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여 읽는다는 것 - 각자의 시선으로 같은 책을 읽습니다
안수현 외 지음 / SISO / 2020년 7월
평점 :
절판


처음 제목만 보고는 독서 모임을 하는 몇 명이 함께 책을 읽고 이야기 나눈 즐거운 이야기가 담긴 책일 거라고 생각했다. 평소 독서 모임을 하고 싶었으나 아직은 용기가 나지 않아 그저 남들 이야기만 읽고 있는 나로선 가볍게 간접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다.


<모여 읽는다는 것>은 책을 통해 치유받고 좀더 나아가고 싶었던 한 사람이 만든 독서 모임과 그곳에서 책을 함께 읽고 자신을 성장시켜 나간 이들의 각자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그러니 어쩌면 내가 생각했던 것과 많이 다르지는 않다. 하지만 훨씬 치열하고 깊고 충격적이다. 우선 한 사람이 겪은 에세이 형식이 아닌 같은 경험을 어떻게 다르게 느꼈는지를 한 사람 한 사람이 고백하고 있기 때문에 소제목 "각자의 시선으로 같은 책을 읽습니다"처럼 같은 경험을 통해 각자 느끼고 성장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러니 이 책을 읽는 독자로선 하나의 독서 모임이 각자의 삶에 어떤 영향을 다르게 끼치고 각자 어떤 발전을 이루었는지 다각도로 느낄 수 있다.


맨 처음은 이 그룹의 리더인 안수현님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왜 독서 모임을 만들 결심을 했고 어떤 과정을 거쳐 독서 모임을 만들게 되었는지, 한 번의 실패를 거친 후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강력한 리더십과 탁월한 배려심으로 어떻게 이 모임을 이끌었는지의 경험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독서 모임에 평소 관심이 있었다면 이 앞부분 글을 통해 어떤 리더가 필요한지를 아주 잘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그런가 하면 이 독서 모임의 목표가 "나를 깨우는 독서 모임"이니 그만큼 자신을 깨울 수 있는 책을 선정하고 리더의 질문을 통해 치열하게 읽고 끈임없이 자신에 대해 성찰하며 정말로 자신을 깨우는 경험을 한 각자의 이야기가 회원들의 이야기를 통해 전해진다.


나는 15년 전에 <연금술사>를 읽었고 10년 전쯤 <시크릿>과 <호오포노포노의 비밀>을 읽었으며 <데미안>은 10번도 넘게 읽었다. 6번을 넘게 읽고나서야 이해가 되기 시작하고 좋아지기 시작한 <데미안>을 제외하곤 나머지 책들은 가끔 생각은 나지만 크게 감흥을 받은 책은 아니다. 그런데 이들은 이 책들을 통해 자신을 변화시키고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고 한다.


독서는 글만 읽는 것이 아니다. 읽고 나선 내 느낌을 표현할 줄 알아야 하고 가장 마지막은 독서를 통해 얻은 것을 실천할 줄 알아야 한다. 그런데 나는 항상 두번째에서 멈췄다. 그리고 또다시 다른 책을 손에 든다. 진정한 독서였냐고 묻는다면 아니라고 대답할 수밖에 없다. 책을 읽는 내내 좋은 사람들을 만나고 좋은 기회를 만나 자신을 변화시킨 이들이 무척 부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