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연대기 샘터 외국소설선 5
레이 브래드버리 지음, 김영선 옮김 / 샘터사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며칠을 이 책을 들고 다니자 아이가 궁금한 듯 물었다. "엄마, 무슨 책이야?" 아이는 글을 읽으니 제목을 묻는 게 아닐 텐데도 나는 "으응~ <화성 침공>" 하고 짧게 대답한다. 제목을 읽을 줄 아는 데 제목을 대답해 주다니, 제목이라니.... 제목? 다시 표지를 바라보고 다소 충격을 받았다. 제목이 <화성 연대기>이다. 그러니까 난 이 책을 읽는 와중에 내 맘대로 책 제목을 바꾸어버린 것이다. 아마도 내용이 큰 영향을 끼친 것이겠지. 

 

내가 어렸을 때 푹 빠져서 읽었던 SF 동화책이나 이후 성인이 된 후 읽었던 디스토피아형 SF 소설, SF 영화 등에서 지구인은 언제나 착한 역할이다. 우리는 가만히 있는데 우주에서, 외계에서 다른 이들이 쳐들어 온다. 좋게 끝나야 그들과 화해한 후 잘 보내는 정도. 미지의 세계에 대한 우리의 두려움은 그만큼 큰 것 같다. 그래서 <화성 연대기>는 충격적이다. 우리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책은 1999년 1월부터 2026년 10월까지 인간이 화성을 정복하는 과정이 시간순으로 전개되는 연대기이다. 그렇지만 원래 장편소설로 집필된 것은 아니라, 1940년대 후반에 여러 잡지에 발표된 화성 관련 단편들을 연대기 형식으로 묶은 것이다. 이른바 '픽스업' 장편이다. 따라서 에피소드 하나하나가 완결성을 갖는 훌륭한 단편소설이다. 따라서 반드시 앞에서부터 시간 순서에 따라 읽지 않아도 큰 무리는 없다. 사실 이 책의 마지막 장인 <백만 년짜리 소풍>은 맨 먼저 발표된 단편이다."...403p(옮긴이의 말 중)

 

옮긴이에 따르면 이 작품은 정확하게는 SF보다는 환상소설에 가깝다고 한다. 미래에 대한 로봇이니 로켓이니 하는 과학이 소설의 장치로만 작용할 뿐이기 때문이다. 대신 이 소설에는 공포와 스릴, 사회적 문제, 인간성 등이 존재한다. 

 

이런 분류는 아무 필요없다. 읽기 시작하면 완전 빠져들기 시작하고 처음엔 지구인의 편에 서서, 나중엔 화성인의 편에 서서 오싹함과 슬픔, 애잔함, 서글픔 같은 것이 느껴지기 시작한다. 특히 지구인이 1차에서 4차까지 로켓을 보내 화성인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각 사건은 별개처럼 보이고 화성인들의 대처는 전혀 보이지 않지만 다음 탐험대가 도착했을 때의 결과를 통해 유추하면서 더욱 공포심이 확대된다. 거기에 4차 탐험대의 스펜더 요원의 행동과 발언이 전환전이 된다. 이제 화성은 어떤 길을 걸을 것인가. 

 

"저는 혼자서 지구에 있는 삐뚤어지고 폭압적이고 탐욕스러운 조직에 맞서 싸우고 있습니다. 그자들은 더러운 원자폭탄을 이곳으로 가져오고, 전쟁에 필요한 기지를 만들기 위해 싸움도 불사할 겁니다. 행성 하나를 파괴한 것만으로는 부족해 다른 행성을 또 그렇게 만들고 싶은가 봅니다. "...153p

 

그리고 그런 지구로부터 적극적으로 반댈 의견을 가진 사람들의 다른 노선을 선택한 사람들의 이야기들. 

 

"과학은 너무도 빨리 우리를 앞질러 너무 멀리 뛰어가버렸어. 그래서 사람들은 기계들의 황야에서 길을 잃어버렸지. 마치 예쁜 것, 희한한 장난감, 헬리콥터, 로켓 같은 것에 푹 빠져 있는 어린아이들처럼 말이야. 그래서 기계를 어떻게 사용할지 하는 문제는 뒷전이고 기계 자체만 중요시하게 되었단다. 전쟁은 규모가 점점 더 커져서 결국 지구를 죽여버리고 말았지."...396p

 

1950년의 작품으로 생각되지 않을 만큼 세련되고 뛰어난 작품이다. 그 어떤 작품보다 인간적이고 아름답고 슬픈, 감동적인 작품이었다. 

 

p.s 아... 이제 보니, 작가가 <화씨 451>의 레이 브래드버리이다. 작가 따라 읽기를 좀 해볼까나~

 

 

#화성연대기 #레이브래드버리 #샘터 #SF소설 #완전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