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파울로 코엘료 지음, 이상해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파울로 코엘료 영혼 3부작의 두 번째 책,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를 읽었다. 먼저 읽었던 <피에트라 강가에서 나는 울었네>보다는 읽기가 훨씬 수월했다. 읽다 보니 두 작품의 주제는 결국 같다는 것을 깨달았는데 어찌 보면 파울로 코엘료라는 작가가 쓰는 모든 작품의 주제도 일맥상통하지 않나... 싶다. 


수녀원이 운영하는 집에 세들어 사는 베로니카는 아주 규칙적인 생활을 한다. 도서관 사서로서 일에 충실하고 남자친구와 연애를 하고 친구들과 즐기기는 하지만 일정 시간이 되면 문이 잠기는 집으로 돌아온다(그녀가 이 집을 선택한 이유이다). 어떤 일에도 깊이 빠지지 않는 것, 그것이 그녀가 내세운 삶의 가치관이었다. 그러던 그녀가 어느 날, 죽기로 결심한다. 남자 친구들에게 부탁해 얻은 수면제 4통을 하나씩 넘기며 자신의 죽음을 차분히 기다린다. 


이 책에선 그녀가 왜 죽기를 결심했는지보다는 죽기로 결심했지만 살아났고 심장이 망가진 덕분에 기껏해야 2주 분의 삶을 더 살게 된 그 후의 이야기가 더 중요하다. 25살의 그녀가 더이상 삶을 살아봤자 지금까지와 똑같을 거라고, 그러니 더 살아봐야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던 앞의 삶과 죽고 싶었지만 살아났고 하지만 다시 2주 후면 죽는 운명을 알게 됐을 때의 나중 삶은 극명하게 갈린다. 게다가 그녀가 있는 병원은 슬로베니아에서 가장 유명한, 빌레트라는 정신병원이다. 그녀가 어떤 행동을 하든지 미친 사람이니 저런다고 용인되고 용납되는 장소라는 말이다. 


"그녀는 결코 냉정을 잃고 허둥댄 적이 없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침착하고 차가운 표정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걸 그녀는 일찌감치 터득한 터였다. 그런데 그 미친 사람들이 부끄러움, 두려움, 분노, 살의를 일깨웠다."...66p


내가 앞의 <피에트라 강가에서 나는 울었네>를 읽을 때보다 이 책이 더 잘 이해가 되었던 이유는 바로 더 높은 공감도 때문일 것이다. 난 우리집 장녀로 태어났고 나름 사랑을 듬뿍 받으며 자랐다. 타고난 성격 탓도 있겠지만 부모님의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특히 어른들)의 요구는 당연히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하며 자랐다. 내가 변하기 시작한 건 대학에 나가 이래봤자 나만 손해라는 생각을 하게 됨과 나와 정반대인 남편을 만나 용기백배해졌고 아이를 낳고 "아줌마"라는 타이틀을 달았기 때문이다. 이젠 억울하거나 화가 나도 그냥 받아들이고 수긍하지 않는다. 


베로니카도 변한다. 처음 다시 살아났다는 사실을 알았을 땐 얼른 다시 죽고 싶었다. 하지만 주변 미친이들의 거침없는 행동에, 남은 2주 간의 생밖에 남지 않았다는 사실에 베로니카는 변화하기 시작하고 이런 변화는 주변 다른 이들에게 영향을 끼친다. 


결국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또한 <피에트라 강가에서 나는 울었네>처럼 자신을 찾아가는 이야기이다. 좀더 분명하게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아내고 그것을 남 눈치 보지 않고 원하는 만큼 살아내라는 이야기. 파울로 코엘료 본인이 직접 책 속에 등장하기도 하고 뒤쪽 반전도 그렇고 훨씬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