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06. 23. 목
-마음에 없는 섹스를 하는 이유
: 불안형 인간은 섹스를 통해 정서적인 위안과 안정감, 사랑받고 있다는 느낌을 얻고 싶어 해 섹스보다 포옹이나 애무를 원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해, 회피형 인간은 정서적인 것을 배제한 섹스를 오히려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섹스는 자신감을 높이고 자존감을 충족하기 위한 도구이다. 또한 섹스나 이성의 육체 자체에 대한 관심, 성적 욕구의 만족이 섹스의 목적인 것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습관이나 의무처럼 섹스를 요구하다.
: 회피형 인간은 자신의 성적 환상을 만족시키기 위한 도구로써 파트너의 육체를 이용하려는 성향도 있다. 회피형 인간은 감정 처리를 잘 못한다. 상대방의 기분을 잘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감정이나 본능적인 감각으로만 해답을 찾아내야 할 때 특히 힘들어 한다. 그래서 용기를 내어 연애를 해보려 해도 실패를 겪고 나면 완전 겁쟁이가 되어 꼼짝도 못하게 된다. 회피형 인간이나 불안형 인간 모두 섹스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전자는 상대방을 생각하기보다 자신의 욕구나 기대에 지배당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후자는 안도감을 얻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이들 모두 섹스를 거부당하면 마음속에 큰 혼란을 겪는다. 회피형 인간은 섹스를 거부당하면 자존심에 상처를 입고 경악과 분노에 사로잡힌다. 불안형 인간은 거부를 고통스러운 폭력으로 받아들인다.

-결혼 생활은 답답해
: 공감능력이 약한 회피형 인간에게 배우자는 무거운 짐이다. 자기 혼자만의 시간이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누군가와 함께 시간을 보내야 하는 것을 고문처럼 느낀다. 가족이나 배우자가 자신이 책임을 져야 하는 존재로 바뀌면 회피형 인간은 그것들을 더이상 안전기지로 여기지 못하고 회피한다.

-회피형 인간이 결혼하는 이유
1) 상대방이나 주변 사람의 부추김에 넘어가 어느새 이야기가 진전되고, 정신을 차려보니 함께 있게 된 경우

2) 배우자가 자신의 규칙과 기준에 딱 맞는 경우
이 때 회피형 인간이 사랑하는 것은 ˝현실의 대상˝이 아니라 자신의 이상일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대방이 애정을 갈구하는 경우, 부담을 느끼고 회피한다. 그래서 상대방에 대한 관념적인 사랑을 지키기 위해 현실 속의 사랑을 포기한다.

3) 특정 영역(취미, 예술, 스포츠 등)에서 흥미나 관심을 공유하고, 그 안에서 사귀는 관계
평소에는 서로의 개인시간을 방해하지 않거나, 같이 보내는 시간이 길지 않아도 관심사가 공통되면 이들은 서로에 대한 공감이나 존경심이 커진다. 공통된 취미가 두 사람 사이를 지탱해준다면 그것으로 만족한다. 그 외에는 간섭하려 하지 않는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이러한 결혼생활을 지속하기 쉽지 않다.

안정된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커플의 경우는, 누군가 한쪽이 상대방을 지원하는 역할, 격려하는 역할로 돌아섬으로써 균형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지원 역할로 돌아선 사람이 자기 희생을 강요당하는 경우가 많다. 부정적인 애착 유형을 갖고 있어도 궁합이 잘 맞는 파트너를 만나면 서로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안정된 부부 생활을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정은 필요없다
: 보통 성관계를 하는 관계까지 가기 위해서는 데이트를 하거나 환심을 사기 위해 노력하거나 하는 수고로움을 들여야 한다. 하지만 회피형 인간들은 이러한 과정을 성가시게 느낀다. 만약 성관계를 하게 되더라고 다음에는 결혼을 하게 되지 않을까, 성관계를 요구했다가 거절당할까 고민하는 것 역시 성가시다. 이러한 고민을 피하기에 적당한 것이 성매매나 인터넷 게시판이다. 회피형 인간은 일시적인 성관계나 성매매 여성을 통해 성욕을 해소하려는 경향이 매우 짙다.

