여 쓴 것이 이번 <설공찬이>이다. 소설을 읽다 보면 특이점 몇 가지를 찾을 수 있는데 우선 "순창"을 거점으로 한다는 점이다. 설공찬이라는 주인공이 살았던 고장이 순창으로 이야기 대부분이 순창에서 벌어지고 때문에 순창의 문화가 소설 곳곳에 자연스럽게 소개되고 있다.


두 번째는 이야기 속에서 설공찬이 소개하는 "저승"에 대한 이야기이다. 설공찬은 20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목숨을 잃고 저승에 가는데 그곳에서 조상을 만나 삶을 평가받기 전에 곳곳을 여행하고 사촌 공침의 몸에 빙의해 다른 사촌들에게 그 이야기를 전해준다. 그 과정에서 저승 곳간이나 저승의 여러 신들의 이야기 등 우리 전통 문화 속 이야기들을 접할 수 있다. 특히 권선징악의 효과가 아주 뚜렷하다. 이승에서 어떻게 살았는지에 따라 저승에서의 삶이 달라진다는 공찬의 이야기는 분명 교훈이 되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공찬의 누이 초희의 삶을 통해 조선 전기이지만 여성의 삶의 미래상을 찾아볼 수 있다. 공부를 좋아하고 뛰어난 문학성을 지녔던 초희의 안타까운 죽음은 이승에서는 이루지 못했지만 저승에서는 그 능력을 마음껏 펼쳐보임으로서 인정받고 있기 때문이다.


고유어를 사용하려는 작가의 노력도 돋보였다. 손탯그릇(장식함) 등 쉽게 쓰이는 단어 대신 고유어를 선택함으로써 문장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었다.




처음 읽으면서는 얼마 남지 않은 <설공찬이>에 덧붙여진 이야기라고 해서 많은 부분이 다시 쓴 이야기라고 생각했는데 거의 대부분 남겨진 이야기에 최대한 많이 연구하고 충실히 원작을 해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뒷부분 원본과 해설, 순창에 남겨져 있는 많은 사료들까지 더해져 읽는 즐거움이 있었다.


완본으로 남아있는 작품들이 교과서에 실리고 다양한 작품으로 해석되는 것에 비해 <설공찬이>는 원작이 그렇지 못해 아쉬운 마음이 크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에 실린 단 한 줄로도 드라마가 만들어지기도 했으니 앞으로 이 작품도 다양하게 많이 알려지면 좋겠다.


*이 후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히 작성하였습니다. *


#설공찬이 #설공찬전 #고래가숨쉬는도서관 #채수 #김재석 #필사본소설 #두번째한문소설 #조선최초금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