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좀 빌립시다! - 역사상 가장 흥미롭고 기괴하며 파란만장한 시체 이야기
칼린 베차 지음, 박은영 옮김 / 윌컴퍼니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어릴 적 여름이면 방송되던 "전설의 고향" 속 몇몇 장면들은 지금까지 눈에 선하다. 파묻힌지 얼마 되지 않은 묘에서 벌떡 일어나는 시체라든가, "내 다리 내 놔~~"라며 뒤쫓아오는 장면 같은 것들... 난 그다지 피라든가 하는 것들이 무섭지는 않지만 유독 귀신을 무서워하는 아이였다. 아마도 그래서 그런 시체의 모습들은 아주 강하게 뇌리에 남아있나 보다. 좀 커서는 프랑켄슈타인을 읽으며 시체를 무척 궁금해했던 것 같다. 워낙 유명한 영화라 당연히 로봇 종류인 줄 알았는데 원작을 읽다 보니 시체들의 짜깁기 생명이라는 사실이 무척 놀라웠다. 특히 그 책의 작가인 셸리의 남편과 그의 전부인에 관련된 이야기를 읽으면 그당시 사회에 사람들이 시체, 혹은 죽은 사람을 되살리는 데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는지 대강 상상할 수 있다.


<뇌 좀 빌립시다!>라는 책을 읽게 된 건 그런 여러 호기심에서부터 비롯된다. 이젠 무섭다기보다는 무척 궁금한 사람으로서 삶의 마지막 여정인 죽음 이후에 남은 시체에 대한 이야기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하고 말이다. 처음 책을 읽기 시작하고나선 우리 큰 아이를 키울 때 한창 유행했던 "앗 시리즈"가 생각났다. 그만큼 쉽고 재미있고 흥미진진하다. 오히려 아이들 책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책은 인물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각 인물들의 시체에 얽힌 이야기로 시작하여 그 인물이 살아있을 때의 임팩트 있는 이야기, 그 시체의 중심 이야기와 관련된 이야기로 이어진다. 예를 들면 루이 14세의 사후 심장만 따로 돌아다니게 된 사연, 그 심장의 최후, 심장 이외 시체의 행방, 식인 성향의 사람들 이야기... 식으로. 그래서 마치 하나의 이야기를 읽었지만 여러 이야기를 돌고 돈 듯한 느낌이다. 


이렇게 많은 이들의 시체 일부분이 몸과 함께 안식을 얻지 못하고 떠돌아 다닌 사실이 놀랍다. 하지만 잘 생각해 보면 워낙 유명한 이들이기에 그들의 일부분이라고 갖고 싶었던, 혹은 그들을 위해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했던 사람들의 행동을 생각하면 일순 이해도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교 이념이 강한 우리나라 사람으로서 매우 안타깝게 생각되기도 한다. 시체를 무서운 것으로 보기보단 인생의 마지막 남겨지는 것이므로 그것조차 잘 마무리해야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무엇보다 잡다한 여러 이야기들을 통해 한층 더 상식을 쌓게 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