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학살' 에 대한 우리들의 기억
학살 1 / 김남주
오월 어느 날이었다
일천구백팔십년 5월 어느 날이었다
광주 일천구백팔십년 오월 어느 날 밤이었다
밤 12시 나는 보았다
경찰이 전투경찰로 교체되는 것을
밤 12시 나는 보았다
전투경찰이 군인들로 교체되는 것을
밤 12시 나는 보았다
미국 민간인들이 도시를 빠져나가는 것을
밤 12시 나는 보았다
도시로 들어오는 모든 차량들이 차단되는 것을
아 얼마나 음산한 밤 12시였던가
아 얼마나 계획적인 밤 12시였던가
오월 어느 날이었다
일천구백팔십년 오월 어느 날이었다
광주 일천구백팔십년 오월 어느 날 밤이었다
밤 12시 나는 보았다
총검으로 무장한 일단의 군인들을
밤 12시 나는 보았다
야만족의 침략과도 같은 일단의 군인들을
밤 12시 나는 보았다.
야만족의 약탈과도 같은 일단의 군인들을
밤 12시 나는 보았다
악마의 화신과도 같은 일단의 군인들을
아 얼마나 무서운 밤 12시였던가
아 얼마나 노골적인 밤 12시였던가
오월 어느 날이었다
일천구백팔십년 오월 어느 날이었다
광주 일천구백팔십년 오월 어느 날 밤이었다
밤 12시
도시는 벌집처럼 쑤셔 놓은 붉은 심장이었다
밤 12시
거리는 용암처럼 흐르는 피의 강이었다
밤 12시
바람은 살해된 처녀의 피묻은 머리카락을 날리고
밤 12시
밤은 총알처럼 튀어나온 아이들의 눈동자를 파먹고
밤 12시
학살자들은 끊임없이 어디론가 시체의 산을 옮기고 있었다
아 얼마나 끔찍한 밤 12시였던가
아 얼마나 조직적인 밤 12시였던가
오월 어느 날이었다
일천구백팔십년 오월 어느 날이었다
광주 일천구백팔십년 오월 어느 날 밤이었다
밤 12시
하늘은 핏빛의 붉은 천이었다
밤 12시
거리는 한집 건너 울지 않는 집이 없었다
밤 12시
무등산은 그 옷자락을 말아 올려 얼굴을 가려 버렸고
밤 12시
영산강은 그 호흡을 멈추고 숨을 거둬 버렸다
아 게르니카의 학살도 이렇게는 이렇게는 처참하지 않았으리
아 악마의 음모도 이렇게는 이렇게는 치밀하지 못했으리
-시집 [나의 칼 나의 피], 김남주, 실천문학사.
하마터면 결코 기억할 수도 없었을 그 시대의 일들이 이렇게 우리곁에 살아 있다.
1980년 5월, 잊을래야 잊을 수 없는 '학살'의 기억은 풍문속으로 흩어졌다.
그리고 몇 년 뒤 이같은 노래의 한 자락으로 슬금슬금 다가와 우리를 내동댕이 쳤다.
격동의 80년대는 그렇게 시작되었고 사람들은 잊지 않으려 그날의 '비디오'를, 글들을,
찾아 읽으며, 나누고 또 나누며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사람사는 길로 나아갔다.
|
|
저자
|
전남사회운동협의회 편 지음
|
출판사
|
풀빛 펴냄 | 2006.12.10 발간
|
카테고리
|
정치/사회
|
책소개
|
|
|
그리고 새날은 오는 듯 하였다.
20세기의 끝자락, 민주주의는, 온전한 정치적 자유는
사람들의 움켜잡은 손에 거의 다 들어온 것처럼 보였다.
Ⅱ. '학살', "홀로코스트"
어느날 영화를 보러갔다.
2차 세계대전중 일어난 독일의 유대인 대량학살."홀로코스트"를 다룬 영화,
학살의 내용보다 독일인이 유대인을 구해낸 실화라는 사실에 솔깃하여
만나러 갔던 영화 [쉰들러 리스트]는 적어도 나를 실망시키지 않았다.
우리가 사람으로 이 시대를 살아간다는 것이 어떠한 것인지,
사람이란 존재가 도대체 무엇이기에
그토록 많은 사람들을 죽이고야마는건지..아무도 대답해주지 않았다.
