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oy 얼굴을 잃어버린 소년 현북스 청소년소설 6
루이스 새커 지음, 김영선 옮김 / 현북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또래 문화라는 것이 있다. 물론 각 세대마다 그들이 자라온 환경, 시대에 따라 그들만이 지니는 문화가 존재하긴 하지만 청소년기에는 특히 더 그들만 공유하는 문화가 더 짙다. 거기에 끼지 못하면 '참 독립적인 사람이구나'라거나 '특이하네'를 뛰어넘어 왕따가 되거나 무리에서 이탈되어 외로운 시기를 보내게 되기도 한다. 내가 원해서가 아니라 남들에 의해 그렇게 되는 건 너무 힘들다.

<The Boy 얼굴을 잃어버린 소년>은 그런 과정과 그것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아주 잘 묘사하고 있는 작품이다. 루이스 새커는 이미 청소년 소설계에 <구덩이>라는 작품으로 베스트셀러 작가 반열에 올라섰으니 검증 없이 읽어도 재미있고 공감 가득할 거라고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얼굴을 잃어버린 소년>을 읽는 내내 내 청소년 시기와 내 아이의 청소년 시기를 떠올리게 됐으니 청소년들이 직접 이 소설을 읽는다면 공감 백배가 되지 않을까.

데이비드와 스콧은 어릴 때부터 친구였다. 하지만 올해 스콧은 학교에서 잘 나가는 친구들과 어울리기 시작하며 데이비드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그들에게 잘 보이기 위해 데이비드를 비하하거나 이용하기 시작했다. 데이비드는 그런 스콧과의 관계를 위해, 또 자신도 그런 잘 나가는 친구들 속에 끼기 위해 위험한 도전에 함께 하게 된다.

아이들 사이에 "마녀"로 소문 난 베이필드 할머니의 지팡이를 훔치러 함께 한 그들은, 할머니 앞에서 착한 척을 하다가 할머니를 쓰러뜨리고 얼굴에 레모네이드를 부은 뒤, 지팡이를 훔쳐 달아난다. 이 상황 속에서 그저 지켜만 보던 데이비드는 어쩌지 못하는 사이에 할머니와 눈이 마주치게 되고, 그 순간 아주 짧은 죄책감을 뒤로 한 채 가운뎃손가락을 들어올려 버린다. 그때 할머니 입에서 쏟아진 저주의 말.

그 후 데이비드에겐 알 수 없는 일들이 일어나고 그 일들은 모두 할머니에게 했던 일들의 반복이었다. 처음엔 믿지 않았던 데이비드도 자신이 정말로 저주를 받았다고 생각하게 된다. 데이비드는 저주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데이비드는 베이필드 할머니에게 가운뎃손가락을 올린 이유가 로저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로저가 어떻게 생각하는지 내가 왜 신경을 써야 하지?"...19p

"데이비드는 거짓말을 하면 할수록 더 거짓말에 빠져들었다. 하지만 동시에 마음속으로 죄책감을 느꼈다. 죄책감은 처음에는 작았지만, 거짓말을 할수록 피노키오의 코처럼 점점 더 커지는 게 느껴졌다. "...158p

일본어 표현 중에 자신을 지키지 못하면, 얼굴을 잃었다는 표현이 있다고 한다. 이 작품에선 이 관용어를 사용해 데이비드에게 일어난 사건과 감정을 묘사한다. 일련의 사건들 속에서 데이비드는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사실은 알고 있다. 하지만 좀더 쉬운 길을 택한다. 하지만 상황은 점점 더 꼬여가고 자신의 친구들을 위해, 동생을 위해 무엇이 옳은지 그 옳은 것을 하기로 결심하는 것이다.

책의 뒷부분 쯤에서 손원평 <아몬드>의 윤재와 같은 반 친구들이 생각난다. 아무렇지도 않게 남을 비방하고 비웃으며 전혀 죄책감도 느끼지 못하는 아이들.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윤재보다 더욱 비인간적으로 보이던 그 아이들이 이 소설 속에서도 존재한다. 어떤 행동을 해서라도 조금 도드라져보이는 것이, 힙하고 멋있는 걸까?

옳은 가치관을 가진 아이들은 그런 파도에 휩쓸리지 않는다. 이름 없는 아이로 남기보다 나답게 자신을 찾는 데이비드의 이야기가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이 후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히 작성하였습니다. *

#더보이 #얼굴을잃어버린소년 #루이스새커 #청소년소설 #현북스 #또래문화 #바른가치관 #옳은행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