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은 반역인가 - 우리 번역 문화에 대한 체험적 보고서
박상익 지음 / 푸른역사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번역은 반역인가 제목부터가 도전적이었다. 외국 문학작품을 많이 읽는데, 읽으면서도 원작자가 이렇게 쓴게 맞을까?? 제대로 된 번역 맞을까? 이런 생각을 하면서 읽은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또한 읽으면서 아~ 도데체 무슨말이야..번역한 말이 한글보다 더 어렵네--이렇게 불평하면서 읽은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우선 이책에서 우리말의 번역의 어려움에 대해서 듣고는 그렇겠구나 하고 생가했다. 또 영어나 유럽어와는 어순이 틀린 우리나라 말의 번역에 대한 어려움이 있겠구나..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제대로 된 영어사전의 부재에 대해서 깊이 절감하면서 느꼈다. 영어 사전 읽으면서 도데체 우리 말이 더 어렵네 한 적이 있었다. 일본 사전을 그대로 베껴온 그 게으름의 작태!! 우리나라 영문학계나 기타 어문학자나 원로교수들에 대한 반성이 있어야겠다.

정부 차원에서 제대로 된 번역 지원작업이 필요하겠다고 느꼈다. 또한 이윤기 번역가의 오역이 많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참 좋아한 번역가였는데..

인문학이 위기라고 한다. 독일어나 서반어 등 영어를 제외한 다른 언어는 전부 사장될 위기고, 특히나 영어도 제대로 잘하는 사람은 드물다. 사학이나 철학 등 총체적 인문학의 위기에 우리 사회 모두 깊은 반성과 문제점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있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시쓰는 택리지 2 - 전라 경상편
신정일 지음 / 휴머니스트 / 2004년 2월
평점 :
절판


우리 땅은 정말 사랑스러운 땅이다...요즘들어 비행기 등의 교통의 발달과 우리나라의 경제력 상승으로 해외로 여행을 가는 사람들이 많은데, 나는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경치나 문화유적을 먼저 속속들이 상세하게 본 다음에 해외로 나가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한다. 우리땅은 우선 미국의 서부같이 척박한 땅이나 아프리카나 가까이는 중국같이 끝업는 모래만이 있는 사막같은 척박한 땅이 없다. 낮은산과 평지가 전부다. 우리 땅은 오래된 침식과 풍화로 그리고 농경민족인 우리 선조들의 노력으로 정말 살기 좋은 땅이 되었다. 또한 기후가 온대기후에 사계절이 뚜렷해서 정말 살기에 안성마춤인 곳이 우리나라이다. 이러한 기후조건과 땅을 모두 가지고 있는 나라는 그리 많지 않다. 가까운 일본의 화산활동이나 지진도 우리나라엔 거의 없다.

문화사학자인 저자는 나와 똑같은 아니 아마츄어인 나보다 더 뛰어난 감각과 지식으로 우리나라를 한곳한곳 어루만졌다. 또한 세월이 지나면 엾어질지도 모르는 풍광을 사진에 담아두기도 했다. 이책은 택리지를 다시 재구성한 것이지만 과거 이중환 선생의 택리지와는 좀 다른 우리나라 문화와 인심, 인문배경지식 등을 소개하고 있다. 물론 4,5권에서는 복거론 등 풍수지리적인 살기에 적합한 곳 소개도 한다고 한다. 나는 이책을 우리땅에 우리문화에 대한 일종의 일기나 역사기록으로 해두고 싶다. 지금 2000년대 초반의 지리,문화,환경적 조건은 지금 남기지 않으면 미래의 것과는 과거의 있던 것과는 분명 다르다.

다시쓰는 택리지 2권은 내가 살고 있는 경상도와 풍광이 뛰어나고 인심이 풍부한 전라도를 아우르고 있다. 동,서 화합이 무엇보다 시급한 우리나라에서 적절한 편집이다. 소백산맥에 의해 갈라져있고, 경상도는 산지가 많은데 비해 전라도는 평지가 많고, 언어, 음식, 지리조건, 자연환경, 문화환경이 모두 틀린 경상도와 전라도지만 우리나라이고 무엇보다 뛰어난 넉넉한 인심과 볼거리를 제공하는 곳이기도 하다. 

 이런 류의 책은 많다. 먼저 유홍준 선생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한비야의 바람의 딸, 우리땅에 서다 등...유홍준 선생님의 책은 우리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우리 국토를 기행해서 쓴 책이고, 한비야 씨는 좀 가벼운 우리 국토에 대한 사랑에서 비롯된 여행 기록문 정도라고 할 수 있는데, 이책은 땅-우리가 살고 있는 국토에 대해서 좀더 깊은 애정과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상 푸짐하게 차린 전라도의 한정식과, 전주비빔밥이 먹고싶다~!!

우리 국토에 대한 좀더 많은 경험과 관심이 필요한 시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을 빌려드립니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송병선 옮김 / 하늘연못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가르시아 마르케스라는 작가를 좋아한다. 우선 그의 소설은 재미가 있다. 흔히 노벨상 작가들의 글은 지루하고 따분하기 그지없는 작품들도 많은데, 그의 책은 콜레라시대의 사랑, 내슬픈 창녀들의 추억, 백년동안의 고독 등 정말 지루하지가 않았다.

이책은 그런 장편소설도 지겹지 않은 작가가 쓴 맛깔스러운 단편소설이다.

남미작가 중에 내가 가장 좋아하고 아끼는 가르시아 마르케스 나는 그의 책을 사랑한다.

여기엔 단편말고도 산문도 몇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학의 - 시대를 아파한 조선 선비의 청국 기행 서해문집 오래된책방 1
박제가 지음, 박정주 옮김 / 서해문집 / 2003년 3월
평점 :
품절


서자 출신의 조선 후기 명문장가이면서 실학파중의 한사람인 박제가 그가 청나라를 다녀와서 우리나라에서 받아들여야 할 것 들을 쓴글이다.

완역본인지는 모르겠는데, 서해문집의 오래된 책방 시리즈 참 좋다...난 우리의 옛글이 참 좋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아있는 우리 헌법 이야기
한상범 지음 / 삼인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법학과 학생이라면 읽어 볼만하다. 의문사 진상위 위원장이면서 헌법교수로 오래 재직해온 한상범 교수님의 저작이니까...볼것도 없이 일독을 권한다.

법학도가 가장 생각하고 지키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 바로 人權- 사람의 기본권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