그리고 나 역시 묻지도 않았다. 그렇게 '학살'은 기억속에서 재생되고 있었다.
영화를 보며 흥분하기도 하고 울기도 하였으리라.
하지만 80년 5월, 이 땅의 학살도 쉬 잊혀지는데
더 오랜 남의나라 이야기가 어찌 기억속에 여태 남아 있으랴...
학살은 학살 그 자체로 남아있는 사람들의 감상까지 죽여버린다는 것을 깨닫는다.
Ⅲ. 그리고 이 '학살'을 보라, [바시르와 왈츠를]
학살은 쉬 잊혀지지 않는다고 사람들은 쉬 말해왔다.
그런데 이건 또 무엇인가?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아 자신들의 나라를 건설한 유대인들이
이제는 학살자가 되어 사람들을 죽여대고 있다.
그리고 그 진실은 철저히 왜곡되고 은폐되고 있다.
자신들이 그만큼 역사속의 희생자임을 강조하던 이들이 보여주는 만행을 보라.
글이 아닌 그림으로, 사진으로 생생히 전해지는 학살의 기억들.
|
|
저자
|
아리 폴먼 지음 | 김한청 옮김
|
출판사
|
다른 펴냄 | 2009.02.10 발간
|
카테고리
|
만화
|
책소개
|
망각의 기억속에서 찾은 진실 『다른만화시리즈』02《바시르와 왈츠를》. 이 책은 2009년 골든 글로브...
|
|
지은이는 우리에게 이야기한다.
한번 잊어보라고, 꽁꽁 숨겨두고 묻어두어 기억 속에서 완전히 제거해버리라고....
과학이 더 발전되어 정말 기억을 선택적으로 고를 수 있다면
그들은 이 학살에 대한 모든 기억을 깡그리 지워버리리라.
하지만 아직까지 신은 우리에게 자비를 베푸신다.
문득문득 솟아나 어떤 계기로 하여금 잊어버리고 묻어버렸던 그 기억들을 찾아내도록 만든다.
그리고 남는 것은 정말로 잊고 싶었던 아픈 학살의 진실들이다.
레바논 민병대의 학살을 방조하고 실질적으로 도운 이스라엘 병사들의 기억은
이 책에서처럼 결코 지워지지 앉는다. 다만 가라앉아 있을 뿐이다.
바람이 불고 피냄새가 번지면 이윽고 기억속 장면들이 처참히 살아나
살아남은자들의 상처를 후벼판다.
우리는 이 책을 덮으려 하지만 덮을 수 없다.
마지막 장면의 절규하는 난민의 모습과 총상에 피흘리며 쓰러져 있는 젊은이들의 사진이
마치 그날 오월의 우리네 모습과 너무도 흡사하기 때문이다.
하여 이제는 그만 잊고 살아도 될 것 같았던
'학살'의 기억들이 오롯이 살아나 밤을 지새우게 한다.
우리는 우리네 형제끼리...
저들은 저네들끼리....
게다가 주인공인 이스라엘인들은 "홀로코스트"의 피해자에서
드디어 가해자로! 변한 것이다.
정녕 '학살'의 피해자가 '학살'자가 되는 일이 생기고 만것일까?
그들은 자신들의 아픔을 몽땅 잊었단 말인가?
이 책은 제발 그러하지 말자고 조심스레 반성의 기색을 내보이는
이스라엘 자신의 목소리일까?
에니메이션이 원작인 이 다큐멘터리만으로는 조금은 기대를 걸어도 좋으리라.
하지만 최근 '뉴스 속 세계'에는
다시 자행된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침공 이야기가 이어진다.
역사는 반복되는 것도 아니고 악화되는 것인가?
책 한 편이 던져주는 '학살'의 아픔과 충격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이야기리라.
끊이지 않는 국지전 속에 분단조국의 현실도 녹록치않게 악화되어가고 있다.
정녕 우리는, 사람들은 어디쯤에 서서, 세상과 소통할 수 있을지....
묻고 또 묻는 시간들이다.
'학살'은 결코 잊혀지지도, 끝나지도 않는다. 이런....젠 장.
2009. 2. 12. 불어닿는 저 바람처럼 흔들리는 깊은 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