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은 프랑켄슈타인 1831년판 저자 서문이 출처.

Inside cover art from the 1831 edition of Frankenstein By Theodor von Holst - Public Domain, 위키미디어 커먼즈






그해 여름은 유난히 축축하고 우울했다. 비가 줄기차게 내리는 탓에 며칠씩 집 안에 틀어박히기 일쑤였다. 마침 프랑스어로 번역된 독일 공포소설 몇 편이 우리 손에 들어왔다. 그중 《지조 없는 연인의 이야기》는 주인공 남자가 신부에게 서약을 한 뒤 그녀를 껴안고 보니 자기가 예전에 버린 여인의 창백한 혼령이더라는 이야기였다.

《돈키호테》의 하인 산초가 말했듯 모든 일에는 시작이 있고 그 시작은 지나간 무언가와 연결돼 있다. 힌두교의 우주론에서는 코끼리가 세상을 떠받치지만 코끼리를 떠받치는 것은 거북이다. 우리는 창작이 무(無)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혼돈에서 나오는 것임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창작을 위해서는 먼저 소재가 주어져야 한다. 창작은 어두운 무형의 물질에 형태를 부여하는 것이지 물질 자체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메리와 퍼시
    from 에그몬트 서곡 2023-08-29 21:16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고드윈과 퍼시 셸리 1814 (퍼블릭도메인,위키미디어커먼즈) * 두 사람은 1816년에 결혼한다.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1831년판 서문으로 돌아왔다. 휴머니스트출판사(박아람 옮김)본이 아래 발췌문의 출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