-성 공포증
: 대부분의 회피형 인간은 성에 적극적이지 않다. 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쾌감보다 그에 수반되는 고통이나 불안 등등이 더 크기 때문에 발생한다. 파트너 중 한쪽이 성적인 욕구 불만을 갖게 되면 성적인 관계의 종말이 관계의 종말로 연결되기 쉽다.
한편 성관계 기피에는 성 공포증에서부터 금욕이나 비인격적인 대상을 원하는 것까지 다양한 유형이 있다. 어느 것이든 현실의 이성이나 생식기가 그로테스크하고 추악하며 불결한 것이라고 느낀다는 점에서는 같다.

-예의없는 섹스
: 회피형 인간은 늘 현실의 인물을 사랑하기보다는 자기애적인 우상을 사랑한다. 현실에 깊이 탐닉하는 일은 현실의 존재를 잃었을 때 큰 타격을 받지만 우상을 사랑하면 상처 입을 걱정은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이돌이나 스타와 같은 우상화된 대상에 대한 동경으로 나타난다. 또한 요즘에는 애니메이션이나 캐릭터 같은 가공의 존재를 사랑하는 경우도 많다.
회피형 인간은 감정의 소용돌이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일정한 거리를 두는 전략을 취한다. 성관계에 임할 때도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자기 내부에서만 완결을 이루려는 게 우선이다. 그러다 보니 성관계가 상대방을 지배하거나 조종하는 행위가 되고 만다. 또한 난교적인 섹스에 빠지기도 한다. 회피형 인간은 애정 같은 게 없어도 섹스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 06. 16. 목

-회피형 인간이 사랑을 할 때
: 회피형 인간은 자녀에게처럼 배우자에게도 무관심한 태도가 기본이며 뭔가 요구를 해도 반응하지 않는다. 언뜻 보면 헌신적으로 행동하는 것 같아도 이해타산이 적용한 결과이다. 어떤 심리 실험에서 커플 가운데 한 명에게 스트레스를 느낄 만한 과제를 주고 다른 한 명에게는 위로하는
역할을 부여해 애착 성향의 영향을 조사했다. 그 결과, 회피형 인간은 효과적으로 위로하지도 못했고, 파트너가 곤란에 처해 있어도 별로 마음 아파하지 않았다.

-불안형 인간의 자녀 양육과 사랑
: 불안형 인간은 자신의 감정에 사로잡히기 쉽다. 그래서 사실을 객관적으로 보고,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도움을 주기보다 불필요하게 소란을 떨거나 엉뚱한 짓을 벌이는 경향이 있다. 또 불안형 인간은 회피형 인간과 비슷하게 상대방의 마음을 잘 파악하지 못한다. 하지만 회피형 인간과 다르게 타인에게 무관심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기분이나 감정 쪽에 더 정신이 팔려 그런 것이다. 또한, 불안형 인간은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기뻐하고, 감사받고 싶어하는 욕구가 강하다. 그래서 좋은 부모, 좋은 배우자로서 정성을 쏟으면 누구나 다 인정한다. 하지만 이러한 불안형 인간의 보살핌은 ‘상대방 위주‘가 아닌 ‘자신 위주‘인 경향이 강하다. 아이의 기분이나 감정에 맞춰주기 보다는 보살펴주는 일 자체가 목적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과보호나 지나친 간섭이 발생하기 쉽다.

-애착의 붕괴는 가족의 붕괴
: 부모 중 한 쪽이 회피형이거나 불안형이어도 한 쪽이 안정형이면 양육 환경이 더 안정될 가능성이 높다. 애당초 인간의 애착 시스템은 양육과 종족 보존을 위해 생겨난 것이다. 가족이라는 구조는 애착 시스템이 확대된 것이며, 애착 시스템이 원활하게 기능하지 못하면 부부 사이의
연결 고리가 느슨해지고 이는 자녀와의 연결고리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애착의 붕괴는 가족의 붕괴이며, 양육을 보호하는 구조의 붕괴로 이어진다.

