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1반 34번 - 종잡을 수 없는 사춘기 아이들의 마음을 잡아주는 이야기
언줘 지음, 김하나 옮김 / 명진출판사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책을 읽기 전부터, 아니 보기 전부터 대만작가의 작품이라는 것과 더불어 미술 편집상 등을 수상했다는 이력에 호기심이 가득했다. 게다가 곧 닥치게 될 딸아이의 사춘기에 대한 사전공부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또한 적지 않았다.

<미리보기>를 통해 이미 단순한 책이 아니라는 정보를 갖게 되었지만 막상 직접 책을 보고는 나의 예상이 보기 좋게 빗나갔음을 알게 되었다. <미리보기>를 통해 고운 그림에 그림책이 아닐까..생각했는데 두툼한 책의 두께의 책이 나를 놀라게 하였다.
그리고, 그림이 먼저인지 글이 먼저인지 쉽게 단정할 수 없는 편집이 '재미'를 먼저 불러일으켰다. 

'사회'라는 틀속에 너나 할 것 없이 사회인으로 길러지고 또 적응하며 살아가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싫으나좋으나 사회인으로 살아가야하는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내용에 적지 않은 충격이 밀려온다.

'1학년 1반 34번'의 모습에는 이제는 사회인으로 안착하여 살고 있는 과거 나의 어린시절과 사춘기도 들어있고, 이제 막 사회인으로 길러지는 수업을 받고 있는 딸아이의 현재 모습도 들어있었다.

 나는 이미 모든 것을 체념하고 자신 스스로의 책임으로 돌리며 현실을 받아들이는 34번의 시기를 지나왔다는 안도감보다는 그 무렵의 기억에 가슴 한 구석이 뻐근해옴을 느끼며, 34번의 막막한 마음이 전해오는 것 같아 이유없는 눈물이 떨어졌다.

한편으로, 마음껏 자유로운 생각조차도 허락되지 않는 '34번'으로 살아가야함을 느끼게 될 아직 어린 딸아이의 멀지 않은 현실에 걱정과 안타까움이 밀려왔다.

언젠가 한 사회학자의 연구에 의하면 사회의 제약(특히,성에 대한 부분이었던가?)이 전혀없는 미개한(?) 종족에게는 신기하게도 '사춘기'라는 것이 없다고 한다. 다만, 성인이 되는 연령을 정해 그전까지의 행동이며 기타의 것에 제약을 하고 있는 문명사회에서 특이하게도 '사춘기'를 겪는다고 한다.

이 책 역시 마음껏 자유로운 생활을 박탈당하고 어느 날부터'34번'으로 살아가게 되면서 선생님, 부모 등 어른들의 알지 못할 제약과 강요는 미처 준비가 안 된 주인공을 혼란속으로 빠뜨리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임을 시사하는 것 같다.

 '사춘기'는 과연 온전히 아이들이 감당해야 할 몫일까? 이미 사춘기를 거치고 살아낸 선경험자로서 내 딸아이에게 지혜롭고 현명하게 '사춘기'를 보낼 수 있게 도와줄 방법이 무엇일까...고민해본다. 
이 책과 더불어 많은 이야기를 해보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