-애착과 성
: 배우자나 연인 사이에서 일어나는 성행위는 애착 성향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애착이 안정된 사람들은 상대의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해 자연스럽게 응할 수 있다. 성적인 만족도도 높아서 성에 과도하게 사로잡히지도 않는다. 애착이 안정된 사람들의 특징은 특정한 파트너와 장기적으로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다. 반면 애착이 불안정한 사람은 타인과의 신뢰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만족이나 기쁨이 부족하기 때문에 새로운 자극이 더 매력적으로 보여 관계가 짧게 끝나기 십상이다. 이러한 경향은 회피형 인간이나 불안형 인간 모두 공통된 점이지만 불안형 인간은 성관계과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 회피형 인간에게는 그리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애당초 인간의 애착 시스템은 양육과 종족 보존을 위해 생겨난 것이다.
- P1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 06. 11. 토

-양육 패턴의 변화
: 정보화 시대에 들어가면서 어머니는 가사노동 시간이 대폭 줄어들어 다른 일이나 취미에 시간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아이와 보내는 시간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영상과 음성이 일방적으로 나오는 매체는 아이를 ‘방치‘하기 쉬운 환경으로 만든다.

-근대화와 위기에 직면한 애착 시스템
: 문명이 발달하고 사회구조가 복잡해지면서 효율성을 최대 가치로 여기게 된 현대인은 유아기를 필요악처럼 생각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아이와 어머니가 일찍 떨어지게 되면서 애착 시스템이 약화되었다.

-신생아실, 아기침대, 보육원
: 우리의 편의를 위해 생겨난 신생아실, 아기침대, 보육원은 아이들이 태어나면서부터 혹은 어려서부터 어머니와 떨어지게 함으로써 회피형 인간으로 자라게 될 확률을 높아지게 한다.

-부모의 애착 성향
: 부모 세대가 회피형 애착 성향이라면 자연스럽게 육아보다 일이나 취미에서 즐거움을 찾기 때문에 그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는 더욱 회피적인 성향이 강해진다.


<4장 : 회피형 인간의 사랑>
-친밀한 관계를 구축하기 힘든 이유
: 자기표현을 잘 하지 않음, 감정 표현을 억제하다보니 자신의 감정이나 기분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함, 상대방을 냉정하게 바라보기 때문에 결점을 먼저 보고 실패로 끝날지도 모른다는 위험성과 인간과계에서 느꼈던 피곤함을 먼저 떠올라서 시작하기도 전에 포기해버림

-회피형 인간이 부모가 되었을 때
: 회피형 인간이 부모가 되었을 때 자녀의 기분에 둔감하며 자신의 뜻대로 밀어붙이려는 경향이 강하다, 자녀가 절실하게 부모가 필요할 때일수록 요구에 응해주지 않는 모순된 행동을 하기 쉽다.

근대화 이후 일반화되어 버린 이런 양육 환경은 인간이 살아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뭔가를 위협할 만큼 중대한 결함을 안고 있을지도 모른다. - P96

자립이란 타인을 쌀쌀맞게 대하거나 타인에게 어리광을 부리지 않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지 않는가. - P96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회피형 인간이 되는 데에 가장 큰 이유를 방치라고 하였으나, 역으로 과보호나 과도한 지배도 회피형 인간을 만드는 큰 원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과도한 지배나 과보호는 방치와는 정반대로 보이지만, 실상은 아이의 욕구나 감정, 의사를 무시하는 ‘감정의 방치‘가 이루어진다는 측면에서 통하는 구석이 있다.
-트라우마가 회피형 인간을 만드는 데에 큰 일조를 한다.

-2010년 한 연구에서 화면을 보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애착관계가 희박해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부모와의 관계가 불안정할 수록 미디어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인터넷 중독자인 사람의 뇌를 DTI로 촬영한 결과, 대뇌백질에서 신경섬유 조직이 불규칙적으로 바뀌면서 밀도도 떨어졌다. MRI 촬영에서는 안와전두피질의 두께가 현저히 얇아진 사실이 밝혀졌다.
-인터넷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마약중독과 비슷하게 뇌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현실에서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다보니 회피하는 경향이 더욱 강해질 수 있다.

‘자신의 감각이나 감정을 잘 모르겠다‘는 s씨의 상태는 실감정증이라고도 부르는데 회피형 인간의 특징 중 하나이다.
- P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